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fgks.org   »   [go: up one dir, main page]

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ASEM 개황

역대 아셈(ASEM) 정상회의

국제기구명칭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1. 제1차 방콕 ASEM 정상회의

■ 개최 일자 및 장소 : 1996년 3월 1~2일, 태국 방콕

■ 주제 : 아시아-유럽의 새로운 포괄적 동반자 관계

■ 성과

○ ASEM 회원국 정상들은 아시아와 유럽간 협력의 중장기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아시아-유럽 비전그룹(Asia-Europe Vision Group : AEVG)을 설치 합의

○ 향후 ASEM 발전 방향에 대한 원칙 및 분야에 대해 합의
- 외교장관회의 및 고위관리회의, 비공식 무역 · 투자 고위관리회의 개최, 아시아 · 유럽 비즈니스 포럼 설립 등 합의

2. 제2차 런던 ASEM 정상회의

■ 개최 일자 및 장소 : 1998년 4월 3~4일, 영국 런던

■ 주제 : 아시아-유럽간 동반자 관계 강화

■ 성과

○ 정치, 경제, 사회 · 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 양 지역간 협력 중요성 확인

○ ASEM 협력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본 틀로서 「아시아-유럽 협력 기본 지침서(Asia-Europe Cooperation Framework : AECF)」 채택

○ 1997년 아시아를 휩쓸었던 금융위기 이후에 어려움에 빠져 있는 아시아 국가들을 돕기 위해 ASEM 신탁기금(ASEM Trust Fund : ATF)을 설립하고 유럽 고위 경제사절단 아시아 파견 합의

3. 제3차 서울 ASEM 정상회의

■ 개최 일자 및 장소 : 2000년 10월 20~21일, 서울

■ 주제 : 새천년 번영과 안정의 동반자 관계

■ 성과

○ 정치, 경제, 사회 · 문화 등 3대 협력 분야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토대를 구축 및 아시아-유럽 협력 강화에 대한 각국의 의지 재확인

○ 런던에서 채택된 AECF를 갈음하여, 새로운 천년을 맞아 향후 10년 ASEM의 비전, 원칙과 목적을 담은 「아시아-유럽 협력 기본 지침서 2000(Asia-Europe Cooperation Framework : AECF 2000)」 채택
    ※ 아시아-유럽 협력 기본 지침서 2000(Asia-Europe Cooperation Framework : AECF 2000) : 제2차 런던정상회의에서 채택된 AECF를 제3차 서울 정상회의에서 새로이 수정한 것으로 ASEM의 새천년 10년 동안의 중장기적 비전, 원칙, 우선순위 및 메커니즘 등을 제시

○ 「한반도 평화에 관한 서울선언」을 채택
-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에 대한 국제적인 지지 확보

제 3차 서울 ASEM 정상회의 결과

○ 이 회의는 ASEM 발전을 위한 역사적인 이정표를 세운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
○ 2000년 10월 20일부터 21일까지 개최된 제3차 ASEM 정상회의는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가장 많은 정상이 참여한 외교행사로 22개국 정상과 4개국 정상대리를 포함, 1,800여명의 대표단과 2,200여명의 내외신 기자단이 참가

(1) 새천년을 맞은 ASEM의 새로운 발전 방향 제시

■ 서울 정상회의를 통해 아시아와 유럽 양 지역이 미래 지향적 파트너로서 정치, 경제, 사회·문화 등 3대 분야별로 가시적인 성과를 지향하고 실질적 협력체로 발전해 갈 수 있는 계기 마련

■ ASEM의 장래 비전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운영 매커니즘을 설정한 '아시아-유럽 협력 기본 지침서 2000(AECF 2000)'을 채택
○ ASEM 출범 이후 오랜 현안이었던 신규회원국 가입 지침을 확정하여 향후 ASEM 회원국 확대의 기본 원칙을 마련하였고, 비회원국의 ASEM 사업 참여 조항을 신설

(2) 한반도 화해·협력에 대한 ASEM 차원의 협력과 기여 확보

■ 김대중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과 맞물려 민주주의와 인권, 한반도 평화가 회의 주요 테마로 부상

■ 남북정상회담 합의사항에 대한 ASEM 차원의 전폭적 지지를 천명하는 '한반도 평화에 관한 서울선언'을 채택함으로써 한반도 평화에 관한 국제사회의 지지와 관심 제고
○ 제3차 정상회의를 계기로 이후 ASEM 정상회의시 한반도와 관련된 별도의 선언을 채택 하거나 의장 성명에 한반도 관련 조항 포함

