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fgks.org   »   [go: up one dir, main page]

2002_제 1기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Page 1

청소년문화복지 아카데미는... 지역 청소년문화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밀고 당겨주기”입니다. 청소년문화복지 아카데미는... 문화와 언어읽기를 통한 “소통의 배움터”입니다. 청소년문화복지 아카데미는... 지역과 지역을 네트워크를 위한 “동여매기”입니다. 청소년문화복지 아카데미는... 책임있는 현장 실무자와 문화적 요구를 가진 청소년간의 연대를 위한 “초석” 이 될것입니다.


<청소년문화복지 아카데미를 열며>

청소년문화복지를

함께 키웁시다 사람만이 희망입니다. 자연자원이 부족한 한국이 기대할 수 있는 자원은 바로 사람입니다. 청소년복지는 노 인복지나 장애인복지 등 다른 분야에 비교할 때, 늘 사람이 부족했습니다. 청소년복지만 으로 직업을 찾기 어려웠고, 일하는 실무자도 체계적으로 지도력을 키우기가 어려웠습니 다. 이렇게 어려울 때일수록 청소년복지 관련 기관/단체/시설들은 사람을 키워야 합니다. 사람만이 희망입니다. 학습과 훈련을 통해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복지를 연구하고 실천하는 30~40대 젊은 지도력의 결집체인 서울청소년문화교 류센터 “미지”, 인천가톨릭청소년회, 주성대학교 청소년문화학과,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한국복지교육원이 모여서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를 연 것은 "학습과 훈련을 통해서 지도력이 성장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대학에서 배운 이론과 현장에서 익힌 방 법론을 통합하여 '청소년문화복지'란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자 합니다. 청소년의 문화를 읽으면 미래가 열립니다. 청소년문화복지는 일부 비행 청소년이나 요보호 청소년을 위한 복지가 아닌 전체 청 소년의 문화적 감수성을 충족시키는 복지입니다. 실무자가 영상세대와 함께 하는데 가장 필요한 ‘미디어 읽기와 활용하기'를 공부합니다. 청소년의 문화를 읽으면 미래가 열리고, 청소년복지의 새로운 장이 열립니다. 그 장을 함께 열어갑시다.

2


www.withyouth.net 네트웍으로 지역공동체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는 같은 내용으로 서울-청주-광주에서 열리고, 청소년이 중심 이 되어서 지역사회에서 청소년축제를 기획하고 진행하는 방법을 익히고자 합니다. 이론 에 바탕을 두면서 철저히 실기를 실습하고자 합니다. 사회복지기관/단체/시설과 청소년 기관/단체/시설 등에서 일하는 실무자들이 전국적인 네트웍을 형성할 수 있는 절호의 찬 스입니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에 참가한 청소년복지 실무자와 사회복지 대학생들은 앞으로 지역사회에서 문화복지운동을 주도하고 나아가 복지공동체를 키워갈 것입니다. 청소년복지아카데미는 청소년복지 실무자의 꿈을 소중히 여깁니다. 전국의 청소년복지 실무자와 대학생이 모여서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를 개최한 것 은 한국 청소년복지의 역사에서 새로운 시도입니다. 주최기관과 네트워크기관 그리고 사 회복지공동모금회가 협력하여 참가자들의 꿈을 소중히 키워갈 것입니다. 이 아카데미를 통해서 청소년문화복지에 대한 지도력을 키우고, 평생을 이어갈 동지를 만들어갑시다. 여러분, 청소년문화의 시대를 함께 열어갑시다. 2002년 3월 광주에서 이용교

3


차 례 청소년문화복지 아카데미를 열며 ………………………………………………2 6․일정표 - 청소년 복지 실무자를 위한 교육 일정표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을 위한 교육 일정표

8․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진행과정

특강 …………………………………………………………………………………11 13․위대한 거부

청소년문화복지 이론연구 …………………………………………………………21 23․한국의 청소년복지론 - 이용교 1. 3.

청소년복지의 의의와 특징 청소년복지의 실태와 과제

2. 4.

청소년복지의 시기별 특징 청소년복지의 전망

2. 4.

청소년에 대한 읽기와 이해 에필로그

43․청소년문화론 -김 민 1. 3.

프롤로그 청소년문화 바로 보기

67․청소년문화를 읽는 세 개의 스펙트럼 - 김태황

1. 를 위한 2. 미디어교육이란 무엇인가 3. 청소년문화와 매스미디어 4. 이미지 image 5. ㄷ ㅣ ㅈ ㅣ ㅌ ㅓ ㄹ digital ㄷ ㅣ ㅈ ㅣ ㅌ ㅓ ㄹ 맺는 말 “지금 나에게 무엇이 중요한가?”

93․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 실천론 - 심한기 1. 한국의 청소년복지는 어디까지 왔는가? 2. 왜 ! 청소년문화복지인가? 3.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한 청소년문화복지의

실천

127․지역사회중심의 사회사업방법론 -표경흠 1. 3. 5.

4

청소년복지의 현황 지역사회와 청소년복지 지역사회 중심의 청소년복지

2. 4.

지역사회 변화와 복지전달체계 귀 복지관의 주된 실천모형은 어떤것입니까?


청소년문화복지 실천연구 ………………………………………………… 141 143․청소년문화복지 프로그램 기획의 실제와 적용 1. 3.

들어가면서 나오면서

2.

청소년문화복지 프로그램의 기획

2. 4.

평가의 개념과과정 평가도구의 구성

159․청소년프로그램 평가 1. 3.

들어가며 평가이론

181․미디어와 청소년

1. 문화의 흐름과 communication의 2. ground 와 figure

변화

185․미디어집단상담 프로그램 1. 3.

탈출하자 미디어 집단상담 프로그램

2. 4.

청소년문화 만들기 사 족

청소년문화복지 사례연구 ………………………………………………… 207 209․청소년과 함께 하는 미디어제작의 실제 1. 미디어제작활동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2. 광고로 문화읽기 4. Image를 다루기 - 사진 5. 사진 뜨개질 6. cartoon & animation 이야기 7. 함께 해보는 애니메이션의 8. 미디어제작 방법론

원리

253․지역청소년문화축제 만들기 1. 실시현황 2. 3. 사업의 목적 및 목표 4. 5. 2001년 네 번째 강북청소년문화축제 6. 2001년 네 번째 강북청소년문화축제

축제 진행 현황 추진방향 및 구성도 진행과정 결과 및 제언

275․학교CA 지원사업 1.

학교CA 지원사업 개괄

2. 2000년

신경여자실업고등학교 ‘대중음악반’

287․99방송축제실시계획서-한울터 연합방송제

부록-설문조사 결과 …………………………………………………………‥ 301 단체소개-주최․네트워크․후원……………………………………………… 5


311 아카데미 사람들 ……………………………………………………………… 321

6


청소년복지관련 실무자를 위한 교육 일정표 첫째날

시 간

둘째날

08:00

10:00

(

시작의 시간

)

김 민 주성대 청소년 이승민 인천가톨릭 김예선 김태황 안혜경 문화학과 교수 청소년회 사업팀장 우수명 리서치대표 (

(

,

)

)

/

/

(HS

)

점심식사 모둠활동

12:00

14:00

다섯째날

기상 및 아침식사 아침식사 아침명상 아침명상 아침명상 아침명상 실천교육 2 이론 2 청소년문화복지 따로교육활동 Ⅱ 청소년문화론 프로그램 지역별 기획과 전체토론 실제 네트워크 토론

출발

09:00

13:00

넷째날

기상 및 아침 산책

07:00

11:00

셋째날

야외활동 모둠별 평가 이론 3 청소년과미디어론 따로교육활동 Ⅰ 마침의 시간 김춘아 보라매청소 따로교육활동 Ⅲ 이론 1 년수련관 상담팀장 ․미디어제작 및 전체평가 미디어 집단지도 한국의 청소년 수료식 ․ 지역사회 청소년 복지론 이론 4 전체 토론 지역사회 청소년 문화복지 프로그램 집으로 문화복지 실천론 쉼과 나눔

1

(

15:00

,

)

tea time

16:00

(

17:00

)

품청소년문화 김예선 김태황 안혜경 김예선 김태황 안혜경 이용교 한국복지교육원 심한기 공동체 대표 표경흠 심한기 이승민 외 심한기 이승민 외 대표 광주대 교수 평택대 겸임교수 (

(

,

)

(

22:00

/

,

/

/

/

저녁식사

특강

20:00 21:00

/

/

)

18:00

19:00

,

)/

실천교육 1 미디어언어교육 미디어집단상담과 영상치료

1

김태황 김예선 안혜 김태황 심한기 경 프로젝트팀 헤모 /

모둠평가 개별상담

(

/

모둠평가 개별상담

발표준비 문화복지축제

영화이야기 여행이야기 /

모둠평가 개별상담

-

따로활동발표 즐거운 장터

23:00 24:00

스탭 정리의시간 스탭 정리의시간 스탭 정리의시간

※교육 내용 및 강사는 지역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7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을 위한 교육 일정표

요일 첫째날 시간 07:00 08:00 09:00 10:00 11:00

둘째날

이동 시작의 시간

청소년과 미디어론

지역사회 청소년 문화적 실천론

환영의 시간 야외활동

한국 청소년 분반선택 복지론 교육

지역별 야외활동 네트워크 전체놀이 준비를 위한 토론Ⅰ 3

(

야외활동 소집단 활동을 통한 야외모임 2

15:00 16:00

청소년 지역 청소년 문화복지 문화축제 지역별 프로그램의 기획의 네트워크Ⅱ 실제적용 실제적용

점심식사 1

14:00

넷째날 다섯째날 여섯째날 기상 및 운동 아침식사

12:00 13:00

셋째날

(2)

)

분반선택 교육 (4)

분반선택 교육 (5)

17:00

저녁식사

18:00 19:00 20:00 21:00 22:00

청소년 문화론 분반선택 교육 일일평가 (1)

프로그램 홍보와 이미지 마케팅

분반선택 교육

조직관리

(3)

일일평가

일일평가 일일평가

※강사진은 실무자교육과 거의 동일하며,

문화축제 준비 문화축제 분반발표 축하공연

1. 2.

교육 내용 및 강사는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8

평가 및 마침시간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진행과정 청소년문화를 중심으로 한 청소년복지현장의 실천 적 서비스의 확대에 대한 구체적 고민 및 실 무자 및 대학생교육 프로그램 구상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사회복지대학생을 위한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의 구체적 계획 및 아카데미의 필요성에 대 한 전공대학생 설문조사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을 위한 아카데미 사회복지공동모금회(중앙) 프로포절 제출 - 선정 안됨 청소년활동 현장 전문가들의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실무자와 대학생을 위한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 미 자체 실시를 위한 구상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청소년문화복지 실천의 근거를 위한 이론연구 및 제안서 작성 청소년복지와 문화, 지역사회 청소 년문화복지, 미디어와 청소년 등

연구자/품 청소년문화공동체 심한기, 헤모 김태황

2001년 3월 >>

구체적 실천을 위한 기본 네트워크 구성 및 기 획회의/전남 광주(회의장소)

광주대학교 이용교 교수,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심한기, 헤 모 김태황

2001년 5월 >>

청소년문화복지 아카데미 실천을 위한 주체적 네트워크 구성(1차)

한국복지교육원, 주성대 청소 년문화학과, 헤모, 품 청소년 문화공동체, 인천가톨릭청소 년회

2000년 2월 >>

2000년 5월 >>

2000년 7월 >>

2000년 10월 >>

2001년 2월 >>

초기참여자/품 청소년문화공 동체 심한기, 헤모 김태황, HS센터 우수명, 한국청소년 문화연구소 이상화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9


2001년 7월

2001년 12월

2002년 2월

2002년 4월

2002년 7월

2002년 연중

10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프로포절 신청- 선정됨(중앙) 아카데미 개설을 위한 네크워크 단체간 전체회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한국 복지교육원, 주성대학교청소 의 년문화학과, 헤모, 인천가톨 릭청소년회」 -실무 담당간사 채용 : 이미선(원광대학교 신문 방송학, 사회복지 복수전공)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주최단체 및 네트워크 단체 확정 -세부 프로그램 확정 -홍보 및 모집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실무자 대상 지역별 3회 진행 / 4박 5일 / 총 100명 ­서울지역․강원․경기북부지역 : 2002년 4.3(수) - 4.7(일) ­경기남부․충청 지역 : 2002년 4.10(수) - 4.14(일) ­경상․전라․제주지역 : 2002년 4.17(수) - 4.21(일)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전공대학생 대상 진행 -2002년 7. 1(월)~7. 6(토) 5박 6일 / 70명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지역별 네트워크 활동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1


청소년복지관련 실무자 및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을 위한

청소년 문화복지 아카데미

특 강

12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3


위대한 거부 拒否 (

)-II

강 대 근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업본부장)

1.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다시 4월입니다. 이 4월에 申 東曄을 생각합니다. 그는 1969년 4월7일 간암으로 생을 마감하였는데 그는 우리에게 ‘티없이 맑은 久遠의 하늘’을 보라 했습니다.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누가 구름 한 송이 없는 맑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

아침 저녁/ 네 머리 위 쇠항아릴 찢고 티없이 맑은 구원의 하늘/ 마실 수 있는 사람은 연민(憐憫)을/ 알리라 차마 삼가서/ 발걸음도 조심 / 서럽게 / 아

마음 조아리며.

엄숙한 세상을/ 서럽게 / 눈물 흘려

살아 가리라 /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누가 구름 한자락 없이 맑은 /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14


사람들이 들로 산으로 나갑니다. 꽃구경이 한창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꽃만 하늘은 보지 않습니다. 황사 때문인가요? 사람들은 구름이 낀 날만 하늘을 봅니다. 비 오는 날만 하늘을 봅니다.

봅니다.

아이가 울고 있습니다. 목련꽃 나무 아래에서 아이가 울고 있습니다. 아이의 어깨위로 가만히 하늘이 내려앉습니다. 눈물 가득한 눈망울에 하늘이 비칩니다. 그는 서사시 '錦江'에서 이렇게

썼습니다.

겨울 속에서 / 봄이 싻트듯 우리 마음 속에서 / 戀情이 잉태되듯 조국의 가슴마다에서, / 혁명, 噴水 뿜을 날은 / 오리라.

날이 오면 그를 만나려 수수밭으로 가야합니다. 혁명은 무엇이냐고 물어보아야 합니다. 혹시 아이의 눈망울 속에서 하늘을 보지 못했느냐고 물어보아야 합니다. 그

금강은 이렇게

맺습니다.

논길,/ 西海岸으로 뻗은 저녁노을의 들길, 소담스럽게 결실한 / 붉은 수수밭 사잇길에서 우리의 입김은 혹 / 邂逅할지도 / 몰라. 아. 그렇습니다.

해후(

邂逅).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5


이렇게 살아있는 사람들은 언젠가 해후의 그 날이 올 것을 믿어야 합니다. 4월과 혁명의 기억을 이야기해야 합니다. 그리하면 아이와 해후할지도 모릅니다. 그리하면 아이가 울음을 그칠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함께 하늘을 보았다고 말해야 합니다. 김 수영은

혁명은 고독한 것이라

했습니다.

2. 우리들의 일상과 자유의 아이들 고속도로에 차가 줄지어 서 있습니다. 사람들은 왜 차가 막히는 지도 모른 채

“왜 이렇게 “몰라요.”

막힙니까? ‘

말입니다.

일본의 관리가 중국의 손님에게 新幹線의 열차를 타고 가면서 자랑스럽게

“참

빠르지요? ”

중국의 관리가 되묻습니다.

“이렇게 빨리 어디로 갑니까? ”

신문을 봅니다. 세계화. 정보화. 시장경제. 민주주의...... 게이트와 음모론. 썩은 꽁치 냄새가 납니다. (꽁치들에게 미안하다.) 16

말합니다.


신문은 온갖 외설(猥褻)로 가득합니다. 마르쿠제가 말합니다. "외설이란 원래 기존체제 언어창고 속에 있 는 윤리적 개념이지만, 오늘날에 와서는 기성사회 자체의 도덕성의 표현이 아니라 다른 표현에 사용됨으로써 이 용어는 확대 적용되고 있다. 외설적인 것은 음모(陰毛)를 노출한 벌거벗은 여자의 사진이 아니라, 침략전쟁에서 받은 훈장으로 정장(正裝)을 한 장군의 사진이다. 외설스러운 것은 히피의 의식(儀式)이 아니라 평화를 위하여 전쟁이 필요하다는 교회 성직자의 설교 이다....외설에 대한 반응은 수치심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금기(taboo)를 범 하는데서 오는 죄의식의 심리학적 표현이다. 그러나 현 사회는 문명이 지니 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도덕적 금기를 상당히 침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풍요한 사회의 외설적 노출은 수치심이나 죄의식을 불러일으키지 않게 되었다.(H.

Marcuse, 유효종, 전종덕 옮김, 위대한 거부, 광민사, 1980. p.90)

기존의 도덕과 윤리란 무엇입니까? 우리에게 아무런 수치심과 죄 의식도 주지 못하는 윤리와 도덕은 무엇입니까? 라스킨은 “人間이 法이나 道德을 내세워도 어쩔 수 없이 바람직하지 않은 行動에 어떤 制約을 과하 고자 할 때에 그는 그 制約을 倫理라고 부름으로써 그것을 尊嚴한 것으로 만든다”고 했습니다(Eugene Raskin, 建築과 人間). 그래서 우리는 인간적 윤리와 도덕적 책임이라는 박제된 언어 속에서 몸을 떨고 있는지도 모릅니 다.

