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보는 강연 오늘의 세계

놓치면 아까운 최고의 강연들 더 만나보세요

감염병과 보건 위생
42강감염병과 보건 위생 감염병, 전염병의 발생 기전과 과거 사례를 살펴보고 신종 감염병 출현 요인들과 그 대비법, 다음 팬데믹에서 부딪칠 난제들까지 짚어본다 강연자 : 오명돈(서울대 명예교수)
감염병과 보건 위생 강연 보러가기
41강기후 위기 담론의 과학적 실체 남성현(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기후 위기 담론의 과학적 실체 강연 보러가기
40강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주한규(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강연 보러가기
39강재료과학의 현재와 미래 홍완식(서울시립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재료과학의 현재와 미래 강연 보러가기
38강디지털 소통 기술 사영준(서강대 미디어&엔터테인먼트학과 교수)
디지털 소통 기술 강연 보러가기
37강인공지능과 디지털의 세계 이상완(KAIST 뇌인지과학과 교수)
인공지능과 디지털의 세계 강연 보러가기
36강현대 전쟁과 첨단 과학기술 최형섭(서울과학기술대 융합교양학부 교수)
현대 전쟁과 첨단 과학기술 강연 보러가기
35강생명과학의 현재와 미래 노정혜(서울대 명예교수)
생명과학의 현재와 미래 강연 보러가기
34강양자역학과 양자 기술 정현석(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양자역학과 양자 기술 강연 보러가기
33강현대 과학적 자연ㆍ생명ㆍ우주관 이덕환(서강대 명예교수)
현대 과학적 자연ㆍ생명ㆍ우주관 강연 보러가기
32강21세기 종교와 종교 갈등 김회권(숭실대 기독교학과 교수)
21세기 종교와 종교 갈등 강연 보러가기
31강21세기 예술의 사조와 경향 이찬웅(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교수)
21세기 예술의 사조와 경향 강연 보러가기
30강21세기 문학의 흐름과 방향 신형철(서울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21세기 문학의 흐름과 방향 강연 보러가기
29강디지털 매체와 이용자 경험 이수영(서강대 미디어&엔터테인먼트학과 교수)
디지털 매체와 이용자 경험 강연 보러가기
28강대중 문화와 고급 문화 양혜림(청강문화산업대 만화콘텐츠스쿨 교수)
대중 문화와 고급 문화 강연 보러가기
27강디지털 시대의 인문학 이동철(용인대 명예교수)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 강연 보러가기
26강디지털 시대 교육의 변화 오세정(전 서울대 총장ㆍ서울대 명예교수)
디지털 시대 교육의 변화 강연 보러가기
25강가상현실의 철학적 이해 김상환(서울대 철학과 교수)
가상현실의 철학적 이해 강연 보러가기
24강메타버스와 자아 동일성 김재희(을지대 교양학부 교수)
메타버스와 자아 동일성 강연 보러가기
23강인구와 출산 문제 전영수(한양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인구와 출산 문제 강연 보러가기
22강개인과 공동체 박상훈(국회미래연구원 초빙연구위원)
개인과 공동체 강연 보러가기
21강노동과 복지의 현재와 미래 양재진(연세대 행정학과 교수)
노동과 복지의 현재와 미래 강연 보러가기
20강양극화와 중산층 문제 구해근(미국 하와이대 명예교수)
양극화와 중산층 문제 강연 보러가기
19강기술 발전과 직업ㆍ계층 구조의 변화 권현지(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기술 발전과 직업ㆍ계층 구조의 변화 강연 보러가기
18강현대 민주주의의 양상과 전개: 정부 형태, 정당 체제, 법의 지배 김비환(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현대 민주주의의 양상과 전개: 정부 형태, 정당 체제, 법의 지배 강연 보러가기
17강포퓰리즘의 등장과 확산 정병기(영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포퓰리즘의 등장과 확산 강연 보러가기
16강한류의 특성과 미래 홍석경(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한류의 특성과 미래 강연 보러가기
15강한반도 문제의 연속성과 변화 박명림(연세대 지역학협동과정 교수)
한반도 문제의 연속성과 변화 강연 보러가기
14강21세기 일본의 국가 전략 손열(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21세기 일본의 국가 전략 강연 보러가기
13강동양 정치사상과 공공성 이승환(고려대 명예교수)
동양 정치사상과 공공성 강연 보러가기
12강유교 정치사상과 정치철학: 개인성과 관계성 곽준혁(중국 중산대 철학과 교수)
유교 정치사상과 정치철학: 개인성과 관계성 강연 보러가기
11강중화 민족주의와 동아시아 이욱연(서강대 중국문화학과 교수)
중화 민족주의와 동아시아 강연 보러가기
10강21세기 중국의 천하관과 신천하주의 조경란(연세대 국학연구원 교수)
21세기 중국의 천하관과 신천하주의 강연 보러가기
9강중동 문제와 국제 관계 구기연(서울대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중동 문제와 국제 관계 강연 보러가기
8강국제 이주와 난민 문제 김종법(대전대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교수)
국제 이주와 난민 문제 강연 보러가기
7강공급망과 국제 관계 이재민(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공급망과 국제 관계 강연 보러가기
6강에너지 안보와 국제 질서 이재승(고려대 국제학부 교수)
에너지 안보와 국제 질서 강연 보러가기
5강시장과 경제의 세계화와 탈세계화 임현진(서울대 명예교수)
시장과 경제의 세계화와 탈세계화 강연 보러가기
4강자유주의 세계 질서와 도전들 전재성(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자유주의 세계 질서와 도전들 강연 보러가기
3강지역 질서와 지역 기반 국제 정치: 세력 전이와 아태 지역 질서 김재철(가톨릭대 국제학부 교수)
지역 질서와 지역 기반 국제 정치: 세력 전이와 아태 지역 질서 강연 보러가기
2강탈냉전과 세계화 이후 국제 질서 윤영관(서울대 명예교수)
탈냉전과 세계화 이후 국제 질서 강연 보러가기
1강총론: 오늘의 세계 최장집(고려대 명예교수)
총론: 오늘의 세계 강연 보러가기

에세이

6·3 학생 운동, 60년 후 하나의 회고
6·3 학생 운동, 60년 후 하나의 회고 한일 국교 정상화 문제를 둘러싸고 발생한 6·3 사태를 단지 한국의 민족주의 시각에서 말하는 것은 사태의 전모를 알기에 너무 좁은, 일면적 시각에서 문제를 이해하는 것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최장집(고려대 명예교수)
6·3 학생 운동, 60년 후 하나의 회고 에세이 보러가기
태양을 가려라
태양을 가려라 태양이 사라진 곳에서 뭇 별들이 자태를 드러내듯, 기하학적 이성이 멈춘 곳에서 심미적 감성은 활동을 개시한다. 별과 속삭이기 위해선 해가 지길 기다리듯, 존재의 어두운 면을 감지하기 위해선 잠시 동일성의 사유를 접어둘 필요가 있다.
이승환(고려대 명예교수)
태양을 가려라 에세이 보러가기
에세이전체보기

강연 시리즈 근대성

강연 시리즈> 근대성전체보기

장르 동양철학

하이라이트

오디오클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