■ 회의기간 중 영국, 독일, 스페인 총리가 대북한 수교 기본방침을 밝힘으로써 EU 국가들의 대북관계 개선에 가시적 진전을 가져올 수 있는 계기로 작용

(3) 가시적인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신규사업 채택

■ 아시아-유럽간 경제적 보완성, 역동성, 다양성을 바탕으로 무역, 투자 및 인적교류를 실질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총 16개 신규사업 승인
○ 제1차 정상회의에서는 7개 사업이, 2차에서는 8개가 채택된 바 있으며, 그 이후 제4차에는 10개, 제5차에는 9개, 제6차에는 6개, 제7차에는 17개, 제8차에서는 17개 채택

■ 특히 '유라시아 초고속 정보통신망(TEIN)', 'ASEM DUO 장학사업' 등 한국이 제안한 4개 사업은 핵심적인 신규사업으로 인정되어 각국 정상의 광범위한 지지 확보

(4) 한국의 국제적 이미지 제고

■ 한국이 의장국으로서 정상회의를 효율적으로 주최하여, 성공적인 결실을 거둠으로써 국제 사회에 한국의 외교적 역량을 과시

■ 특히 한국의 신장된 민주역량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아시아와 유럽간 가교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각 회원국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음.
○ 또한, 서울회의를 계기로 한국의 외환위기 극복 및 경제 구조조정의 성공적 결과를 대외에 전파하여 한국 경제의 신인도 제고에 기여

(5) 다자외교 무대로의 부상

■ 당시로는 역대 최대 규모였던 다자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고, 26개국이 참여한 총 3개의 전체 세션과 10개국 정상이 참여한 아시아 지역 정상회의 외에 총 44회의 양자정상회담과 36회의 장관급 회담을 효율적으로 병행 개최함으로써 한국의 외교역량 홍보
○ 이러한 ASEM 회의의 성공은 2005년 APEC 정상회의, 2010년 G20 서울 정상회의 및 2012년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의 기반 제공

4. 제4차 코펜하겐 ASEM 정상회의

■ 개최 일자 및 장소 : 2002년 9월 22~24일, 덴마크 코펜하겐

■ 주제 : 9.11 테러 이후 국제사회의 관심을 반영하여 대테러 전쟁, 이라크 전쟁, 한반도 평화 등과 관련된 정치 이슈

■ 성과

○ 의장성명서와 함께 「한반도 평화를 위한 코펜하겐 정치선언」 및 「국제테러리즘 대응에 관한 코펜하겐 선언」 채택

○ WTO 도하개발 아젠다(DDA)의 타결을 위한 ASEM의 역할을 확인하고, 무역 · 투자 및 금융 분야의 협력을 위한 작업반 설립

○ 문화 · 문명간 대화를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ASEM 정상들은 처음으로 비공개 회의 개최
- ASEM 내 유일한 상설 기구인 아시아-유럽 재단(Asia-Europe Foundation : ASEF)이 장기적으로 안정된 재정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 논의

5. 제5차 하노이 ASEM 정상회의

■ 개최 일자 및 장소 : 2004년 10월 8~9일, 베트남 하노이

■ 주제 : 아시아-유럽간 동반자 관계의 활성화 및 실질화

■ 성과

○ ASEM 창설 이후 최초로 회원국 확대가 이뤄져 중동부유럽 등 EU 신규 회원국 10개국1) 및 ASEAN 3개국2) 신규 가입

○ 인권 상황을 이유로 미얀마의 ASEM 가입을 반대하는 EU와 ASEAN측간의 의견차이로 2004년 7월과 9월 개최 예정이던 재무장관회의 및 경제장관회의가 취소되는 등 여러가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제5차 정상회의 개최
- 테러리즘과 다자주의 강화를 중심 의제로 다루었고, 비전통적 안보 위협을 포함한 범세계적 문제에 대한 해결 의지 천명

○ 양 지역간 경제 협력 강화를 위한 「아시아-유럽 경제동반자 선언」 채택

○ 「문화 · 문명간 대화에 대한 ASEM 선언」 채택
- 문명간 대화 및 문화적 다양성 증진을 통한 국제 평화와 안정에 대한 기여 의지 표명

6. 제6차 헬싱키 ASEM 정상회의

■ 개최 일자 및 장소 : 2006년 9월 10~11일, 핀란드 헬싱키

■ 주제 : ASEM 10주년 - 글로벌 도전과 공동 대응

■ 성과

○ 아시아의 몽골, 인도, 파키스탄, ASEAN 사무국, 유럽의 루마니아와 불가리아 가입

○ 지난 10년간 ASEM이 이룬 성과를 평가하고 새로운 10년을 향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으며, 그 결과를 담은 「의장성명서」, 「기후변화에 관한 선언」 및 「ASEM의 장래에 관한 헬싱키 선언」 채택