허위와 위선. 테러와 폭력. 경쟁과 독점. 사람들은

길들여진 타율성과 자발적 복종에

아이들이

옷을 벗었습니다.

부끄러운 일입니다. 부끄러운 줄 모르고 사는

익숙합니다.

오늘이 부끄러운 것입니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7


도덕이란 무엇이며 윤리란 무엇입니까? 우리는 오늘 아이들 앞에 어떤 모습으로 다시

마르쿠제가 말합니다.

섭니까?

“죄를 지은 것은 우리 세대가 아니라

부모의 세대이다. 그들은 관용적인 것이 아니라 위선적이다. 그들은 자식세 대인 우리들로 하여금 죄를 범하게 함으로써 자기들의 죄를 경감시키려 한 다. 그들은 우리가 그 속에 살고 싶지 않은 위선과 폭력의 세계를 만들어 왔다."(위대한

拒否, p.91)

아이들이 화가 났습니다. 아이들이 일어섭니다. 아이들이 집을 나갑니다. 어떤 아이는 지하실로 가고 어떤 아이는 아파트의 꼭대기로 올라갑니다. 그들은 우리와는 다른 감수성을 가진 자유의 세대입니다. 울리히 벡은 말합니다.“자유의 아이들은 온갖 의무와 지겨운 일에 대해, 즉 굳이 그 렇게 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아무런 설명도 없는데 그냥 고분고분 따라하기 만을 강요당하며 어느 누구도 자기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온갖 일들에 반란을 일으키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재 결집하고 있는 것이다(Ulrich Beck, 적이 사라진 민주주의, 2000, p.28).” 그들을 분노하게 해서는 안됩니다. 그들을 죽음으로 몰고 가서는 안됩니다. 누군가 그들 곁에 있어야 합니다. Fathers, do not exasperate your children; instead, bring them up in the training and instruction of the Lord.

3. 위대한 거부를 위한 아름다운 시작 - 아이들의 행복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에게 18

(Ephesians 6:4)


일탈의 일탈은 거부는 그것은

시도. 거부의 몸짓. 비움의 실천. 익숙한 것들로부터 결별을 선언하는 것입니다. 새로운 도전을 위한 자기 선언입니다. 가끔 불순합니다.

김 수영은

“모든 문학은 불온하다. 그리고 모든 살아있는 문화는

본질적으로 불온한 것이다. 그것은 문화의 본질이 꿈을 추구하는 것이고 불 가능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사람들은 더 많이 갖기 위하여 노력한다. 사람들은 더 좋은 것을 갖기를 원한다. 그래서 시장에서 무한경쟁에 몸을 맡긴다. 비판적 사고와 성찰적 실천 (Critical thinking & reflective practice).

비록 그것이 좀 불순하다고 할지라도. 이 시대가 온갖 외설로 유혹하더라도 ‘사람답게 살기 위한 아름다운 거부’를 시도해

볼 일이다.

오늘 이렇게 우리를 살아있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 나는 무엇을 나눌 수 있는가? 내가 가진 것 중에서 나눌만한 것은 무엇인가? 아름다운 마음. 아름다운 생각. 꿈. 도전. 저항. UTO Index - 1) 한가지 것(물건, 일, 취미, 일, 사랑...)에 미쳐본 경험이 있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9


2) 꼭 하지 않으면 살 수 없는 나만의 것이 있다. 3) 생각과 행동이 자유로운 편이다. 4) 남을 존중하는 대신 간섭받기 싫어한다. 5) 남과 자신을 비교하지 않는다. 6) 나의 삶을 내 스타일대로 살고 싶다. 내가 지금-여기 살아있을 확인하는 일 그리고 내가 남을 돕고자 한다고 약속하는 일 더욱이 저 좌절과 방황의 세대 곁으로 가고자한다고 선언하는 일 그래서 그들과 함께 꿈을 이루어 가는 삶을 실천하는 일. 그것은 ‘위대한 거부’를 위한 아름다운 시작입니다. 체로키(Cherokee) 할아버지가 아이에게

말한다.

“네가 필요한 것만큼만 가져라.”

" I t is the Way," he said softly. " Take only what ye nee d. When ye take the deer, do not take the best. Take the smaller and the slower and then the deer will glow stronger and always give you meat. Pa-koh, the panther, knows and so must ye." 체로키(Cherokee)할머니가

말한다.

“좋은 것은 서로 나누어라.”

“When you come on something good, first thing to do is share it with whoe ve r you can find; that way, the good spre ads out whe re no te lling will go. Which is right." (Forrest Carter, The Education of Little Tree,

Univ. of New Mexico Press, Albuquerque, 1976. p.9)

4. 끝으로 20


退溪 李滉은 自省錄에서 “옛 사람들이 말을 함부로 하지 않은 것은 실천이 따르지 못함을 부끄러워해서 였다.” (古者言之不出 恥躬之不逮也)고 말했다. 이 말은 말을 함부로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실천이 중요함을 말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나는 말하고 있습니다. 노자가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는다’고 했는 데.

信言不美 美言不信, 善者不辯 辯者不善, 知者不博 博者不知 (老子 道德經 81장) 노자의 역설 하나.

不自見故明 不自是故彰 不自伐故有功 不自矜故長 (老子 道德經 22장) 서둘러 수치산방(守痴山房)으로 가야겠습니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1


청소년복지관련 실무자 및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을 위한

청소년 문화복지 아카데미

이 론 연 구

22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3


한국의 청소년복지론 이용교 (복지평론가, 광주대학교 교수)

1. 청소년복지의 의의와 특징 청소년복지에 대한 합의된 정의는 없지만, 대체로 청소년복지는 가정이나 사회로부터 버 려지거나 적응하지 못하는 청소년뿐만 아니라, 모든 청소년의 안녕에 관심을 가진다. 청소 년복지 활동은 청소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케 하고, 정신적, 정서적, 신체적으로 최상의 발달을 기하기 위해서 청소년 자신들에게 직접적으로 또는 가정이나 사회를 통해 간접적 으로 제공되는 모든 사회제도적, 전문적 활동을 말한다(한국청소년개발원, 1994: 6). 역사적 시각에서 볼 때, 청소년복지는 ‘청소년’을 독립된 세대로 인식하게된 시대적 상황 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이용교, 1995: 12~15). 서구에서는 19세기 중반부터 의무교육이 도 입되면서 노동자의 어린 자녀들이 거리에서 사라졌다. 국가는 그들에게 새로운 기술을 가 르쳐서 장래성 있는 노동자로 키우려고 하였다. 이 시기 청소년복지의 핵심은 의무적인 초 등교육과 비행청소년에 대한 보호와 통제이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중등교육이 보편적으로 실현되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종합적인 여 가오락시설이 출현하면서 청소년기는 제도화되었다. 중등교육의 연장으로 의존의 시기는 증가되고, 학령기에 있는 세대들이 그들만의 ‘청소년문화’를 형성했다. 이들은 부모에게 의 존적인 아동에서 완전한 법적 책임을 지는 성인의 중간세대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이 시 기에 서구사회에서는 청소년을 위한 여가정책이 발달했다. 1973년 ‘오일쇼크’이후에 세계 경제의 불황과 청소년실업의 증가로 서구사회에서 청소년 정책은 청소년실업에 대한 대책으로 그 초점이 전환되었다. 학교에서 일터로, 부모 집에서 독립된 거처로, 독신에서 동거로의 전환이 경제위기로 심각하게 균열되자 국가의 관심은 고용정책을 통해서 이를 재건하고자 하였다. 물론, 정책의 대상으로서 청소년은 다양한 모습을 띨 수밖에 없었다. 하나의 인구집단으 로 범주화하기에는 청소년은 그의 연령, 성별, 인종, 계급배경, 국적 등에 따라서 매우 다양 한 하위집단으로 나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복지는 한마디로 말하기 어렵지만, 다음과 같은 특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김영모, 1991; 이영숙 외, 1993; 이용교 1995). 24


첫째, 청소년문제의 발생과 청소년복지의 필요성을 가족과 사회의 변동 자체에서 찾고 있다. 핵가족화와 이혼으로 인한 가족해체의 증가는 청소년문제의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 고, 기혼여성의 취업은 어린 아동의 탁아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정서적 성숙에도 영향을 주 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산업화와 도시화는 그 익명성으로 인하여 전통사회가 간직 한 지역공동체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아동과 청소년의 생활공간을 상업화시켰다. 따라서, 청소년복지는 가족정책, 산업정책, 지역복지정책 등 다른 사회정책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다루어진다. 둘째, 학교교육의 연장과 그 역기능 속에서 청소년복지의 필요성이 다루어진다. 의무교 육의 실시, 미진학 청소년에 대한 대책과 같은 전통적인 사업뿐만 아니라, 중등학교에 다 니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진로지도 전반에 대한 관심을 갖는다. 또한, 공교육기간이 늘어 나면서 생활교육보다는 지식위주의 교육이 만연되고, 입시위주의 교육과 과도한 학습량으 로 청소년의 건전한 신체적․정서적 성장이 왜곡되는 문제에 관심을 가진다. 지나친 지식 위주의 교육을 극복하기 위해서 청소년활동이 강조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셋째, 청소년복지를 위한 정부와 민간의 협력이 강조되고 있다. 청소년은 보는 관점에 따라 문제집단, 사회안정의 위협집단, 혹은 사회적으로 불리한 집단으로 여겨지기도 하였 지만, 오늘날 청소년은 다양한 성격의 집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집단을 위해 서 소득, 보건, 교육, 주택, 여가 서비스 등을 단일한 방식으로 제공하기보다는 국가와 지방 자치단체, 그리고 민간이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특히, 경제위 기로 국가의 재정이 위축되면서 기업, 종교기관, 시민사회단체 등 민간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넷째,

청소년을 복지의 대상으로만 인식하지 않고 사회변동의 주체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시민사회에 청소년의 권리가 강조되면서 청소년과 관련된 정책의 의사결정 에 청소년의 참여와 관여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청소년이 자원봉사활동을 통해서 지역사 회문제를 해결하도록 장려되고, 미래의 주인으로서 뿐만 아니라 현재 한 시민으로서 책임 을 다하도록 강조되고 있다.

2. 청소년복지의 시기별 특징 역사적 시각에서 볼 때, 한국 청소년복지는 해방 후 상당기간은 아동복지의 연장선에서 다루어지다가 미성년자보호법의 제정(1961)과 중앙청소년보호대책위원회의 설치(1964)로 아동과 다른 ‘청소년영역’이 설정되고, 세계청소년의 해(1985)를 계기로 하여 청소년육성법 이 제정(1987)되면서 청소년영역이 확립되었다. 청소년복지의 시기별 특징은 주요 법이나 제도의 변화에서 찾을 수 있다. 해방후부터 아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5


동복리법이 제정된 1961년까지는 청소년복지가 아동복지와 그 영역이 분화되지 않은 청소 년복지의 맹아기이고, 1962년부터 청소년육성법이 제정된 1987년까지는 청소년복지의 도입 기이며, 1988년부터 현재까지는 청소년복지의 전개기라고 할 수 있다.

1) 청소년복지의 맹아기

해방후부터 아동복리법과 미성년자보호법이 제정된 1961년까지는 청소년복지가 조선구 호령과 몇 개의 미군정 법령 및 그 처무준칙에 따라서 실시되었다. 이 시기에 청소년복지 는 아동복지와 그 영역이 구분되지 않고, 아동복지도 다른 사회복지의 영역과 별 구분 없 이 긴급구호를 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요보호아동․연소노동자․비행소년의 보호에서 청소년복지의 맹아를 찾을 수 있다. 이 시기의 보호대상은 일차적으로 요보호아동이었지만, 그 대상에 따라서 연령이 약간씩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시설보호의 대상은 13세 이하로 제한하고 있지만, 근로아동 은 18세미만, 비행소년은 20세미만으로 확대되었다. 생계욕구에 대한 복지서비스는 ‘아동’에 한정시켰지만, 노동과 인권의 옹호에서는 그 대상을 ‘소년’까지 확장시킨 것이다. 그러나, 당시의 보호수준은 매우 열악하였고, 서비스의 질에 대한 국가 책임의 한계도 명확하지 않 았다. (1) 13세 이하 요보호아동의 보호: 이 시기의 공공구호 대상은 65세 이상의 무의탁 노인, 6세 이하의 아동을 부양하는 여자(모), 13세 이하의 아동, 불치의 병으로 신음하는 사람, 요보호 임산부, 심신장애자 등이었다. 따라서, 긴급구호의 대상은 요보호아동, 여성, 노인, 장애인이었고 그 중에서 청소년은 배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일부 나이 어린 청소 년도 포함되었지만, 청소년은 아동의 연장선에서 보호된 것이다. (2) 아동시설의 인가제와 유형: 이 시기에는 사회복지시설이 그 대상별로 구분되어서, 아 동시설이 정체성을 갖게 되고 정부의 지원과 감독이 강화된 것은 의의 있는 일이었다. 정 부(사회부)는 ‘후생시설 설치기준’(1950)을 공포하여 아동시설을 ‘인가시설’로 하였다. 이 기 준은 6. 25로 발생된 수많은 전쟁고아를 수용보호 하는데 근거가 되었으며, 이후 ‘후생시설 운영요령’으로 강화되었다. 이 운영요령은 아동시설을 영아원, 육아원, 감화원 등으로 구분 하고, 이밖에도 후생시설을 모자원, 정신치료감화원, 불구자수용원, 맹아원, 직업보도원, 양 로원 등으로 구분하였다. (3) 18세미만 아동 노동의 보호: 이 시기에 청소년을 보호의 대상으로 인식한 것은 ‘아동 노동법규’에서 찾아볼 수 있다. 미군정은 ‘아동노동법규’(1946)에서 아동의 노동을 보호하기 26


위하여 상공업체 고용금지(14세 미만), 중공업체 또는 유해업체 종사금지(16세 미만), 위험 직종 또는 유해직종 종사금지(18세 미만), 그리고 일일 노동시간의 제한(16세미만은 8시간 이내로)을 규정하였다. 비록, ‘아동’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18세미만 ‘근로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최초의 규정이란 점에서 의의가 있고, 이러한 정신은 ‘미성년자노동보호 법’(1947)과 ‘근로기준법’(1953)에 의해서 계승되었다. (4) 20세미만 비행소년의 보호: 비행아동에 대한 시설보호는 일제하에서 부터 성인과 별 도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법으로 소년령(1942)이 제정되었다. 반사회적 성향을 가진 20 세미만 소년의 생활환경 조정과 성행교정을 위해 보호처분을 행하고, 형사처분에 있어 특 별조치를 하기 위한 소년법(1958)이 제정되었다.

2) 청소년복지의 도입기 우리나라에서 청소년복지가 도입되기 시작한 것은 미성년자보호법과 아동복리법(1961)의 제정에서 찾을 수 있다. 아동복리법의 제정 이전에도 ‘보호시설에 있는 고아의 후견직무에 관한 법률’(1961), ‘고아입양특례법’(1961)이 제정되었지만 그 이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 이 아동의 극히 일부인 ‘고아’에 대한 보호가 입법 목적이었다. 또한, 청소년복지의 시각에 서 볼 때, 이 시기에는 미성년자보호법이 제정되어서 청소년의 보호와 선도를 위한 법적 장치가 마련되었다. 아동복리법의 체제는 전면 개정되어 아동복지법(1981)이 제정되면서 보호의 대상이 ‘요 보호아동’에서 전체 ‘아동’으로 크게 바뀌었다. 이는 아동복지의 대상을 일부로 인식하지 않 고 전체로 본다는 점에서 큰 변화이었다. 이 법에서는 ‘아동’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18세미만의 아동중에는 사회통념상 ‘청소년’이 포함되어 있다. 이 시기에 청소년복지의 도입은 비행의 우려가 있는 미성년자의 보호와 근로청소년의 복지, 그리고 장애청소년의 복지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일반 청소년에 대한 복지는 포괄적 인 욕구의 충족과 문제의 해결보다는 선도와 보호에 한정되었다. (1) 18세미만 요보호아동의 보호: 아동복리법은 요보호아동의 연령을 기존의 13세 이하 에서 ‘18세 미만’으로 상향시키고, 아동복지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명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보호대상을 18세미만의 아동으로 확장시킨 것은 비록 ‘아동’이란 용어를 사용 하고 있지만 ‘청소년’까지 포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보호의 대상인 ‘요보호아동’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하고, 이들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명시하였다. 즉, 아동이 그 보호자로 부터 유실, 유기 또는 이탈되었을 경우, 아동의 건전한 출생을 기할 수 없는 경우, 그리고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7


기타의

경우에 아동이 건전하고 행복하게 육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제2조).

