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fgks.org   »   [go: up one dir, main page]

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고중세사사전

반구대 암각화

[ 盤龜臺岩刻畵 ]

시대명 청동기

1971년 동국대학교 탐사반에 의해 발굴된 선사시대 암각화로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반구대 소재. 태화강의 지류인 대곡천의 절벽면에 새긴 것인데 강 하구에 저수지가 생기면서 절벽면이 물에 잠겨 있는 상태이다. 절벽의 암질은 세일이다. 새겨진 그림들은 대략 2백여 점으로 사람·동물·배·목책·그물 등인데, 동물은 포유류·조류·파충류·어류 등이다. 이들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동물들로 거의 전 벽면에 분포하고 있다.

특히 사슴·노루·산양·호랑이·멧돼지·고래 등과 같은 포유류들이 많다. 사람 그림은 모두 8점으로 육지에서 사냥하는 장면과 관련된 인물상이 6점, 사람 얼굴 내지는 탈이 2점이다. 바다짐승은 약 80여 점에 해당하는데 그 대부분이 고래 혹은 고래와 비슷한 것들이다. 육지동물은 약 88점인데 사슴이 41점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호랑이·멧돼지·토끼 등도 있다. 새기는 방법은 모두떼기와 선떼기가 이용되고 있으며, 문양의 양식은 자연적인 모양에서 도식화되어 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움직이는 모습을 표현하여 생동감을 살리고 있는 것도 이 암각화의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서 이 암각화가 새겨진 연대를 추정해 보면 신석기시대 말기에서 청동기시대에 이르는 때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 암각화의 성격은 이 지역의 수렵 어로인들이 사냥의 풍성과 번식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만든 사냥미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북유럽 스칸디나비아 반도와 러시아 시베리아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암각화들과도 유사한 특징을 보이고 있다.

관련이미지 32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에 있는 선사 및 역사시대 암각화 유적. 국보 제285호. 1971년에 발견되었으며, 200여점을 웃도는 사람과 짐승, 각종 생활장면 그림의 출토로 역사학계와 고고학계, 미술사학계 등으로부터 크게 주목받았다. 태화강의 지류, 대곡천 중류 계곡 오른쪽 절벽의 강물에 잇닿는 부분에 새겨져 있다.

이미지 갤러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32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연관목차

2. 신석기인의 생활
1. 청동기, 초기 철기시대
반구대 암각화 지금 읽는 중
2. 고조선, 초기 국가

출처

제공처 정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