www.fgks.org   »   [go: up one dir, main page]

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고중세사사전

미송리형 토기

[ 美松里型土器 ]

시대명 청동기

청동기시대 무늬 없는 토기의 일종으로 청천강 이북의 평안북도와 자강도 등지에서 출토된다. 특히 평북 의주군 미송리의 동굴 유적에서 전형적인 모양이 다수 발견되어 미송리형 토기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토기의 몸체는 마치 달걀의 위 아랫부분을 약간씩 잘라낸 모양으로, 윗부분에는 아가리가 나 있으며, 몸체의 윗부분에는 여러 선을 합쳐 한 단위로 하는 줄무늬가 가로로 여러 개 쳐져있다. 특히 특징적인 것은 몸체 중간부분에 물동이 손잡이와 같은 것이 달려있다는 점이다.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나 20~30cm 정도이고 회갈색, 흑갈색, 적갈색 등의 색을 띤다. 주로 출토되는 곳은 청천강 이북으로 미송리·용천 신암리·영변 세죽리 등이다. 대체로 이 유형의 토기의 분포지역과 동반되어 출토되는 유물들을 통해서 보면 BC 6,5세기경의 청동기문화인들이 만들어낸 것으로 보인다.

관련이미지 6

미송리형토기(1 : 쌍방돌관무덤, 2 : 신암리유적, 3 : 축가구돌관무덤, 4 : 토성리유적, 5 : 소청도돌관무덤, 6 : 팔보구돌관무덤, 7 : 이도하자돌관무덤, 8~9 : 미송리유적)

미송리형토기(1 : 쌍방돌관무덤, 2 : 신암리유적, 3 : 축가구돌관무덤, 4 : 토성리유적, 5 : 소청도돌관무덤, 6 : 팔보구돌관무덤, 7 : 이도하자돌관무덤, 8~9 : 미송리유적)

이미지 갤러리

출처: 고고학사전

1/6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제공처 정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