(2) 아동복리시설의 세분화: 아동복리법은 아동복리시설로 아동상담소, 보육시설, 조산시 설, 정신박약아시설, 맹아양호시설, 농아양호시설, 신체허약아보호시설, 아동휴양시설, 교호 시설, 부랑아보호시설, 소년직업보도시설, 지체부자유아보호시설, 모자보호시설 등 13개 종 류로 규정하였다. 이를 후생시설운영요령의 시설유형과 비교하여 볼 때, 시설의 종류가 세 분화되었고 특히, 장애아동을 위한 시설이 성인시설과 구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문화된 복지서비스는 대상자의 분류와 욕구에 따라서 제공되어야 하는데, 청소년복지는 아동복지 와 별도로 인식되지 않았고 아동복지의 연장선에서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시기에 설치된 아동복리(지)시설 중에서 ‘아동상담소’는 기존의 아동복리시설과는 다 른 기능을 수행하였다. 이전 시기의 시설들은 요보호아동을 긴급 구호하는 차원에서 수용 보호가 핵심이었고, 아동의 연령과 장애유무로 분리 수용하는 정도이었다. 그런데, 아동상 담소는 가정에서 보호자로부터 유실, 유기 또는 이탈된 아동을 상담하고 귀가 조치하거나 수용시설로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이 상담소는 가정과 수용시설의 중간지 점에 있으면서 요보호아동을 보호하였는데, 특히 가출․부랑아동과 학대받은 아동을 상담 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또한, 아동복리시설에 아동휴양시설을 포함시킨 것도 의미 있는 사안이었다. 전통적인 아동복리시설은 수용시설만 취급하였는데, 이 법에서 아동이용시설까지 포함시킨 것은 장 차 청소년육성법에서 ‘청소년이용시설’을 포함시킬 수 있는 선례를 보인 것이다. (3) 장애청소년에 대한 복지사업: 장애청소년에 대한 복지는 장애아동 혹은 전체 장애인 에 대한 복지와 분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졌지만, 이 시기에 뚜렷한 진전이 있었다. 1977년에 제정된 특수교육진흥법은 장애인에 대한 특수교육을 증진하여 그들에게 필요한 생활 지식과 기능을 전수함으로써 일반 사회생활에 참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장애 인에는 시각, 청각, 정신지체, 정서장애, 언어장애, 기타 심신장애자 등이 포함되었다. 이들 은 국공립 특수교육기관에 취학하거나 사립 교육기관 중 의무교육과정에 취학할 경우 무 상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일차적인 수혜자는 장애아동과 청소년이었다. 장애인 복지에 대한 관심은 1981년 세계장애자의 해를 계기로 증대되어서 심신장애자복지법이 제 정되고 보건사회부에 전담 부서인 재활과가 설치되었다. 이 법은 장애인복지에 대한 국가 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이 미약하고 장애발생의 예방과 장애인의 고용촉진에서 한계가 있 다는 비판도 받았지만, 장애인복지법(1989)으로 전문 개정될 때까지 장애인복지사업의 근 거법이 되었다. (4) 미성년자의 보호와 28

선도: 청소년에 대한 복지는 생계, 보건, 교육, 주거 등 인간의 기


본적인 욕구에서 아동과 차별화 한 것이 아니라 풍속이나 여가에서 구분하는데 그쳤다. 이 시기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대표적인 법인 미성년자보호법은 미성년자(만 20세미만)의 흡연, 음주, 기타 선량한 풍속을 해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미성년자의 보호에 필요한 사항 을 규정함으로서 미성년자의 건강보호와 선도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미성년자에게 규제하 는 행위는 대부분 성인이 아무런 죄의식이 없이 하는 행위임에도 불구하고 미성년자란 지 위 때문에 비행으로 낙인이 찍혔다. (5) 근로청소년을 위한 복지사업: 정부가 청소년에게 구체적으로 복지서비스를 준 것은 근로청소년에 대한 교육과 여가사업에서 찾을 수 있다. 일반학교에 부설된 야간특별학급과 산업체 부설학교의 개설(1977)은 중고등학교에 취학할 기회를 박탈당한 근로청소년에게 중 등교육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 사업은 산업체에게는 고용안정을 주고 근로청소년에게는 일 하면서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준 이중적 목적을 가졌지만, 배움을 갈망하는 근로청소년에 게 매우 의의있는 사업이었다. 근로청소년의 학력과 연령이 높아지면서 이 사업은 점차 축 소되었지만, 아동이 아닌 청소년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주는 사업이었다. 또한, 근로청소년 의 건전한 여가생활을 도모하기 위하여 주요 공단지역에 근로청소년회관을 건립하기 시작 하였고, 미혼 여성근로자의 주거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근로청소년 임대아파트를 건립 하기 시작하였다. (6) 청소년보호대책의 실천: 이 시기에 정부가 명시적으로 청소년을 정책의 대상으로 설 정한 것은 중앙청소년보호대책위원회(1964)의 설치이었다. 이 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은 이 시기 청소년복지의 위상을 가름할 수 있다. 즉, 청소년은 보호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국가 의 책임은 행정적인 대책을 세우는 것이며, 그 책임은 위원회로 분산되었다는 점이다. 따 라서, 매년 청소년보호대책위원회가 열렸지만, 청소년복지의 제도화 등 획기적인 정책은 수립되지 않았다. 이 위원회는 후에 청소년대책위원회(1977)로 개칭되고 위원장의 위상이 내무부장관에서 국무총리로 바뀌었지만 그 역할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청소년정책에 기 본이 되는 법을 제정하고, 이에 대한 행정체계를 갖춘 것은 청소년육성법이 제정될 때까지 유보되었다.

3) 청소년복지의 전개기 우리나라에서 아동복지와 구분되는 청소년복지의 영역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청소년육성 법(1987)의 제정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이 법의 어느 조항에도 청소년복지 혹은 복지 란 낱말은 없다. 다만, 이 법은 “청소년의 인격형성을 도모하고, 청소년의 보호․육성․선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9


도 및 지원에 관한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청소년이 국가․사회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건실하고 유능한 국민으로 성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제1조) 제정된 것에 비추어 볼 때, 청소년복지의 수행을 위한 근거법이 될 수 있다. 청소년육성법의 대체법으로 제정 된 청소년기본법(1991)에서는 “청소년의 복지를 증진”(제3조)을 법의 목적으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이 법에서도 청소년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제도가 크게 미흡하다는 점이 문제이다. (1) 청소년정책의 영역설정: 청소년육성법의 제정이 청소년복지에 미친 영향은 청소년정 책의 영역을 설정하고 이를 담당할 수 있는 행정체계가 확립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정부는 체육부에 청소년국을 설치하고(1988) 시․도에 가정복지국 청소년과 를 설치하였으며, 매년 청소년의 육성등을 위한 가정․학교․사회 각 영역에 걸친 종합계 획을 수립․시행하도록 하였다. 이 종합계획의 주요 내용은 청소년 건전활동지원, 가정의 교육기능 강화, 학교의 선도기 능 강화, 청소년 유해사회환경 정비, 위약계층 청소년 보호선도, 청소년 육성 추진기반 조 성 등으로 편성되어서 청소년복지는 위약계층 청소년 보호선도에서 취급되었다. 그런데, 위약계층 청소년 보호선도의 내용은 근로청소년, 농어촌청소년, 무직 미진학 청소년, 요보 호청소년, 비행청소년 등 주요 대상별로 추진 사업을 열거하고 있을 뿐이다(체육부, 1988: 1-2). 이러한 사업의 수준이 국제적인 기준에서 볼 때 어떠하며, 그 사업이 청소년의 욕구 와 문제를 얼마나 충족시켜주고 있는 지를 알려주지 못하고 있다. 이점에서 청소년기본법 도 청소년육성은 청소년복지의 증진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명시하고는 있지만, 청소 년복지의 정의, 청소년복지시설의 종류, 그리고 청소년복지에 대한 정부의 책임을 구체적 으로 명시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여전히 안고 있다.

* 관련 사이트: 한국청소년개발원의 홈페이지 www.youthnet.re.kr (2) 교육보호의 제도화: 이 시기에 빈곤청소년에게 가장 도움을 준 복지는 생활보호법의 개정과 그 후속 조치에서 찾을 수 있다. 생활보호법의 개정(1982)으로 보호의 종류를 기존 의 4가지 보호(생계보호, 의료보호, 해산보호, 장제보호)에 교육보호와 자활보호를 첨가한 것은 청소년복지에 획기적으로 기여하였다. 특히, 교육보호는 그 보호대상자가 중고등학생 이기 때문에 생활보호를 받는 빈곤 청소년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받았다. 1987년에 처음 실 시될 때에는 보호대상자가 생활보호대상자의 일부로 제한되었지만 점차 저소득층 자녀를 포함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입학금과 수업료를 면제하였다. 청소년기의 가장 큰 욕구가 교육욕구라고 할 때 이 교육보호는 빈곤청소년을 위한 가장 필요한 복지 사업라고 할 수 있다. 30


(3) 청소년시설의 제도화: 청소년육성법은 청소년단체의 지원과 청소년시설의 설치․운 영을 핵심적인 내용으로 담고 있다. 그중 청소년시설은 청소년 전용시설과 청소년 이용시 설로 구분되었다. 청소년시설은 청소년기본법에서 청소년수련시설로 바뀌면서 생활권 수련 시설, 자연권수련시설, 유스호스텔로 정리되고, 수련시설이 아닌 전용시설과 이용시설은 법 적 지원과 감독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이처럼, 청소년육성법은 청소년시설에 “학교시설 외에 청소년의 심신단련과 정서계발을 목적으로 설치된 시설”(제2조)을 모두 포괄하고, 청 소년기본법은 체육청소년부가 관장할 수 있는 시설만을 수련시설로 분류하였다. 양 법에서 모두 청소년복지시설은 매우 소홀히 다루어졌고, 특히 요보호청소년을 일시 적․장기적으로 수용보호하고 치료하는 청소년쉼터, 가출청소년보호시설, 학대받는 아동일 시보호시설, 약물오남용치료시설, 청소년 중간의 집 등의 설치․운영 그리고 이러한 복지 시설에 대한 정부 지원 등에 관한 규정이 없었다. (4) 청소년상담사업의 확대: 정부는 전체 청소년의 건전한 육성과 특히 요보호계층 청소 년의 고민상담, 취업과 진로, 여가문제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청소년종합지원센타를 1990년 도에 대구와 광주에 설치하였다. 이 지원센타는 1년동안 시범 운영한 결과 전문적인 청소 년상담사업을 전개하기 위하여 1991년부터 시․도 청소년상담실로 개칭하고 다른 시․도 에도 확대되었다(최현 외, 1991: 132). 시․도 청소년상담실은 일반 청소년을 위한 복지기관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청소년의 고민을 상담할 수 있는 통로가 되었고, 운영비를 중앙정부와 시․도가 공동으로 분담한다 는 점에서 재원조달 방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청소년상담실은 기존의 근로청소년회관과 달리 행정공무원이 운영하지 않고, 청소년단체 등 청소년관련 기관이 시․도청으로부터 위 탁받아서 운영하면서 사회복지사 등 전문가를 채용하였다는 점에서 청소년복지사업의 전 문성을 제고하였다. 시․도 청소년상담실과 별도로 시․군․구 단위에도 청소년상담실이 설치되기 시작하였 다. 전북 지역의 경우 1989년부터 시․군 단위에 청소년상담실이 설치되었는데, 시․군 지 역에서는 청소년상담에 대한 욕구가 아직 낮고, 운영비를 전액 지방비(시․도와 시․군이 분담)로 충당하기 때문에 그 액수가 적어서 전문인력의 확보와 사업의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5) 사회복지사업과 낮은 연계: 청소년복지사업의 가장 큰 문제점은 사회복지사업과 연 계성이 별로 없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청소년기본법은 사회복지사업의 수행에 기본이 되 는 사회복지사업법과 연계가 없는 상태이다. 때문에 청소년복지의 수행을 위해서 불가피하 게 필요한 사회복지법인의 등록, 사회복지사의 채용,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국가의 책임 등 이 모두 배제되고 있는 셈이다. 청소년사업의 하나로 청소년복지가 논의되고 있지만, 현재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1


한국 청소년복지사업은 사회복지사업체계에서 시설은 법적 행정적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누락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청소년복지

3. 청소년복지의 실태와 과제 현대사회에서 청소년복지가 요청되는 요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양육비의 증가와 부모의 결손 등으로 청소년이 자라기에 가족의 양육환경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이 고, 다른 하나는 청소년이 고민을 가지거나 문제행동을 하는 경우이며, 그리고 연령차별과 유해환경과 같이 사회환경에 문제가 있는 경우이다. 이처럼 청소년복지를 요청하는 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청소년복지를 실현시키기 위한 대안도 매우 다양하다.

1) 가족 양육의 보완 (1) 생활보호 청소년기는 부모의 보호를 받으면서 살아가는 시기이기 때문에, 부모가 없거나 한쪽부모 밖에 없다는 것은 그 자체가 결손이다. 결손가족은 대체로 낮은 소득으로 말미암아 경제적 인 문제를 갖게된다. 편부모 가족은 1966년 39만 가구에 불과했으나 1990년 89만 가구로 증가하였고, 최근 1백만 가구를 넘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각종 사고나 재해로 인한 사 망자 수의 증가와 함께 과거에 비해 가정불화로 이혼․별거하는 부부가 크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결손가족이 되는 과정에서 흔히 경제적 손실과 정서적 손상을 받기 쉽다. 그 동안 청소년복지사업은 아동복지의 하나인 육아시설보호사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아동복지법은 “아동이 건전하게 출생하여 행복하게 육성되도록 그 복지를 보장함을 목적으 로 한다”(법 제1조)라고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로 보호를 받은 아동들은 대부분 요보호아동 이고 이들은 시설보호를 받았다. 아동복지시설은 대부분 육아시설보호와 밀접히 관련된 것 들이다(시행령 제2조). 가정에서 이탈된 요보호아동은 아동상담소를 거쳐서 영아시설이나 육아시설에 입소하고, 육아시설에서 퇴소한 아동은 직업보도시설이나 자립지원시설을 거쳐 서 사회에 진출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설보호사업은 생활보호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되었는데, 1985년부터 소년소녀가 장지원사업이 도입되면서, 요보호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거택보호가 새롭게 인식되었다. 발 생된 요보호아동을 시설에 입소시키기보다는 가능한 한 기존의 가정에서 보호하는 방안을 장려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현재 시설보호는 거택보호와 연계가 부족한 상태에서 별도의 사업인 것처럼 운영되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 32


“아동이 그 보호자로부터 유실, 유기 또는 이탈된 경우, 그 보호자가 아동을 양육하기에 부적당하거나 양육할 능력이 없는 경우”(법 제2조 3호)라고 시장․군수에 의해서 판정된 아동은 거택보호나 시설보호를 받게 되는데, 한번 요보호아동이 되면 그 보호자의 부양의 무는 사실상 면제되고 있다는 것은 큰 문제이다. 특히, 시설에 입소한 후에는 아동의 보호자에게 아무런 책임도 묻지 않는 관행은 아동양 육을 기피하는 보호자에게 남용될 수 있다. 현재 육아시설에서 보호를 받고 있는 아동의 약 8할에게는 아버지나 어머니가 있다는 사실에서 볼 때, 보호자의 양육기피로 인한 아동 의 가정복귀의 지연은 큰 사회문제이다. 또한, 보호자가 없는 아동과 청소년을 소년소녀가 장세대로 지정한 후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 것도 문제 이다. 따라서, 요보호아동에 대한 보호자의 책임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적절히 조정 할 필요가 있다. 한가지 방법으로 요보호아동이 발생하면, 시장․군수는 그 보호자와 협의 하여 보호방법과 기간을 문서로 명시하여 보호조치를 취하고, 보호기간이 지나면 욕구사정 을 다시 하여야 한다. 보호방법도 보호자의 양육여건과 청소년의 욕구 등을 충분히 고려하 여, 거택보호와 시설보호가 유기적인 연계성을 가지고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시설보호 기간 중에도 명절이나 연휴기간에는 아동이 보호자를 방문하게 하고, 보호자도 복지시설을 방문하여 상담할 수 있도록 하여서 조기귀가를 촉진시킨다. 현재 육아시설의 경우도 시설 당 평균 70여명의 아동이 집단생활을 하고 있는데, 시설에 서 유사 가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규모시설은 장기적으로 집단가정으로 변화 시키고, 우선 시설별로 집단가정을 한 두개씩 시범 운영하도록 한다. 이러한 집단가정은 시설의 분원과 같이 운영할 수 있는데, 주요행사는 본원과 함께 하고, 일상생활은 분원에 서 독립된 가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일본에서도 시범사업으로 실시되 고 있는데 좋은 효과를 얻고 있다. (2) 교육보호 지난 30년 동안 도시근로자 가구의 가계수지 변화를 보면, 교육비와 교양오락비가 매년 크게 증가되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비지출 중 교육비의 비중은 1966년 5.8%에서 1996년 9.8%로, 교양오락비는 1.6%에서 5.2%로 증가되었다. 정부는 빈곤가족의 자녀교육비를 보 충하기 위하여 생활보호대상자에게는 1979년부터 중학교 입학금과 수업료를 지원하기 시 작하여서, 현재는 고등학교까지 확대하고 있지만, 그 혜택을 받는 사람은 전체 중고등학생 의 3.3%(151천명)에 불과하다. 그런데, 고등학교 취학률이 98.0%이상이고 대학취학률이 6할을 넘는 상황에서 교육보호 의 범위를 중고등학교로 한정하는 것은 교육의 기회균등과 선택의 자유라는 취지에서 볼 때 불합리하다. 따라서, 소년소녀가장세대에게만 주고 있는 교과서대, 학용품비 등 교육비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3