○ 정상들은 비공식, 관계구축, 유연성 등을 특성으로 하는 ASEM 프로세스의 성격 재확인하고, 새로운 ASEM 운영 방식과 메커니즘 도입
- 정치, 경제, 사회 · 문화 3대 협력 분야별로 복수(아시아, 유럽 각각 최소 1개국) 국가가 리더로서 관련 의제에 대한 논의를 주도하는 의제중심 리더십 도입

7. 제7차 북경 ASEM 정상회의

■ 개최 일자 및 장소 : 2008년 10월 24~25일, 중국 북경

■ 주제 : Win-Win을 위한 비전과 행동

■ 성과

○ 세계금융위기 극복을 위한 국제공조 방안, 지속가능개발에 대한 회원국들의 공동 의지를 담은 「의장성명」 발표

○ 「국제금융상황에 관한 ASEM 정상성명」 및 「지속가능 개발에 관한 북경 선언」 채택

8. 제8차 브뤼셀 ASEM 정상회의

■ 개최 일자 및 장소 : 2010년 10월 4~5일, 벨기에 브뤼셀

■ 주제 : 삶의 질 - 모든 시민의 보다 나은 복지와 존엄성 달성

■ 성과

○ 러시아, 호주, 뉴질랜드 3개 신규 회원국 가입

○ '보다 효과적인 세계경제 거버넌스에 관한 브뤼셀 선언' 채택하여, 세계 금융시장 및 금융기관 개혁 추진에 대한 의지 표명

9. 제9차 비엔티안 ASEM 정상회의

■ 개최 일자 및 장소 : 2012년 11월 5~6일, 라오스 비엔티안

■ 주제 : 평화의 친구, 번영의 파트너

■ 성과

○ 방글라데시, 노르웨이, 스위스가 신규회원국으로 가입

○ 「평화와 개발에 관한 비엔티안 선언」을 채택하여, 개발협력에 대한 회원국들의 관심을 고조시키고 협력의지를 결집

○ 회원국간 인적교류 및 문화협력을 통한 이해제고가 회원국간 협력 관계 강화의 기반임을 재확인

10. 제10차 밀라노 ASEM 정상회의

■ 개최 일자 및 장소 : 2014년 10월 16~17일, 이탈리아 밀라노

■ 주제 : 지속가능한 성장과 안보를 위한 책임감 있는 파트너십

■ 성과

○ 카자흐스탄, 크로아티아 2개 신규 회원국 가입

○ 전체세션 1에서 아시아-유럽 연계성 증진을 통한 경제 · 금융 협력 방안을, 전체세션 2에서 연계된 세계에서 범세계적 이슈 대응을 위한 아시아-유럽 협력 방안을 모색

○ ASEM 정상회의 최초로 Retreat 세션을 개최, 지역 및 범세계적 이슈에 대한 정상간 자유로운 의견 교환을 도모하고, 향후 ASEM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

11. 제11차 울란바타르 ASEM 정상회의

■ 개최 일자 및 장소 : 2016년 7월 15~16일, 몽골 울란바타르

■ 주제 : ASEM 20주년 : 연계성을 통한 미래 파트너십(20 years of ASEM : Partnership for Future through Connectivity)

■ 성과

○ ASEM 향후 10년을 향한 울란바타르 선언 : 20년간 성과 평가 및 향후 발전 제시

○ 국제 테러리즘에 관한 별도 성명 채택 : 테러 대응을 위한 ASEM 차원의 공조 의지 재확인

12. 제12차 브뤼셀 ASEM 정상회의(개최 예정)

■ 개최 일자 및 장소 : 2018년 10월 18~19일, 벨기에 브뤼셀

■ 주제 : 글로벌 도전과제 해결을 위한 글로벌 동반자(Global Partners for Global Challenges)

마지막 수정일

  • 2018. 9.

유의사항

  • 본 내용은 2018년 9월 기준으로 작성된 ASEM 개황 외교간행물 정보입니다.
    2018년 9월​ 이후 수정 된 내용 중 반영되지 않은 정보가 있을 수 있으며,
    마지막 수정 정보는 마지막 수정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ASEM 개황 정보는 외교부 자료실 "외교간행물"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제공처 정보

ASEM 개황 2018. 9.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