를 다른 생활보호대상자에게 확대하고 점차 대학이나 대학교까지 교육보호를 확대시켜야 할 것이다. 일본의 육아시설에서는 사립고등학교에 진학을 장려하고 있는데, 교육비가 공립학교보다 많이 들더라도 요보호청소년의 경쟁력을 위해서 그렇게 한다. 실제로 요보호청소년은 사회 진출시에 부모와 가정의 지원을 거의 받을 수 없기 때문에 개개인이 다른 젊은이보다 능 력을 가져야만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다. 학습능력이 있는 요보호청소년은 대학교에 진학 할 수 있도록 긍정적 차별을 제도화해야 할 것이다. 선진외국에서는 무상교육의 기간을 고 등교육으로 늘려서 각 가족의 교육비부담을 줄이고, 자녀양육비를 공적으로 분담하기 위해 서 세계 82개국에서 대체로 16세미만 아동의 양육비의 일정비율을 국가가 가족(보호자)에 게 ‘가족수당’(혹은 아동수당)으로 제공하고 있다(청년사회복지사연대, 1997: 180-183). (3) 시설보호 부모 혹은 보호자가 청소년을 보호할 수 없을 때, 그 청소년은 사회복지시설 등에서 보 호를 받게 된다. 우리나라 아동과 청소년복지는 해방과 6.25로 귀환동포와 전쟁고아를 긴 급히 보호하는 문제가 가장 시급하였기 때문에 시설보호에 최우선순위를 두었다. 그러나, 전쟁고아가 성장하면서 점차 시설보호자의 수는 감소하였고, 소년소녀가장세대 지원사업과 같이 요보호아동을 가정에서 보호하는 방식을 장려하고 있다. 현재의 시설보호방식은 “보 호자가 없거나 보호자가 있어도 보호할 능력이 없는” 경우로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부모의 양육을 받지 못하는 아동․청소년 중에는 국가의 지원을 받는 사회복지시설에 입소하지 못하고 국가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소규모 시설에서 보호받기도 한다. 사회복지서비스는 대상자에 대한 획일적인 서비스보다는 개별화된 서비스를 하는 것을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지만, 현실은 수용시설의 경우 최소한 30명 이상을 수용해야 사회복지 법인이 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수많은 소규모시설과 집단가정이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 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에서 소외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있는 아동과 청소년복지 시설을 활용하여 대규모시설을 소규모시설처럼 운영하고, 무인가 집단가정을 합법화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1997년에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은 사회복지법인이 운영하지 않는 소규모시설도 일정한 신고요건을 갖추면 사회복지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개정법의 취지를 살려서 시설 보호를 소규모화 하고 시설보호의 수준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2) 청소년문제의 예방과 치료 (1) 상담서비스 청소년기는 신체적 34

정신적으로 성장하는 시기이기에 자신의 몸과 마음의 변화에 대해서


민감하고,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노력하지만, 적절한 자원을 찾지 못한 경우가 많다. 우리 나라 청소년은 주로 학습에 관한 고민과 성적 문제를 호소하고 있다. 청소년이 고민 하는 문제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있고, 가치판단과 절도 있 는 생활에 의해서만 해결할 수 있는 것도 있다. 그런데, 우리 사회는 학교에서는 입시위주 의 교육 때문에 체험학습의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였고, 성교육은 청소년이 이미 알 고 경험하는 것을 적절히 지도하지 못하였다. 정부는 청소년상담을 체계화하기 위하여 시․도 단위에 청소년종합상담실, 시․군․구 단위에 청소년상담실을 설치하고, 이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상담원을 설립하였 다. 이러한 상담기관에서는 전화상담과 면접을 통하여 청소년에게 다양한 상담을 실시하 고, 부모교육 등을 통해서 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촉구하기도 한다. 최근 중고등학 교에서 집단따돌림, 학교폭력 등이 심각하게 인식되면서, 청소년문제를 예방하거나 조기에 치료할 수 있도록 학교사회사업이 도입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 관련 사이트: 한국청소년상담원의 홈페이지

www.kyci.or.kr

(2) 일시보호서비스 부모의 이혼, 별거, 가출, 사망 등으로 인하여 아동과 청소년들이 가정에서 적절히 보호 받지 못하는 사례와 함께, 청소년가출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정부의 대책 은 매우 소극적이다. 과거에는 가족의 빈곤 때문에 취업을 겸한 탈출형 가출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입시위주의 교육환경에서 벗어나고 유흥업소주변에서 즐기려는 추구형 가출이 많아지고 있다. 가출청소년은 가출횟수와 가출기간이 늘어날수록, 유흥업소나 관련 업소에 서 일하기 쉽다. 청소년의 가출이 단순가출에서 만성가출, 일회성 가출에서 반복성 가출로 악화됨에도 불구하고 가출청소년에 대한 정부의 대책은 일회성 단속과 귀가조치에 불과하 다. 즉, 가출한 청소년이 거리를 배회하다가 경찰에 단속되면 아동상담소에서 보호자에게 인계하거나 부득이한 경우 육아시설에 입소하는 것에 그쳤다. 아동상담소의 보호를 받는 사람은 대부분 아동이고 청소년도 일부 보호를 받는 정도이었다(이영희, 1992: 96). 그런데, 가출청소년의 경우에는 유흥업소등에 취업을 하여 생계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실 상 보호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였다. 한 조사에 따르면, 중고등학생의 14.3%는 가출한 경험 이 있고, 가출경험이 있는 학생 중 23.8%는 유흥업소에 취업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서울 YMCA, 1991: 41). 미성년자가 유흥업소에 출입을 하는 것은 불법이고, 19세미만의 청소년 이 유흥업소에 취업을 하는 것도 불법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극적인 단속이 필요하다. 현재 가출청소년을 위한 일시보호시설은 일부 청소년쉼터만이 정부의 재정지원을 받고 있다. 청소년쉼터는 가출한 청소년이 비행을 저지르는 것을 예방하고 가정복귀를 돕기 위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5


해서 숙식제공, 상담, 부모상담, 이송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쉼터는 종교기관 등에서도 운영하고 있는데, 재정적인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가출청소년을 위한 쉼터를 이 들이 많이 모이는 지역에 설치하여 조기 귀가와 자립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족의 결손이나 해체로 돌아갈 가족이 없는 요보호청소년을 일시적으로 양육하는 보호시설이 도 시빈민지역에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새로운 청소년복지시설은 청소년기본법이나 청소년보호법에 명시하여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기본법은 그 목적과 정의에서 “청소년의 복지를 증진하고..... 청소년의 균형 있 는 성장을 돕는 것”(법 제3조)이라고 명시함에도 불구하고, 청소년복지, 청소년복지시설에 대한 정의가 누락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 청소년복지사업으로 하고 있는 청소년상담실, 청 소년쉼터, 청소년공부방 등을 포함하고, 학대받는 아동의 치료시설, 약물 오남용 청소년치 료시설 등을 신설하여 청소년복지시설로 규정하여야 할 것이다. 관련 사이트: 강남구 청소년쉼터의

홈페이지 www.ts7942.or.kr

(3) 문제행동에 대한 대책 청소년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주로 청소년문제의 유형과 그 추세에 집중되어 있다. 대검찰청에 따르면, 청소년의 범죄자의 수는 늘어나고, 연령이 낮아지며, 폭력화되는 경향 이 있다. 그런데,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대한 사회적 반응은 과장된 점이 없지 않다. 신문이 나 방송은 학교폭력 등을 통해서 청소년이 범죄집단인 것처럼 보도하는 경향이 있지만, 전 체 범죄자중에서 청소년의 비율은 1985년 10.2%(102,225명)에서 1997년 7.6%(164,182명)까 지 오히려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문화관광부, 1998: 430).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면, 그들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문제행동을 한 청소년을 적절히 보호하고 교정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검찰에 통제된 범죄 소년 중에서 극히 일부는 소년원으로 송치되고, 대부분은 보호관찰, 선도조건부 기소유예 등으로 사회에 내보내진다. 그런데, 보호소년에 대한 상담, 진단, 치료, 그리고 사회복귀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반성문이나 보호자의 각서 한 장으로 종결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청소년문제를 예방하는 활동과 함께 문제유형별로 전문적으로 보호하고 치료할 수 있는 청소년복지시설이 절실하다.

* 관련 사이트: 청소년폭력예방재단의 홈페이지

3) 사회문제의 예방과 피해자 원조 36

www.jikim.net


(1) 청소년권리의 옹호 청소년복지를 모색할 때, 가장 근본적인 쟁점중의 하나는 연령차별이다. 전통사회는 청 소년을 미성년자로 보고, 그의 보호와 복지는 부모의 책임으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청소년 관은 장유유서란 가치관과 함께 널리 생활화되어 청소년의 입장을 배제시켜왔다. 그런데, 청소년을 하나의 인격체로 인식하자는 사회사조는 힘을 얻어서, 1989년에 유엔총회는 ‘아 동의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을 채택하고 최선의 이익을 보장하기 위해서 청소년의 의견을 존중하고, 청소년의 참여를 보장할 것을 천명하였다. 아동과 청소년의 인권을 침해하는 것은 헌법에서 보장하는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이고, 동시에 국제법의 위반이기도 하다. 한국 정부가 1990년에 서명하고 1991년에 비준 한 이 협약의 제19조 제1항은 “당사국은 아동이 부모, 후견인 기타 아동 양육자의 양육을 받고 있는 동안 모든 형태의 신체적, 정신적 폭력, 상해나 학대, 방임 또는 유기, 성적 학대 를 포함한 혹사나 착취로부터 아동을 보호하기 위하여 모든 적절한 입법적, 행정적, 사회 적 및 교육적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였다. 따라서 정부는 이 협약에서 규정한 권리 내용을 아동과 청소년에게 가르쳐야 하고, 기존 국내법이 이 협약의 내용과 배치될 경우에는 개정하여야 한다. 예컨대, 대부분의 중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집단활동을 학교 장의 사전승인을 받도록 하고 있는 것은 기본적 인권인 표현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 를 명백히 침해하는 것이다. 또한, 범죄를 저지른 비행청소년중의 상당수는 가족의 결손이나 빈곤으로 인하여, 적절 한 법률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경찰의 수사단계에서부터 변호사의 도움을 받 았다면, 선도조건부 기소유예로 불기소되거나 보호관찰로 풀려나올 수 있는 경우에도 단지 보호자가 없기 때문에, 소년원에 송치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따라서, 피의자인 청소년이 법률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법률구조사업을 펴고, 소년보호위원제도를 활성화하여 청소 년이 사회 속에서 교정교화받을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14세미만의 청소년은 형사미성년자로 법의 보호를 받기도 하지만, 형사미성년자란 이유 때문에 범죄의 피의자로 악용되는 경우도 있다. 대개의 경우 경찰이 수사단계에서 협박과 회유 그리고 가혹행위를 통해서 청소년에게 자백을 강요한 후에 형사미성년자란 이유로 기소를 하지 않는 방식으로 처리하는 사례가 있다. 이처럼, 청소년의 인권을 옹호하는 사업은 모든 청소년에게 교과서를 통한 권리교육에서 부터 비행청소년에 대한 법률서비스까지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청소년의 인권을 옹 호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생활과 문제, 그리고 청소년의 욕구에 맞는 적절한 사업을 연구 하는 청소년복지연구소와 청소년인권센타 등이 설립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유엔 아동권리위원회는 한국정부에게 아동과 청소년의 인권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조속한 시일 안에 유보사항을 철폐하고, 아동․청소년의 부모면접권을 보장하며, 부모의 이혼시 양육과 친권에 관한 15세 미만 아동․청소년의 의사 표시권을 보장하고, 입양시 15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7


세 미만 아동․청소년의 의사결정권을 보장할 것 등을 권고하였다(한국청소년개발원, 1997: 215~220). 정부는 유엔의 권고사항을 조속히 이행하여야 할뿐만 아니라, 법과 제도에서 불 합리한 연령차별을 철폐하고, 청소년의 이익을 최대한 보장하는 법과 제도를 수립해야만 한다.

* 관련 사이트: 중고등학교 학생복지회의 홈페이지 member.hitel.net/~k2sws (2) 학대받는 청소년의 보호 한 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 매를 맞은 아동과 청소년의 비율을 보면, 전체 청소년 중에서 교사로부터 97.3%, 부모로부터 89.6%, 교내학생으로부터 35.8%, 불량배로부터 18.1%인 것으로 나타났다(김혜숙 외, 1994: 25). 한국성폭력상담소에서 일년동안 성폭력에 대한 상담은 1,356건으로 전체의 78.7%를 차지하였다. 피해자의 연령을 보면, 20세 이상의 성인이 51.2%, 14-19세의 청소년이 17.6%, 13세 이하의 어린이가 28.7%를 차지하였다. 일 반 강간과 성추행은 아는 사람에 의한 피해가 전체의 62.9%이다. 부모, 친척, 오빠 등 아동 과 청소년의 보호자 혹은 지지자가 되어야 할 사람이 성적 학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성폭력상담소, 1995: 6). 아동에 대한 신체적 학대는 과거 아동복지법에 신고의무가 없기 때문에 신고가 저조하 였다. 개정된 아동복지법은 학대금지 행위를 위반한 보호자를 조사할 수 있고, 학대받은 아동을 강제로 격리보호 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시․도 아동상담소에서 아동학 대의 사례를 신고 받기도 하고, 아동학대예방을 전담하는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신설되어 활 발히 활동하고 있다. 성적인 학대인 경우는 1994년 4월 1일부터 발효된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성폭력특별법)로 인하여 과거보다 신고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성적으로 학대받은 아동도 경찰이나 검찰의 조사과정에서 지나치게 많은 물증을 요구하는 현행법 때문에 성적 모독을 당하기 쉽기 때문에 고소를 취하하거나 출두를 포기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박명윤, 1994: 37-38). 학대받는 아동을 체계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아동학대에 대한 신고체계를 보완하고, 피 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의료적 서비스를 전문화해야 한다. 학대받은 아동을 위기 상담하고 학대의 정도에 따라서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기관의 설립은 매우 절실하다. 당분간 새로운 기관의 설립이 어렵다면, 대학병원이나 시․도립 병원을 시․도 단위에 1개소이상씩 아동 학대치료센터로 지정하여 피해 아동과 청소년뿐만 아니라 가해자를 위한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이용교, 1993: 248).

38


(3) 청소년유해환경의 규제 청소년의 성장과 발전을 해치는 유해한 환경을 바꾸지 않고는 청소년의 복지를 실현시 킬 수 없다. 공격성을 자극하고 성적 수치심과 성충동을 조장하는 폭력적이고 음란한 대중 매체, 청소년에게 음주, 흡연, 성행위를 부추기는 유흥업소가 가정과 학교근처에 산재해 있 다. 정부는 학교보건법, 풍속영업에 관한 규제 법률 그리고 청소년보호법 등에 의해서 유 해한 업소의 출입, 유해매체의 이용 등을 통제하고자 하나 그 성과는 크지 않았다. 청소년에게 유해한 물품, 시설, 매체 등은 합법적이거나 불법적인 형태로 청소년들을 고 객으로 하는 상품인 경우가 많다. 예컨대, 음란비디오는 성인용이란 명목으로 생산되어 청 소년에게 판매되거나 대여되고, 제작 자체가 불법인 음란물인 경우도 있다. 특히, 폭력성과 음란성이 있는 매체들이 비디오, 컴퓨터통신, 유선방송, 혹은 공중파방송 을 통하여 유통되기 때문에 전통적인 법으로 규제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청소년과 부모가 중심이 되어서 지역사회에서 모니터와 불매운동 등으로 이러한 유해한 매체를 규제하는 사회운동을 실시하여야 한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도 법률이나 조례 등을 통하여 청소년 유해환경을 보다 합리적으로 규제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청소년의 흡연을 부추 기는 담배자판기를 규제하는 조례를 제정한 부천시의 사례는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환자에게 적당한 양을 사용할 경우에는 약이 되거나 생활에 꼭 필요한 본드, 부탄가스 등 화학물질들이 청소년들에게 남용되는 것이 큰 문제이다. 한 조사에 따르면, 최근 30일 이내에 남녀 고등학생들이 사용한 경험이 있는 약물들을 보면, 법적 제재가 없거나 미약한 술과 담배는 각각 40.6%, 20.5%이고, 사용 경험율이 약간 높았던 약물은 각성제(2.8%), 수 면제(2.4%) 등이며,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는 가스(0.8%)나 본드(0.7%)를 흡입하거나 대마초나 마약을 남용한 경우도 각각 0.3%인 것으로 나타났다(최경구 외, 1994: 14-17). 유해한 물품과 매체의 사용과 시설의 이용은 습관화되기 때문에, 유해한 환경에 과도하 게 노출되어 중독된 아동과 청소년을 치료할 수 있는 시설이 요청된다. 청소년 약물치료센 터같은 시설이 시도단위에 1개소 이상씩 설치되거나 관련 전문의가 있는 공공병원을 치료 센터로 지정해야 할 것이다. 유해환경에 대한 규제가 소극적인 대책이라고 볼 때, 유익한 환경의 조성은 적극적인 복 지대책이다. 우리나라 청소년에게는 놀이시간이 부족하고, 싼 가격으로 즐길 수 있는 놀이 공간이 크게 부족하다. 정부는 시․군․구단위 청소년시설을 1992년 262개소에서 1997년 470개소로 늘렸지만, 청소년이 접근하기 어려운 도시변두리에 입지한 경우가 많다. 청소년 시설이 있어도 청소년의 이용시간대인 평일 저녁시간과 주말에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 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은 규모라도 청소년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증설하고, 청소년전문가를 배치해서 이들의 욕구에 맞는 사업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청소 년시설뿐만 아니라, 각종 문화체육시설과 생활용품을 싼값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청소년카드 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9


(4) 청소년노동력의 보전 청소년중 학생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근로청소년의 비율은 급속히 감소하였다. 고등학교 취학률은 1970년 28.1%에서 1995년 89.9%로 증가하였지만, 학생의 신분이면서 시간제로 일하는 청소년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아르바이트란 이름으로 일하는 수많은 청소년은 근로기준법이 미치지 않는 5인미만 사업장에서 일하여, 근로시간, 임금 등 근로조건에서 법적 보호를 받기 어렵다. 19세미만의 연소자는 술을 파는 일과 심야노동(22시~6시)이 법 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수많은 청소년이 단란주점 등에서 밤늦게까지 술을 팔고, 매매춘에 관여하기도 한다. 청소년의 노동력을 착취하거나 청소년에게 성적 서비스를 강요하는 유흥 업소 혹은 변태업소에서 청소년을 고용하는 것을 엄격히 규제하고, 청소년의 심야노동에 대한 근로감독을 강화하며, 청소년의 능력과 흥미에 맞는 일거리를 많이 개발해서 소개하 는 직업알선과 창업을 장려해야 한다.

4. 청소년복지의 전망 1980년대 중반까지 청소년복지는 아동복지의 하나로 다루어졌고, 관심영역도 청소년의 비행이나 문제를 중심으로 제한되었다. 지난 10여년 사이에 청소년복지에 관한 사회적 관 심은 양적으로 증가하고 질적으로 심화되었으며, 앞으로 다음과 같이 변화될 것으로 전망 된다. 첫째, 청소년복지 관련 시민단체가 출현하면서 관심영역이 세분화될 것이다. 이미 청소 년의 가출, 학교폭력, 인권문제 등이 사회적 관심사가 되었고, 앞으로 부모가 있는 요보호 아동의 양육, 학교사회사업, 청소년 실업 등이 관심을 받을 것이다. 둘째, 청소년복지에 대한 관심은 관심영역별로 세분화된 학술단체가 연구를 주도하면서 더욱 증폭될 것이다.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한국청소년학회의 창설(1991)로 체계화 되었고, 최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한국청소년복지학회, 한국아동권리학회 등 전문 학술 모임이 청소년복지 영역에 대한 연구를 강조하고 있다. 셋째, 청소년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청소년복지시설이 확충되면서 시설이용자의 욕구와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것이다. 넷째, 청소년복지가 일부 문제청소년이나 요보호청소년에 국한되지 않고 전체 청소년의 학습과 생활로 확산될 것이다. 학생 봉사활동, 청소년 인권신장, 중등교육의 의무 교육화, 학교급식의 확대, 청소년의 다양한 체험활동에 대한 강조 등은 전체 청소년의 ‘삶의 질’에 관심을 둘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복지의 과제는 현재와 가까운 미래의 청소년욕구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 40


고, 청소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일이어야 한다. 첫째, 정부는 아동의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에서 규정한 권리 내용을 아동과 청소년에게 가르쳐야 하고, 기존 국내법이 이 협약의 내용과 배치될 경우에는 개정하여야 한다. 특히, 부모의 이혼이나 입양, 파양 등에서 충분한 보호를 받지 못하는 요보호청소년의 인권을 보 장할 수 있는 제도를 갖추어야 한다. 둘째, 요보호청소년에 대한 보호자의 책임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적절히 조정 할 필요가 있다. 요보호청소년이 발생되면, 시장․군수는 보호자의 양육여건과 청소년의 욕구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거택보호와 시설보호가 유기적인 연계성을 가지고 이루어지도 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현행 청소년복지시설은 관련법의 부재로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 므로 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즉, 가족의 결손이나 해체로 돌아갈 가족이 없는 요보호청소 년을 일시적 혹은 중장기적으로 양육하는 보호시설을 확충하고, 약물을 오남용하거나 문제 행동을 하는 청소년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형 보호시설을 시․도 단위에 1개소 이상씩 설 치 혹은 지정해야 할 것이다. 넷째, 생활권단위별로 청소년사업이 구현되어야 한다. 청소년들의 가장 큰 욕구중의 하 나가 ‘놀 시간과 갈 곳이 없다’는 것에 비추어 볼 때, 입시부담을 줄여서 여가시간을 확보 하게 하고, 여가시간을 유익하게 보낼 수 있도록 청소년시설을 지으며, 이미 설립된 청소 년시설에 전문인력을 충원하고 사업비를 확보해서 이용율을 획기적으로 고양시켜야 할 것 이다.

* 관련 사이트: 하자센터 www.haja.net 서울시 청소년문화교류센터(미지센터) www.mizy.net 서울청소년정보문화센터 www.ssro.net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www.pumdongi.org 다섯째, 각종 청소년복지사업을 제도화하기 위해서는 청소년기본법이나 청소년보호법에 청소년복지와 청소년복지시설에 대한 규정을 명시하고, 사회복지사업법에 청소년복지사업 을 포함시켜야 한다. 청소년기본법은 ‘청소년의 복지 증진’을 명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청 소년복지, 청소년복지시설에 대한 정의가 누락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 청소년복지사업을 하고 있는 청소년상담실, 청소년쉼터, 청소년공부방 등을 포함하고, 학대받는 아동의 치료 시설, 약물오남용 치료시설 등을 신설하여 청소년복지시설로 규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제안은 청소년도 이 땅의 시민임을 인정하고 그들의 욕구와 문제에 맞는 청소년 복지사업을 구상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의 청소년사업은 주로 요보호청소년에게 최소한 의 복지서비스를 주려는 것이었는데, 이제는 모든 청소년을 위한 보편적 복지서비스를 개 발하면서, 특별히 더 많은 욕구가 있는 청소년에게 선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41


로 발전시켜야 한다.

42


□ 참고 문헌 □ 김영모 외(1991), 청소년정책연구,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문화체육부(1996), 청소년백서. 문화관광부(1998), 청소년백서. 이영숙 외2인(1993), 외국의 청소년복지정책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이용교(1993), 한국청소년복지의 현실과 대안, 은평천사원 출판부. 이용교(1995), 한국청소년정책론, 인간과복지. 이용교(2001), 복지는 생활이다, 인간과복지. 이용교(2002), 디지털 사회복지학, 인간과복지. 이종복 외(1998), 현대청소년복지론, 양서원. 이태수 외(1997), 소규모 아동복지시설연구, 인간과 복지. 청년사회복지사연대(1997), 복지대통령 만들기, 인간과 복지. 한국청소년개발원(1994), 청소년복지론, 인간과 복지. 한국청소년개발원(1997), 청소년인권보고서, 인간과 복지. 한국청소년학회 편(1999), 청소년학총론, 양서원. 홍봉선․남미애(2000), 청소년복지론, 양서원. Frost, Nick and Stein, Mike(1989), The P olitics of Child Welfare -I ne quality, P owe r and Change, New York: Harvester Wheatsheaf. Jeffs, Tony and Smith, Mark(ed.)(1988), We lfare and Youth Work Practice, London: Macmillan Education Ltd. White, R. D(1990), N o Space of Their Own-Young people and social control in Australi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관련 사이트 □ 한국복지교육원 www.welfare.pe.kr 한국청소년개발원 www.youthnet.re.kr 한국청소년상담원 www.kyci.or.kr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www.youth.re.kr 청소년문화탐방 www.metro.seoul.kr 사이버유스 www.cyberyouth.org 청소년인터넷방송국 www.kybc.org ch.10 www.ch10.com 사회복지정보원 www.welfare.or.kr 유네스코한국위원회 www.unesco.or.kr

하자센터 www.haja.net 서울시 청소년문화교류센터(미지센터) www.mizy.net 아하! 청소년성문화센터 www.aha.ymca.or.kr 청소년폭력예방재단 www.jikim.net 서울청소년정보문화센터 www.ssro.net 아이두 www.idoo.net 중고등학교 학생복지회 member.hitel.net/~k2sws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www.pumdongi.org 강남구 청소년쉼터 www.ts7942.or.kr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43


청소년문화론 김 민 (주성대학 청소년문화학과)

크리스마스와 아이

거리의 쇼 윈도우는 호화롭게 장식되어 있었고, 크리스마스 캐롤이 즐겁게 흘러나오고 있었다. 산타클로스 할아버지는 길모퉁이에 서서 지나가는 이들을 즐겁게 해주고 있었다. 길옆에는 장난감도 많이 진열되어 있어서 어머니는 아들이 퍽 기뻐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한참을 거닐다 보니 아들이 어머니의 코트에 매달려 훌쩍훌쩍 울고 있는 것이었다. 아이 신발끈이 풀려있는 것을 본 어머니는 무릎을 꿇고 앉아 풀린 신발끈을 다시 매어주었다. 신발끈을 다 매고난 후, 무심코 고개를 든 어머니는 깜짝 놀랐다. 앞엔 아무 것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멋있게 반짝이는 불빛도, 쇼윈도우도, 장난감도 보이지 않았다. 모든 것이 가려져 아무 것도 보이지 않았던 것이다. 굵은 다리와 엉덩이들이 서로 밀고 부딪치면서 바삐 움직이는 흉한 모습만이 눈에 들어오는 것이었다. 아이의 눈높이로는 처음 본 세상이었다. 어머니는 크게 놀라 집으로 돌아오면서 다시는 자기기준으로 한 즐거움을 아이들에게 강요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44


1. 프롤로그

최근 들어 청소년현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오늘날의 청소 년들의 처지와 입장에 점차 공감해 하는 추세다 그러나 몇 년 전만 해도 청소년현상은 단 순히 문제 일탈 비행의 관점으로 조명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이런 경향의 배면에는 기본 적으로 전통적 유교양식에 기초한 성장세대에 대한 기성적 흐름의 헤게모니 가 단단히 자리잡고 있었고 대중교육의 확산에 힘입어 이들을 단순히 학습의 대상으로 폄훼 하므로써 가능했다 여기에 더해 우리사회가 압축적 근대기를 거치며 다양성의 전제가 되 는 차이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청소년현상 은 쉽사리 청소년문제 로 포장되기 일쑤였다 그러나 이 글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내용은 단연코 청소년문제 가 아니다 특히 이 글의 주요 논제가 청소년문화 읽기1)에 대한 것이라면 기본적으로 청소년현상을 청소년문제 중 심으로 보는 기존 시선에 대한 조율과 전환이 필요하기에 청소년문제에 대한 언급을 한 것일 뿐이다 문득 이 글을 쓰면서 나의 개인적인 경험을 먼저 할까 한다 지금 고백하건대 난 내가 나온 대학 학부에서 이단자였던 것 같다 물론 다른 대학보다는 그 분위기가 한껏 자유로 운 분위기였다고 하지만 그래도 학교교육 중심의 교육과정 일변도에 질식할 것 같은 기분 은 떨쳐버릴 수 없었다 마땅히 이를 충족할만한 해방구를 찾지 못한 내가 처음으로 청소 년에게 지적 호기심을 갖게 된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학교교육현장을 경험하는 교생실습 의 장면이었다 내가 실습한 학교는 보통 평범한 학교가 아닌 이른바 교육부학력검정학교로 다른 학교 에서 자퇴 혹은 명퇴를 한 아이들의 집합소 였다 한 반에 명 인문계반과 실업계반 두 반으로 꾸며진 그 중 실업계 반은 학생들이 출석하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 인문계 한 반 밖에 없었다 그 학교에서 한 달간의 실습기간은 처음엔 길게 그러나 끝날 즈음엔 너무 나 짧게 느껴졌다 소위 한주먹 하고 한팔뚝 하는 아이들 사이에서 처음 나는 아이들을 지 도하는 요령 을 발견하고자 하는 데에 집중했지만 이내 실패하고 말았다 심지어는 당시 아이들 사이에 유행하던 원터치 로 까무라친 아이를 까치산에서 화곡동 병원까지 들쳐업 고 달려야 할 땐 교생실습을 집어치우고 싶은 마음도 들을 정도였으니까 그러나 곧 이들의 숨겨진 삶을 이해하면서 그리고 이들의 아픈 과거를 공유함으로써 함께 호흡하기가 편해지기 시작했다 영화 주유소습격사건 처럼 그리고 그 전에 상영된 .

,

,

.

(hegemony)

,

.

.

.

.

,

.

,

.

.

.

,

.

40

,

-

-

,

.

.

.

,

.

,

읽기 라는 표현엔 문화연구 의 장면에서 인간의 상징적 산출물 곧 텍스트 들 을 있는 그대로 해석하고자 하는 이론적 논의와 각오가 숨겨져 있다 문화를 삶의 양식 으로 보자면 오늘의 청소년문화 혹은 오늘의 청소년은 그 자체로 하나의 텍스트가 될 수 있다 특히 청소년문제를 사회문제의 현안을 보여주는 치환된 용어로 사용하자면 청소년문화 아니 청소 년 자체가 훌륭한 텍스트로써 지위를 부여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1) ‘

(cultural studies)

,

.

(text)

(life style)

,

.

,

.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45


나쁜 영화 나 그 후에 개봉된 눈물 처럼 저마다 숨겨진 과거 이야기들을 주섬주섬 꺼 내놓는 아이들의 모습은 평소와는 달리 고요했고 평온하기조차 하였다 문제는 이들이 자 신의 과거를 솔직히 토로하기까지 동기를 부여하고 공감대를 형성하기인데 지금 생각해보 면 그렇게 특별한 꺼리 가 있어서 만은 아니었다 단지 이들과 함께 할 수 있음을 보여주 는 단서가 필요했는데 그것은 서로에게 눈맞추기 곧 문화적 공감대였던 것이다 년대 중반 생인 나는 성장기를 통해 를 접하는 영상세대로써의 문화적 감수성을 단련받은 거의 첫 세대였으며 년대 초 당시 선풍적 인기를 끌었던 워커맨을 통해 팝뮤 직에 심취할 수 있는 혜택을 누렸고 이데올로기적 대립이 격화된 대학 때는 사회에 대한 대안적 통찰을 문화의 힘으로부터 빌릴 수 있었다 정작 아이들이 필요한 것이 교과서가 아닌 삶의 지식과 지혜였다면 그리고 삶을 문화로 칭하는데 큰 이의가 없다면 철없던 그 시절 난 채 지혜로 무장되지는 못했지만 설익은 지식들을 문화로부터 차용할 수 있었던 셈이었다 문화로부터의 세례 그렇다 어쩌면 내가 이 전 세대보다 나름대로 풍요로운 문화적 경 험을 하게 된 첫 세대 시발점 세대이기 때문에 이들과 문화적 공유의식을 갖고 서로 교통 할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래도 성장기간 중 절반은 영상세대로써 대중문화의 확산과 소비를 겪은 세대로써 문화가 사회에 미치는 적지 않은 영향력을 미력하나마 감지한 세대 로써 작지만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기에 이들과 함께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어쨌든 그들과 함께 한 한 달은 내게 있어 청소년 그 중에서도 학교밖에 있는 아이들 에게 자연스럽게 시선을 돌리게 했고 그들의 내면의 외침에 귀기울이게 하였다 특히 이 한 달의 교생 실습기간에 가졌던 경험의 소산은 아이들을 객관화된 대상체로 읽는 것만큼 이들의 입장에서 현상 읽기도 중요하다는 점이었다 그들을 올곧게 읽고 이해할 수 있으려 면 청소년들의 실제 삶으로부터 뿌리를 두어야 가능하다는 귀중한 경험을 얻게 된 것이다 청소년문화론 이제 그 이야기를 본격적으로 하기에 앞서 먼저 오늘날의 청소년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며 또 이러한 존재의의에 대한 이해가 문화를 바라보는 프리즘과 그 파장이라 할 수 있는 다양한 스펙트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언급하려는 의도도 바로 여기에 있다 그래서 이 글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장은 오늘의 청소년의 존재의의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글로 채워져 있고 두 번째의 경우는 청소년문화 연구의 이 론과 실제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글로 구성되어졌다 그러나 두 내용은 청소년의 삶을 진순 한 의미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한 몸이며 오늘날 청소년의 신문화와 새로운 삶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려는 차원에서도 동질적이다 ‘

,

,

.

.

,

,

60

.

TV

, 80

,

.

,

,

,

.

.

.

,

.

,

,

.

,

,

.

.

.

,

,

.

.

,

.

,

.

2. 청소년에 대한 읽기와 이해 46


1. 청소년문제와 모라토리움(moratorium)

청소년문제 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이고 해석하는데 있어서 의도 적이든 비의도적이든 편향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개념이다 청소년문제란 용어는 단순히 지금의 청소년들이 어떤 문제들을 안고 있다는 일방향적인 뉘앙스를 주기 때문이다 즉 청소년에게 문제의 원인과 과정 결과를 귀속시키거나 전가시키는 말로 들릴 수 있다 그런데 청소년문제라고 하는 일탈과 비행의 현상들 성 가출 범죄 폭력 탈학교 등 을 꼼꼼히 살펴보노라면 다름 아닌 우리 사회의 문제가 응축되어 상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에 다름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들이 청소년세대의 현안과제로 표출될 때 이를 일러 청소년문제라 하는 것이 더 옳은 표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엄밀한 의미에서 청소년문제는 사회가 거듭되는 변화과정 속에 계속적인 물음과 응답을 요구하는 또 다른 의미에서의 청소년문제 라고 보는 것이 적확하다 그렇다면 이것은 결국 사회의 문제이자 기성세대의 문제이며 우리 사회가 당면한 과제 를 상징적으로 성장세대들이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곧 청소년문화를 이해하 고 분석하는데 있어서 문제 중심의 획일적인 시각에서 단순하게 파악했던 것을 이 제는 다양한 사회의 제반 요인들을 중심으로 종합하여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과 일치한다 다시 말하자면 청소년문제는 사회의 산물이자 곧 사회문제의 연장이며 청소년 문화 역시 그들의 삶 자체가 갖는 특성은 우리 사회의 배면에 깊숙이 뿌리를 두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따라서 청소년문제 더 본질적으로 청소년에 대한 관점을 어떻게 유지하느냐 에 따라 그 스펙트럼의 파장이 달리 나올 수 있으며 또 적어도 청소년문제에는 사회문제 와는 다른 그 어떤 이질적인 요소들만의 모음이 아니라는 시각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유감 스럽게도 우리는 청소년문제와 관련하여 쉽사리 이질적인 신세대의 불가사의한 문제로 분 리하여 인식하기를 선호한다 황색 저널리즘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렇다면 사회문제의 표출이라 할 수 있는 청소년문제가 왜 요즘 들어 사회적 주제로 드러나는 것일까 이에 대한 나름의 진단을 먼저 모라토리움 이란 개념과 함 께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 그림 아래의 그림은 소위 청소년문제를 사회적 차원에서 밝히는 하나의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우리는 청소년기의 시작을 일러 사춘기 의 시작과 함께 연결짓는데 즉 인간 발달단계과정에 있어 생물학적 기준에 따라 제 차적 성징이 발현되는 시기 곧 사춘기가 들어서면서 인간은 자연스럽게 청소년기에 진입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적․신체적 성숙은 약 세 전후에 완료가 되어 청소년들은 이 시기부터 잠재적으로 혹은 의도적으로 성인으로서의 자기인식을 하게 된다 ‘

(youth problem)’

.

.

,

,

.

(

,

,

,

,

)

.

(youth question)

(Cohen, 1997).

.

(problem)

.

,

,

.

,

,

.

.

.

?

(moratorium)

(

.

:

1).

(puberty)

,

2

,

(Brooks-Gunn

& Reiter, 1997).

18

.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47


심리적 조숙에 따른 모라토리움의 연장

사회변화에 따른 모라토리움의 연장

모라토리움(유예기)

청소년기의 시작=사춘기(puberty)

청소년기의 끝

사춘기의 종료(약 18세 전후)

생물학적 기준

사회문화적 기준(결혼, 취업, 대학입학 등)

<

그림

1>

청소년기의 모라토리움의 연장

그러나 사회는 통상 사춘기가 끝난다고 해서 바로 성인으로서의 지위를 부여하지 않는 데 그것은 청소년기의 종료시점이 생식체계의 완전한 성숙을 의미하는 사춘기의 종료시점 과 일치하지 않는데 있다 생물학적 기준에 따라 청소년기의 시작이 만 세와 세 전후 에 시작되는 사춘기와 함께 이루어진다면 사춘기의 종료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는 세 전 후의 시기 이후까지 청소년기는 지속되기 때문이다 특히 청소년기의 종료시점은 생물학적 기준에 따른 시작의 시점과는 달리 청소년이 속하는 사회문화적 조건과 특성에 따라 다양 하게 결정된다 즉 청소년 자신이 속해있는 사회에 따라 청소년기에서 성인으로의 편입기 준은 각각 다른데 이를테면 대학에 진학을 했다든지 아니면 취업을 했다든지 혹은 결혼 과 자녀생산에 따른 양육의 과정을 거쳐야 성인으로 인정하는 것이 그러한 사례들이다 문 제는 사춘기가 종료되고 성인으로 인정받는 시기까지 소위 지불유예기 가존 재한다는 점이다 단축해 유예기 라고도 하는 모라토리움은 청소년과 사회 혹은 기성세대 간의 상호인준 의 불일치가 빚어내는 기간이다 청소년인 성장세대들은 신체적 발육과 성장을 통해 자신 이 성숙의 시기를 이제 막 거쳐 성인으로 성장했다고 생각하고 성인들은 아직 동반자로서 의 지위와 파트너쉽을 아직은 부여하지 않으려는 관점과 인식이 상호 충돌하여 이 시기에 세대와 세대간에 혹은 성장세대와 사회간에 적지 않은 긴장과 갈등을 불러오는 시기이다 이른바 지위비행 이라고 하는 청소년기의 사회문제가 나타나는 근거가 여기에 있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이 모라토리움의 시작과 종료의 기간이 더 연장되는 최근의 사회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 시작이 앞당겨짐으로써 빚어지는 모라토리움의 연장은 신체적 성숙 에 채 도달하지 않은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신들을 벌써 성숙한 존재로 보는 심리적 조숙 과정 을 거쳐 모라토리움을 연장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현상은 최근의 여러 조사들에 의 해 밝혀진 결과로 부모와의 애착정도 자기주도성 자아정체감 인지적 측면의 발달 조숙 화 성에 대한 인식발달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참고 서울대학교 교육연구 .

11

12

18

.

.

,

,

,

.

(moratorium)

.

(

)

.

,

,

,

.

(status delinquency)

.

.

.

,

,

48

,

,

(

:


, 1996; Muuss, 1996).

반면에 모라토리움 종료기의 연장은 현대 사회구조가 점차 다원화․전문화되어 가는 과정에서 대표적인 성인기로의 인준을 상징하는 노동시장으로의 편입이 점차 늦추어지는 현상을 기반으로 한다 참고 최윤진 에서 재인용 이 러한 현상은 크게 두 부분으로 설명되는데 하나는 고용사회의 위기 및 실업의 증가 등 사 회적 요인에서 비롯된다고 보는 견해이며 또 다른 부분은 더 나은 직업생활로의 진입이나 부담 없고 자유로운 청소년 후기 청년기 를 즐기고자 하는 개인적인 요구에서 비롯된다 모 두 학교로부터 노동시장으로의 전이 가 어려워진 현대사회 구조의 특징에서 연유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이러한 시작과 종료기의 연장은 최근 현대사회가 소위 청소년문제현상의 심화를 설명 하는 이론적 모델이 될 수 있다 특히 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최근에 이르기까지 청소 년문제가 우리 사회에 주요 화두 話頭 로 등장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여기서 모라토리움의 연장이 곧 청소년문제의 심화로 연결된다는 이론적 설명에는 좀 문제가 있다 좀 더 적확하게 설명하자면 모라토리움에 처한 청소년을 어떻게 해석하고 바 라보느냐에 따라 모라토리움의 연장과는 상관없이 아니 약간의 상관관계는 있지만 우 리 사회의 발전적 거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여지도 있기 때문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 하자면 이 시기의 청소년에게 사회적 동반자로서의 지위를 정당하게 부여하고 성숙한 시 민의 하나로 사회적 편입을 연착륙시키는 사회적 분위기와 조건들 체제 이 갖추어 진다면 모라토리움은 우리 사회의 청소년문제의 원인으로 구속되기보다는 발전을 위한 하 나의 기회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의 현실은 그렇지가 않다는 게 사실은 더 큰 문제이다 오히려 모라토리움 에 처해있는 청소년을 안정적으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편입시키려고 하기보다는 아직 성인기 이전의 미숙한 존재로 치부하거나 혹은 이들을 보호와 선도 지도중심의 담론객체 로 묶어 제한적으로 구속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로 인해 사회와 성장세대가 갖는 긴장구조는 심화될 수밖에 없으며 그 갈등의 진폭은 위기적 수준에서 넘나들고 청소년들 의 의사와는 유리된 성인 대중의 일방적 압력과 동조에 따라 청소년이 거쳐야 하는 아름 다운 시기가 긴 암흑의 터널로 변모하기 일쑤이다 청소년들을 자율적 존재이자 능동적 주 체로 인식하고 참여의 과정으로 끌어오기 전에 우리가 먼저 알아야 할 청소년문제의 본질 모라토리움과의 관계 그리고 우리 사회가 당면한 과제가 여기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 (

: Galland, 1996, Ferchhoff, 1990,

(1999)

).

,

(

)

.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

.2)

1990

(

)

.

.

-

-

.

,

(

; system)

.

.

,

.

,

,

.

,

,

.

2. 압축적 근대화와 비(非) 동시성의 동시성 2)

이러한 이론적 모델이 완성된 것이라고 보기에는 어렵다 아직 이러한 이론적 모델을 발표하고 대 표하는 이론가는 아직 없기 때문이다 다만 필자가 청소년문제와 사회적 모라토리움을 근간으로 하는 이론적 모델을 완성시켜가고 있는 중인데 곧 발표할 예정임을 먼저 밝혀두고자 한다 .

.

.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49


다음의 논의는 모라토리움과는 다른 차원에서 오늘의 청소년들이 갖고 있는 위기적 상 황에 대한 이야기이다 오늘의 청소년문제를 심화시킨 주요 변인으로 꼽는 압축적 근대화 와 그로 인한 비 非 동시성의 동시성 에 관한 논의인데 전술한 사회적 과제와는 어떤 면 에서는 일맥상통하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는 전혀 다른 과제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압 축적 근대화 역시 오늘의 청소년문제가 청소년들만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의 문제라는 점을 분명하게 설명해주는 키워드 임에는 틀림이 없다 압축적 근대화 란 쉽게 말하자면 서구 사회가 근 천 여 년 동안 전근대화와 근대화란 사회적 발전과정을 거쳐 오늘의 탈근대적 사회를 이룬데 비해 우리 사회는 백 여 년이 안 된 상황에서 이 모든 발전의 과정을 압축적으로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말하며 이로 인해 비 동시적인 것들이 동시대에 존재할 수밖에 없는 비정상적 구조를 일러 비 동시성의 동 시성 이라 말한다 우리처럼 개발도상국들이 발전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직면하는 사회과제 들로 이러한 압축적 성장을 거쳐야 하는 사회는 비 동시성의 동시성으로 인해 구조적 혼 재 混在 와 의사소통의 부재 참고 정유성 등 정신과 문명의 혼란을 의당 초래하게 되기 마련이다 압축적 근대화를 거친 사회가 청소년과 관련하여 거의 동질적으로 갖는 부적 현상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급격한 전통문화의 폐기 둘째 기성세대와 성장세대의 세 대단절 셋째 오래된 새 모순이 바로 그것이다 사실 이러한 부적 현상은 단순히 청소년과 관련된 소 주제라기보다는 우리 사회가 당면한 대 주제로 확대 가능하지만 그 부적 현상의 최대 피해자가 청소년이란 점에서 청소년중심으로 살펴볼 여 지가 충분히 있다 먼저 전통문화의 급격한 폐기라 함은 급변하는 사회전이와 변화에 따른 전 사회적 적 응과정 내에 전통문화가 너무나도 가볍게 소실되거나 단절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동아시아 국 중 우리보다 약 백 여 년이 빠르게 근대적 경험을 가진 일본이나 이데올로기적인 특 징으로 인해 서구문명을 스크린 할 수밖에 없었던 중국과 비교해도 우리는 너무 빠 르게 전통문화를 잃어버린 경우임을 체감할 수 있다 실제로 우리 사회의 청소년들은 전통 적 가치관의 내면화가 기성세대의 그것보다 상당히 약한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참고 서울 대학교 교육연구소 전통적 가치의 내면화가 얕은 수준에서 전통문화의 계승과 유지 를 기대하기란 어쩌면 처음부터 쉽게 예상된 일이며 용이한 문화접변 이가 능한 현대의 글로벌한 사회에서 전통문화의 폐기는 더욱 가속도가 붙을 수밖에 없었다 본질적으로 압축적 근대화에 의해 빚어지는 공통적인 현상이지만 이러한 전통문화의 상실은 다시 세대간의 차 를 급격히 벌려 세대갈등을 불러오는데 이러한 급격한 세대 차는 일정 정도를 지나면 세대단절이라 할 정도 심각한 갈등을 불러올 수 있 다 실제로 우리처럼 세대갈등의 문제가 심각한 곳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실 증하는 사례가 미시간 대학 정치학과의 로널드 잉글하트 교수의 연구결 .

(

)

,

.

,

(keyword)

.

,

,

.

(

)’

’(

:

, 1994)

.

.

,

(generation severance),

,

,

,

.

.

,

.

3

,

(screen)

.

(

:

, 1996).

,

(acculturation)

.

(generation gap)

.

.

(Ronald Inglehart)

50


과에서 보여진다 그는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세계 각 국의 문화변동을 계량적 방법으로 추적하여 전체 개국 국민들의 출생연도별 가치관 차이를 연구한 결과 우리 나라가 세대 간 격차가 가장 극심한 나라로 나타났다고 지적한 바가 있다 즉 한국의 경우 개인의 자 유 풍요 남녀의 역할평등과 같은 탈물질주의 지표에 대해 년대에 태어난 기성세대들 은 의 반응을 보이는 데 반해 년대 생들은 의 반응을 보여 세대간 격차가 여 포 인트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격차는 유럽이나 미국 일본의 약 포인트 내외의 세대간 격차가 나타나는 것과 매우 대조적이었으며 젊은 세대들의 경우 개인적 자 유나 평등 삶의 질 같은 무형지표들을 높이 평가하는 반면 기성세대들은 그 반대로 나타 났다 조선일보 여기에 더해 과학기술과 정보통신 테크놀러지와 같은 밀물 같은 정보화의 물결은 세대간의 격차를 더욱 심화시켜 기존의 세대간 격차를 더욱 심화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김 민 압축적 성장을 해야 하는 사회만큼 시간이 빨리 흐르는 사회는 없다 앞만 보고 가다보 니 주관적인 시간의 흐름은 서두름 그 자체이고 그러다 보니 지난 시대가 남긴 과제며 숙 제는 손대보지도 못한 채 쌓여만 가는데 이것은 거듭 시대가 바뀌어도 새로운 모습으로 우리를 짓누른다 이것이 바로 레페브레 é 가 일찍이 지적한 이른바 오래된 새 모순 이다 최근 호프집 화재참사 사건과 몇 해 전 인천 호프집 사건은 년대 초반의 석관동 호프집 사건과 대구 나이트클럽 화재사건의 재판에 다름이 아니었으며 또 그러한 사회문제는 호들갑 속에 본질적인 처방은 무시된 채 미봉책으로 묻혀졌다가 다시 또 부산 스럽게 나타나기 마련이다 마치 안과 밖의 구별짓기가 어려운 뫼비우스의 띠처럼 무엇 하 나 채 잘 오므리지도 못한 채 거듭 변화의 물결로 사라지면서 똑같은 문제가 시기별로 계 속 나오는 악순환의 고리는 시간의 흐름이 빠를 수밖에 없는 압축적 성장 사회의 동질적 단면이라 할 수 있다 쉽게 말하자면 지금의 청소년문제 는 과거에도 청소년문제 였음을 알지 못하고 마치 지금의 청소년문제가 새로운 사회문제인 냥 법석을 떠는 경박함은 오래 된 새 모순 에 대한 자기성찰의 부재함에서 비롯된다는 이야기다 더욱이 압축적 근대화의 물결 속에서 오래된 새 모순은 더욱 켜켜이 누적되어 청소년현상을 청소년문제로 쉬이 착 시케 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지적이기도 하다 이러한 부적 현상들은 압축적 근대화의 어쩔 수 없는 결과라 할 수 있지만 정작 문제 는 이를 회피만 하는 우리의 태도이다 사실 따지고 보면 지금 가장 심각한 갈등과 문제는 우리 사회가 워낙 헝클어진 탓에 제대로 문제삼지 않고 차분하게 논의하지 못한 탓이 제 .

,

,

43

,

.

,

,

1920

-40

70

+30

70

.

,

20

,

,

. 1995. 6. 11.).3)

(

(

, 2000: 59-63).

.

,

,

.

(Lef bvre, 1974)

.

80

,

.

.

.

.

,

.

,

3)

로널드 잉글하트는 이 같은 결과를 한국사회가 경제적 성장을 통해 일구어진 부가 행복을 가져다 주는 시점에서 막 벗어나 그 동안 유보해 두었던 개인적인 가치관을 되찾고 싶어하는 시기에 도 달함으로써 빚어진 결과라고 해석하였다 특히 젊은 세대들일수록 이 같은 탈 물질주의 지표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개인적인 자유와 삶의 질에서 행복을 추구하려는 욕 구가 강하다고 보았다 그는 또 우리사회가 현재 커다란 전환점에 와 있으며 극심한 세대간의 가 치관 차이가 앞으로의 사회발전을 가로막는 장애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

.

.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51


일 크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그러한 갈등과 문제의 원천을 청소년에게 돌리는 파렴치한 지적은 용납할 수가 없다 청소년문제 아니 우리 사회가 청소년문제를 배태시키는 그 모든 갈등과 모순은 언제나 그렇듯이 그것이 가장 첨예한 데서부터 드러내고 인식하는 일로부 터 극복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날 청소년과의 갈등을 청소년문제로 단순히 치부할 일이 아니라 그 문제의 심각성이 어디로부터 연유되었는지를 먼저 따져보아야 할 일이다 .

.

.

,

.

3. 청소년문화 바로 보기

청소년문화 란 용어를 단순하게 보자면 청소년과 문화의 합성어라 할 수 있다 청소년 자체에 대한 이해가 앞장의 내용이라 한다면 지금부터는 문화와 청소년문화에 대한 이야 기를 할 차례다 특히 이 장에서는 문화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문화적 관점 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청소년문화가 청소년복지의 관점에서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

,

.

,

.

.

1. 문화연구의 이론적 탐색

명제와 선언의 시기다 슬로건과 아젠다를 삶의 레떼르 로 삼는데 익숙한 시대다 그래 서 도래한 세기를 ○○ 세기 혹은 ○○ 사회 란 명명작업이 활발하다 그리고 그 중심 의 한 축엔 문화의 세기 란 목소리도 만만치 않게 자리잡고 있다 사실 미래사회를 일컬 어 문화의 세기로 단정하고 추인하려는 움직임은 이미 오래 전부터 매스미디어의 파상적 인 전파를 통해 차질 없이 진행되어 왔다 사실 불투명한 미래를 가늠하기에 문화의 세기 로 이르기란 일단 그럴 듯하고 또 그럴 것이란 확신도 준다 한국사회의 경우 세기 후 반 좀 더 구체적으로 년대 후반부터 문화란 용어는 수면위로 부상하여 세기를 대표 할 상징적 코드 새로운 이미지로 다가왔다 당시 뉴 미디어 테크놀러지의 등장을 필두로 나타난 새로운 삶의 양식 다양한 삶의 원형들은 기존의 그것들을 무너뜨리고 전통적인 고 유 장르들을 뒤흔들면서 문화를 돌이킬 수 없는 거대한 시대의 흐름으로 인정받게 하였 다 특히 세기 진입의 마지막 관문인 년대는 우리의 신경세포들을 자극하던 압구정 동 록카페 테크노 바 방 등 모종의 신문화적 상징을 압축시킨 문화공간들이 창출 되면서 구태한 인식의 각질들에 섬세한 자극과 적지 않은 균열을 몰고 왔다 바야흐로 문 화의 세기가 우리 앞에 부정할 수 없는 현실로 등장한 것이다 이런 현상의 변화는 문화에 대한 지금까지의 사회적 관심을 증대시켜 수평적으로는 여 러 학문적 영역을 넘나들면서 연계하는 간 학문적 접근 을 수직 .

21

.

.

.

,

.

,

.

,

, 80

20

21

,

.

,

,

.

’, ‘

21

1990

’, ‘

’, ‘PC

,

.

.

(interdisciplinary approach)

52

,


적으로는 전통적 텍스트와 이론들을 기반으로 하되 이해와 해석에 있어서는 전혀 다른 새 롭고 다양한 이론적 접근들을 가능케 하였다 그리고 그 접근의 정점에는 인간의 문화적 상황을 이론과 실제의 영역에서 다층적으로 해석․포섭하고자 하는 문화이론 및 문화연구 가 포진하게 된 것이다 특히 최근의 문화이론 및 문화연구가 특별한 지적 장래성을 약속받고 있는 것은 그것 이 최근 불거지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정치적 관심을 횡단하려고 시도하고 최신의 장면 에서 많은 쟁점들을 의미있게 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디지털시대 퓨전 의 시대 기술복제의 시대 압축 고도성장의 시대에 나타나는 이전과는 다른 이질적인 사 회현상을 효과적으로 해석하는 프리즘으로써의 문화연구가 유효하게 된 것이다 ,

.

.

,

,

.

,

,

,

(fusion)

,

.

1)

문화의 정의

그렇다면 문화란 무엇인가 문화란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고 규정해야 하는가 사실 이 와 같은 의문은 매우 포괄적이다 이러한 포괄성은 문화란 개념이 갖는 함축성이나 의미의 개연성에서 비롯되지만 아무래도 문화란 개념 자체가 갖고 있는 추상성 에서 연유된다 그 만큼 문화란 개념을 구체화하기 어렵다는 이야기에 다름 아니다 이에 빗대어 영국의 문화 이론가 레이몬드 윌리암즈 는 문화 를 영어 단어 중 가장 난해한 몇 개 단어 중 하나라고 하였다 그만큼 문화의 개념화가 쉽지 않다고 역설한 것이다 그러나 문화가 보다 좁은 의미에서 정의된다면 그것은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개념 을 갖는다 이를테면 여성문화 청소년문화 아동문화 교수문화 학생문화 흑인문화 백인 문화 등 대상집단을 중심으로 분류하거나 혹은 한국문화 영국문화 일본문화 동양문화 서양문화와 같이 지역 환경을 중심으로 구분할 때는 문화만을 따로 두고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보다 구체화된 개념을 지닌다 또 우리의 삶의 양식에 문화가 접미사처럼 붙는다면 그 개념은 더욱 정교해지기 마련이다 이를테면 음식문화 복식 服飾 문화 미디어문화 언 어문화 교통문화 등처럼 말이다 이와 같이 하위문화 적 범주를 매김으로써 문 화란 개념이 구체화되고 또 그 개념이 내용과 범주․대상에 따라 재 개념화되고 있다는 사실에서 우리는 문화의 포괄적인 성격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다 문화 란 말은 라틴어의 ū 즉 경작과 재배 란 뜻으로부터 파생되었다 농 업기반사회에서 경작하다 재배하다 란 말의 의미는 당시의 인간행동의 가장 중요한 원형 으로 이는 곧 인간생존과 생활전반을 가늠하는 용어이다 그래서 문화의 현재적 의미와 같은 맥락에 서 있는 문화의 원 뜻은 인간의 작용과 그에 따른 변화의 산물을 총 칭하는 것으로 이는 곧 인간이 이루어낸 모든 역사적․사회적 산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화는 그 범주와 내용을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라기보다는 그 자체로 포괄성을 함의 ,

.

.

.

.

.

(Raymond Williams, 1983: 87)

(culture)

.

.

.

,

,

,

,

,

,

,

,

,

,

.

.

,

,

.

,

(

)

,

,

(sub-culture)

,

.

(culture)

cult re,

(prototype)

’, ‘

.

.

,

.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53


하는 넓은 의미의 용어로 기능한다 그 동안 문화에 대한 이론가들의 관심은 매우 다양하였다 이론가들에 따라 문화란 현 상은 다양하게 접근되어졌으며 이러한 접근방식에 따라 그 개념도 역시 다양하게 의미화 개념화되었다 우선 기존 이론가들의 논의들 중 기능주의적 관점에 서 있는 타일러 의 정의를 살펴보면 문화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인간이 획득한 지식 신앙 예 술 법률 도덕 관습 및 기타 모든 능력과 기능을 포함하는 복합적 총체 김신일 에서 재인용 라고 규정한다 이 정의가 의미하는 문화는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인간이 탄생할 때 지니고 나온 생득적 生得的 인 것을 제외하고 탄 생 후에 사회생활을 통하여 후천적으로 획득한 모든 것을 의미하므로 문화란 개념 안에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생활의 모든 요소가 포함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클락혼 과 켈리 는 우리의 행동양식과 방향의 결정에 영향을 주 는 문화의 기능을 강조하면서 명시적이거나 암시적이거나 합리적이거나 비합리적이거나 혹은 합리와 무관하든 간에 주어진 특정시간에 인간 행동의 잠재적 지침으로 존재하는 역 사적으로 이루어진 모든 생활의 설계를 문화 김영찬 김신일 에서 재인용 라고 정의하였다 클락혼과 켈리의 정의는 앞의 타일러의 정의와 비교해 볼 때 구체적 행 동과 삶의 방식을 지시하고 규제하는 속성을 문화가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한 사회의 문화는 구성원들의 행동양식 사고 방식 심미적 취향 심지어 독특한 식성과 몸 짓까지도 결정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문화가 중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다시 말해 인간이 구성하고 있는 삶의 총체적 부분 이른바 사회에 있어 문화가 지대한 관심을 받는 이유는 문화가 사회구성원들이 행 동하고 사고하는 방식은 물론이고 그들의 총체적인 삶의 방향과 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 치고 있기 때문이다 누구나 자신이 속해있는 문화의 지배로부터 벗어날 수 없는 것이고 보면 오늘의 문화가 갖고 있는 내용과 정체성 방향은 곧 그 사회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문화는 흔히 인류학적인 관심을 배태하기 마련이다 인류학자인 마가렛 미드 나 마빈 해리스 가 문화 를 중심으로 각 인종 부족의 삶의 준거와 방향을 가늠하게 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한편 김영찬 은 문화는 사회성원이 공유하고 있는 것이며 역사적으로 전승된 것이며 학습된 것이고 사회성원의 행동지침이며 한 통합된 체제 또는 형태이고 또한 사회 성원의 경험조직의 표준 이라고 정의하였다 김영찬은 문화에 대한 기존의 개념화 작업들 을 정리하면서 드러난 문화의 다면적이고 중층적인 성격을 중심으로 정의하였다 또 문화주의의 대표적인 학자인 윌리암즈 는 문화를 넓은 의미에서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의하였다 첫째 문화는 지적 정신적 심미적인 계 발의 일반적 과정을 일컫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서유럽의 문화발전에 대해 이야기하면 서 그 중 지적이고 정신적이며 미학적인 요소들 즉 위대한 철학자나 학자 화가 시인들에 .

.

,

,

.

(E. B.

Tyler)

, “

,

,

,

,

,

”(Broom

Selznick, 1977: 56,

, 1992

)

and

.

(

)

.

,

(Kluckhohn)

(Kelly)

,

,

”(

, 1980: 63,

, 1992

)

.

.

,

,

,

.

.

,

,

,

.

,

,

.

.

(Margaret Mead)

(Marvin Harris)

,

,

/

.

(1980: 66)

/

/

/

/

.

.

(Raymond Williams)

(Storey, 1993).

,

,

,

.

,

54

,

,


대해서 언급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의 정의가 첫 번째 방식의 윌리엄즈식 정의다 문화 의 두 번째 정의는 한 인간이나 시대 또는 집단의 특정생활방식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 정 의를 가지고 서 유럽 문화의 전개를 논의한다면 지적이고 미학적인 요소만이 아니라 교육 정도나 여가 운동과 종교적 축제까지 포함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윌리엄즈는 문화가 지적 인 작품이나 실천행위 특히 예술적인 활동을 일컫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 바 꾸어 말하면 이는 의미하거나 의미를 생산하거나 또는 의미생산의 근거가 되는 것을 그 주된 기능으로 하는 텍스트나 문화적 실천행위를 말한다 이 경우 문화는 구조주의자들과 후기 구조주의자들이 말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실천행위 와 동일하다 이 정의를 사용한 예로 시나 소설 발레 오페라 그리고 순수미술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문화이론가로써 윌리암즈는 영국의 문화연구의 전통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연구 들의 갈래들에서 폭 넓게 작동하고 있는 원천적 힘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주었다 그것 은 문화와 사회의 관계를 결합하고 분절하는 일로써 문화란 단어에 결부된 갖가지 의미들 을 개관한 뒤에 문화는 상징적 영역 및 물질적 영역에서 동시에 작용하는 현상이란 점이 다 따라서 문화에 대한 연구와 접근은 상징적 영역과 물질적 영역의 어느 한편만을 바라 볼 것이 아니라 양자의 영역과 관계를 동시에 묻는 일이라고 말하는 이른바 문화주의란 새로운 이론적 접근을 가능케 하였다 ,

.

.

,

,

.

,

.

,

.

’(signifying practices)

,

.

,

.

.

,

.

.

2)

문화에 대한 두 가지 접근방식

한편 문화란 용어 자체의 개념화 작업과는 달리 보다 넓은 범주에서 문화란 현상을 살펴보는 접근유형을 생각해 보자 왜냐하면 문화란 용어 자체에 대한 개념화․의미화를 뛰어넘어 문화라고 불리는 모든 인간 삶의 현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접근하는가에 따라 문 화에 대한 입장 차이가 다시 구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청소년을 어떻게 바라보 느냐에 따라 그 스펙트럼이 달라지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이를테면 문화라 이르는 인간사 회의 다층적인 현상들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그 유형을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구 분에서 정의되는 문화개념 역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문화를 바라보는 각 접근방식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첫 번째 는 문화를 제한적인 의미와 영역에서 바라보는 입장이고 또 다른 하나는 문화 자체를 인 간의 삶의 양식으로 바라보는 관점이다 각 입장들의 차이점을 유의해 살펴보자 ,

,

.

.

.

,

.

.

,

.

(1)

.

문화에 대한 제한적 접근

① 매튜 아놀드와 리비스주의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55


먼저 문화를 제한적인 의미와 영역에서 바라보는 입장을 살펴보자 그 중 대표적인 것 으로 문화는 인간의 사고와 표현의 뛰어난 정수 라고 보는 입장이 있다 이른바 문화에 관한 서구 논의에서 매튜 아놀드 의 유명한 어구를 차용한 이 입 장은 차후 리비스주의 이론가들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또 다른 말로 완결과 완성 의 개념으로 문화를 바라보는 이 입장은 문화를 물질적인 것이 아닌 인간의 정신적 요체로 규정한다 즉 이 접근에서는 문화를 인간의 완전무결한 정신적 유산 인류최고의 완성적인 관념 으로 바라보며 문화를 향유하는 행위는 인간의 정신적 완성추구를 위한 고결한 지적․실 천적 행위이다 따라서 인간은 불완전하고 미숙한 인간 존재에서 완성된 인간으로 성장하 기 위해 마땅히 문화를 향유하는 방식을 학습해야 하는데 이때 경전이자 텍스트로 불리우 는 것이 바로 문화의 요체로 등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의 배면에는 아놀드와 리비스주의에서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특정 문화 향유집단의 우월성 선민의식 에 대한 편견과 신념이 놓여 있다 곧 문화를 향유하는 학습 을 받은 소수 집단의 계급적 의식이 깔려있으며 소위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는 천박한 대 중과의 구별짓기를 통해 그 계급성은 더욱 강화된다 이러한 문화 개념에 기초하여 오랫동안 문화비평가들은 최상의 작품 완전무결한 고 전 을 찾는데 몰두해 왔고 문화란 결국 가장 뛰어난 것을 판별하고 감상할 수 있는 능력 의 훈련 심미안을 계발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따라서 이들의 입장에서 인간의 삶은 문 화적인 소수와 비문화적인 다수로 구분되어졌고 이때 문화적 소수의 리더쉽은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산업사회가 도래하고 대중사회 가 형성되면서 문화를 갖춘 소수집 단의 지배가 위협받음으로써 이러한 문화 개념의 옹호자들은 더욱 방어적으로 물질문명과 .

.

(Matthew Arnold, 1960: 6)

(Leavisism)4)

.

.5)

,

,

, .

.

, ‘

.

,

.

’, ‘

,

,

.

,

.

(mass society)

,

4)

리비스 에게 있어 매튜 아놀드의 영향은 절대적이었다 그는 아놀드의 문화정치학을 도 입해 년대의 소위 문화적 위기에 적용한 문화이론가로써 이론의 뿌리는 매튜 아놀드와 거의 동 질적이다 리비스와 그의 이론을 추종하는 리비스주의자들에게 있어 세기는 점차 뚜렷해지는 문화 적 쇠퇴의 시기였다 이 시기의 문화적 특성은 평준화와 하향화의 문화였고 따라서 일반 시민은 이 러한 경향을 추방하고 저항하도록 훈련받아야 한다고 보았다 특히 리비스주의는 문화는 항상 소수 의 유지자들에 의해 지켜졌다 는 논거에 기반한다 매튜 아놀드에게 있어 문화는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하나는 문화가 곧 지식체계라는 점으로 이 점 에 있어 문화가 물질적 문명과 차이를 가지며 나아가 그 지식체계는 완전무결한 지적 체계로 곧 뛰 어난 인간사고와 표현의 정수임을 의미한다 또 다른 하나는 문화란 이성과 신의 의지가 널리 퍼지 도록 노력하는 것으로 여기서 문화가 갖는 빛과 아름다움 은 문화 자체가 인간에게 도덕적․사회적 인 이득을 준다는 성격을 명확하게 해준다 즉 문화는 완벽에 대한 연구이며 이 완벽은 어떤 것을 가진다는 의미보다는 어떤 것이 되어가는 것을 뜻하며 일련의 외적 상황에서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정신과 영혼의 내면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매튜 아놀드에게 있어서 문화는 최선을 알기 위한 노력이며 또한 모든 인류를 위해 그런 지식이 널리 알려지도록 하는 노력이다 (F. R. Leavis)

.

1930 .

20

.

.

5)

(Leavis,

1930).

.

.

,

.

,

,

.

(Storey,

1993).

56


과학기술 정치경제와 동떨어져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문화의 개념을 고수하였다 그들은 스스로를 산업사회의 물질문명에 대항하여 문화의 정신적 광채 를 보호하고 무지 몽매한 대중들에게 전파하는 전사들의 공동체쯤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때문에 흔히 전통적인 인간문화의 정수로 지칭되는 이른바 고전들이 산업사회 이전의 과거의 산물이거 나 반 산업주의 경향에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김창남 이러한 문화 개념은 아직도 우리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이른바 문화의 엘리트 집단들 즉 문화의 실질적 창출집단 정부의 문화행정 담당자 지식집단 언론 등에서 이런 뛰어난 교양과 정신적 완성 으로서의 문화 개념과 집단적 권력의식과 폭력은 여전히 존재 하고 그 위력을 발휘한다 고전적인 예술계통에는 열려있지만 대중문화인들에게는 굳게 닫 혀 있는 문화공간 이나 대중문화를 딴따라 로 폄하하는 완고한 문화인식은 교양인 으로 서의 선민의식을 그대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

.

’(Aura)6)

.

(

, 1998: 11). .

,

,

,

,

.

7)

,

.

② 제국주의 식민주의 적 문화개념 문명 (

)

,

한편 문화를 제한적으로 보는 입장 중 두 번째 입장은 문화를 문명 개념 과 혼용하거나 등치하는 접근방식이다 여기서 문화는 한 사회의 지적․도덕적 발달 상태 를 지칭하는데 흔히 문명이라는 개념과 연결되거나 혼용된다 다윈의 진화론에 기초한 사 회진화론자들의 입장과 밀접한 이 접근방식은 제 세계를 침략하면서 야만인들을 교화시 킨다고 주장했던 근대 제국주의의 문화 개념 식민주의적 문명관 文明觀 과 일치한다 이 입장에서는 피지배자인 야만인이 소위 문명인이 되기 위해서는 문명의 전제가 되는 문화를 기본적인 소양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본다 즉 문명인이 되기 위한 선결조건으로 지배자에 의한 문화적 이식 移植 을 전제한다 여기서 문화는 곧 더 발전된 지배자의 문명 조건이자 철저히 지배자의 관점에서 문명인으로서 배태해야 하는 필수적 요소이다 ,

,

(civilization)

.

.

3

,

(

)

.

.

(

)

.

,

6)

.

아우라 란 말을 처음 쓴 사람은 발터 벤야민 ~ 이다 그는 자신의 논문인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에서 고유한 예술작품에는 그것만이 지니는 광휘 가 있다고 했 다 그런데 그 광휘는 실제로 존재하는 어떤 실체적 특성이 아니다 단지 감상하는 이들이 시공간적 으로 유일무이하며 일회적으로 감상할 수밖에 없는 예술작품에 덧붙인 의미일 뿐이다 말하자면 아 우라란 단 하나뿐인 예술작품에서만 느낄 수 있는 유일무이한 일회적 현존성이다 그래서 아우라는 종교적 특성을 갖는다 가짜가 아닌 진품이 가지는 절대적 권위에 대해 전통적인 예술을 대할 줄 모 르는 대중은 감히 이의제기를 할 수가 없다 말하자면 예술작품을 종교적 대상처럼 무비판적으로 받 아들여 왔는데 그런 수동성을 낳은 중요한 특성이 바로 아우라라는 것이다 그런데 기술복제가 가능 한 시대에 들어서면서 예술작품의 복제 역시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예술작품의 진품성은 그다 지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아우라가 파괴되기 시작한 것이다 실제적 사례 중 하나로 세종문화회관 본관은 개관한 지이래 년 처음으로 대중가수에게 대관 을 실시 한 바 있다 왕년의 국민가수 조용필이 년 월 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콘서트를 갖 게 되었는데 그가 세종문화회관에서 최초로 공연한 대중음악가가 된 셈이다 (Aura)

(Walter Benjamin, 1892

.

1940)

.

.

.

.

.

.

.

.

.

7)

.

1999

.

1999

12

31

.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57


문명 이란 용어가 시민권 이란 말에서 유래했고 시민 이 교육받 은 질서 있는 이라는 뜻을 가졌듯이 문명은 지배자의 주관점 관점에서 인류가 지향해야 할 하나의 성취된 상태라는 의미를 지닌다 여기서 우린 매튜 아놀드와 리비스주의자들이 말하는 완전무결한 인간정신의 요체 를 뜻하는 문화란 용어와 문명과 등가의 가치를 갖는 제국주의적 관점의 문화란 용어가 상호 적지 않은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두 접근방식은 다원주의적이고 상대주의적 문화관점을 수용하지 않고 절대 적인 관점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특히 제국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문화는 타 문화권의 이질적인 문화를 덜 진화된 문화와 문명으로 폄하하기 쉬울 뿐만 아 니라 서구중심적 상황에 오리엔티드 가 되어 있어 동양 중심의 문화 혹은 서로 간 의 경계를 넘나드는 퓨전적 양식의 문화적 가치를 제대로 인정하지 않는다 즉 제국주의 적 문화접근에 경도된 그들에게 문화와 문명은 서구적으로 발달한 상태이며 이외의 문화 와 문명은 평가절하 되거나 부정하는 관념에 기초하고 있고 그 문화 안의 인간은 단지 야 만적인 존재로 인준될 뿐이다 이런 맥락에서 서구에 의한 제 세계의 침략과 정복은 정당 성을 획득하고 이는 또 서구 중심적 문화사대주의의 뿌리이자 근원적 세력이 되기도 하였 다 (civilization)

,

(civitas)

,

(civil)

.

,

.

.

(oriented)

.

,

,

.

3

,

.

③ 예술적 문화관 文化觀 (

)

역시 문화를 제한적 영역에서 의미화 하는 입장으로 예술적 장르들을 중심으로 살펴보 는 세 번째 접근방식이 있다 통상 문화에 관해 일반적이다시피 한 이 입장은 흔히 사람들 로 하여금 문화를 예술 종교 교육 등의 영역에서 주로 지적인 영역과 활동으로 제한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예술장르에 편중하는 활동만을 지칭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흔히 문학 미술 방송 영화 연극 영화 공연 전시 종교 패션 등의 영역으로 구성되는 이 입장은 주로 각 영역에서 지향하는 정신적 활동 및 그 활동으로 얻어지는 산물과 감상 비평 등에 문화의 개념을 제한하고 있다 문화를 이렇게 인간의 정신활동과 관련된 몇 가지 구체적인 영역으로 정의하는 방식에 는 문화를 물질적 생산과 분배를 둘러싼 사회관계와 분리시켜 사고하는 관념이 깔려 있다 김창남 그래서 여기에는 배타성 순수성 전문성과 같은 개념들이 흔히 개입한 다 문화예술은 사회와 무관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다양한 형태의 순수문화이론들이 그러하 고 문화를 특정 집단의 전문적 영역으로 테두리 짓고자 하는 각종 등용문 제도나 일정 전 문성을 토대로 하는 문화적 제도와 폭력이 그러하다 문화를 정신적인 영역 문명을 물질 적인 영역으로 구분하는 시각은 결국 문화를 정치 경제 사회와 동떨어진 순수 영역으로 보고자 하는 관념의 소산이다 그러나 문화란 제한적인 정의로 안주시킬 수 있는 협의의 개념이라 볼 수 없다 순수 .

,

,

.

,

,

,

,

,

,

,

,

,

,

.

(

, 1998: 13).

,

,

. ,

.

,

,

,

.

.

58


영역으로서 문화를 고집하려는 경향은 다시 순수와 비 非 순수를 가르는 계급적 구별짓기 를 하기 쉬우며 실제로 우리는 이런 현상들을 쉬이 목도할 수 있다 소위 클래식과 대중음 악을 가르거나 오페라와 마당극을 가르는 취향의 아비투스 가 바로 그것이다 참고 (

)

.

(habitus)

(

:

Broudieu, 1995).

더욱이 문화는 인간이 사회를 이루며 만들어 온 모든 결과물이라 할 수 있으며 후술되 는 생활의 제반 양식을 가리키는 포괄적 개념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오히려 문화를 인간의 모든 생활양식 중 어느 일정 부분만을 지칭하고 그것을 다른 양식과 구별하거나 아예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면 그것은 문화의 다원성과 존중 그리고 차이의 공존으로부터 기대되는 그 다음의 풍성한 결과물을 애초부터 배제하는 것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

.

,

,

.

(2)

문화에 대한 포괄적 접근

이렇게 문화를 제한된 의미와 영역으로 바라보는 접근방식과는 달리 문화가 인간의 상 징체계 혹은 인간의 모든 생활양식으로 보는 두 번째의 포괄적 접근방식을 이야기해 보자 먼저 사회학과 인류학에서 전통적으로 다루어진 문화의 개념은 흔히 인간의 상징체계로서 문화 개념이다 앞서 살펴본 타일러와 그 외의 이론가들의 문화에 대한 정의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이 입장에서 바라보는 문화접근 양식은 포괄적이다 특히 인간은 다양한 상징체 계 즉 언어와 몸짓 그리고 이외의 관계망 형성의 다양한 수단들을 통해 자신과 주변을 경험하고 인식하며 다른 인간과 의사소통을 한다 인간이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자신이 속한 사회에 이미 존재하는 다양한 상징체계를 습득하여 내면화한다는 의미이며 그 상징체계가 반영하고 있는 사회의 질서와 규범을 따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 다 이와 같은 문화의 내면화 과정을 일컬어 사회학에서는 사회화 라 하고 인 류학에서는 문화전계 라 부른다 문화의 생성과 소멸에 이르는 거시적 과정에 서 인간은 공동의 사회를 이루며 동시에 삶의 미시적 단위에서의 학습을 통해 문화를 습 득하고 내면화한다 그리고 그러한 문화의 독특성은 개인의 삶과 공동체의 삶에서 같이 배 어 나온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문화적 상대주의와 다원주의를 가능케 한다 문화를 한 인간 집단 인종의 총체적인 생활양식으로 정의할 때 집단간의 문화적인 차별성은 좋고 나쁨이나 위 계의 문제가 아니라 차이 의 문제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러한 문화적 접근방식은 전술된 다른 접근방식들에 비해 다원주의적이며 상대주의적인 개념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문화는 고정불변의 절대적 개념이 아니란 사실도 알아야 한다 즉 상 징체계의 대표적 수단이라 할 수 있는 언어가 시대에 따라 그리고 사회에 따라 변화하고 다르듯 문화란 인간의 역사와 상황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유기체적 성격을 지닌다 특히 문화는 형성의 주체가 인간이기에 인간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 여기에는 .

.

.

,

,

.

.

(socialization)

(enculturation)

,

.

.

.

.

,

,

.

.

.

,

,

.

.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59


문화의 변화와 발달 등 그 과정과 결과가 바로 인간의 그것들과 함께 호흡되고 있음을 시 사하는 것으로 문화는 정체된 그 어떤 것이 아닌 앞으로도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달하며 그리고 소멸할 수도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문화가 고정불변하고 절대적인 것으로 이해하는 것은 결국 자신과 다른 문화의 존재를 부정하거나 폄하하는 문화적 배타주의를 추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어떠한 문화이든 간에 문화를 이해하고 연구하기 위해서는 그 문화의 역사적․사회적 상황과 근원을 이해하고 무엇보다 문화란 인간사회의 산물이기에 당대의 인간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

.

.

,

.

(3)

다양한 문화의 존중과 공존

청소년문화를 바라보고자 할 때 어떤 프리즘을 선택할 것인가라는 질문과 관련하여 위 의 문화접근에 관한 논의들은 적지 않은 점들을 시사해 준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차이 를 인정해주는 포용적 관점을 유지할 수 있는 지와 없는지를 보여주는 일종의 리트머스 라 할 수 있다 또 오늘날 다양한 문화들이 이해와 인정을 통해 상호 존중과 공존을 위해 무엇이 문제인지를 성찰케 하는 인식의 기반을 마련해 준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인식에 기 초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획득하고 유지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와 향후 전망을 내 놓을 수 있다 문화라는 주제와 관련해 가장 쟁점이 되는 사안을 꼽으라면 단연 다양성과 불평등의 문제이다 문화는 용광로와 같아 다양성을 담보로 풍성한 결과들을 기대할 수 있는데 이 러한 다양성은 쉽게 한 사회에서 받아들여지기 어려워 오히려 새로운 문화적 양식들이 폄 하되는 불평등의 구조를 띄기 마련이다 이와 관련해 프랑스 사회인류학자인 끌로드 레비 스트로스 é 는 인류의 발전역사에서 문화와 문명의 다양성은 또 다른 측 면에서 문화적 불평등의 문제와 밀접하다고 논의한 바 있으며 이는 곧 문화적 다양성의 존중과 공존 은 같은 뿌리에서 나온 문화적 불평등이란 이단적 변종의 해소와 함께 맞물려 있음을 말한다 전근대화에서 근대화 그리고 탈 근대화로의 압축적 성장과정을 겪어야만 했던 한국사 회에서 문화적 다양성과 존중은 쉽사리 상실되기 마련이었다 통일성과 일체감이란 전 근 대적 주류흐름은 아직까지 그 힘을 잃지 않은 채 문화적 다양성의 흐름을 쉬이 일탈적 결 로 치부하거나 혹은 문화적 불평등 구조로 변질시키고 이 가운데 문화적 자생력의 발현기 회는 속절없이 사라지고 마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결국 차이를 발전시키는 시간 은 주어지지 않은 채 오히려 차이 가 차별 로 전이되어 문화의 다양성과 공존 그리고 관용과 협력의 맥락은 전복되기 일쑤였다 그리고 그 전복 의 최대 희생자의 하나는 청소년 그리고 청소년문화라 해도 과언은 아니었다 .

,

.

.

.

.

,

.

,

(Claude L vi-Strauss)

,

'

'

.

,

.

(

,

,

.

,

.

,

60

.

)


그러나 탈 근대화를 향한 사회변화의 흐름은 이러한 근대적 압력과는 상관없이 진행되 고 있고 오히려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보통신기술과 네트웍 테크놀로지 로부터 동력을 이어받은 사이버스페이스를 통한 시뮬라크라 의 확산 대중문화의 헤게모니를 장악하기 시작한 대의 모습에서 우리는 탈 근대화사회로 진입하 기 시작한 우리 사회의 실루엣을 엿볼 수 있다 그럼에도 최근 청소년과 연관된 다양한 문화현상들이 일종의 사회병리현상을 함축하는 청소년비행과 일탈 이란 주제로 집약되는 과정에는 전술한 사회변화의 흐름을 고려하지 않은 채 고집스럽게 작동하는 청소년들에 대한 전 근대적 시스템과 의식이라 볼 수 있다 그래서 사회변화의 흐름에 기초한 오늘날 청소년들의 변화된 삶의 스타일을 애써 외면하 거나 문화적 변종으로 삼고자 하는 한국적 사회 의 주류 흐름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또 자생력의 기회와 차이를 발전시키는 시간 을 얻지 못한 대 문화 역시 엽기 와 같은 문화적 잡종으로 화답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정도와 표현의 차이가 있겠지만 오늘날에는 문화적 변종과 잡종들이 대세를 이루 고 있다 크로스 오버와 퓨전이란 이름으로 오늘날 문화의 식탁에 오른 정찬들은 이전의 전형적인 정통성과 일체성과는 거리가 먼 듯 하다 문제는 이러한 변종과 잡종의 흐름이 거시적 맥락과 흐름에서 또 하나의 대안이자 미시적 측면에서 새로운 정체성의 모색으로 써 그 의의를 잡을 수 있는 맹아인지 아니면 조금 있으면 의당 사라지는 알맹이 없는 유 행인지에 대한 것이라 보여진다 다양성의 공존은 차이를 발전시킬 시간 을 전제하는데 그 동안 압축적 성장을 해온 한 국사회의 경우는 이런 다양성의 공존기반이 천상 거의 불가능했던 것 같다 다시 말하자 면 성인과 청소년의 차이 청소년 세대간의 삶의 차이를 이해하고 승인하기에 우리는 너 무 조급했고 또 그만큼 씀씀이의 여유도 없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소위 신세대문화 는 기성세대와 전 근대적 관점에서 청소년일탈과 비행으로 치부되거나 혹은 청소년들의 관점에서 청소년문화는 비보이 와 예지일탈적 소수 집단의 전유물로 낙인되어 왔다 경계와 틀의 구분 없이 자유로운 소통을 보이는 세계적 추세와는 달리 우리에겐 문화간의 골과 괴리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다양성을 승인하지 못함으로써 빚어진 갈등과 불안은 기 형적 문화 불평등구조를 강화시켜 온 것이다 더더욱 아쉬운 점은 그 간 우리의 문화적 태도가 대칭적인 것들에 대한 이분화적 경 향 심지어 극단적 양태로 흐르고자 하는 경향성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즉 글로벌 한 것 과 로칼 한 것 보편적이고 일반화된 것과 개별적이고 특수한 것 전통과 근대화 그리고 탈근대화의 산물들을 나누어 구분하고 편을 가른다 둘의 조화와 균형을 모색하기보다는 하나의 도태를 전제로 하는 생존의 법칙이 문화에도 자리잡아 흠결로 작용하는 것이다 빠른 사회변화를 배경으로 이제 우리에게 직면한 과제는 둘인 셈이다 하나는 급격한 사회발달과정에서 자칫 잃기 쉬운 문화적 정체성을 획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러한 ,

.

(network

technology)

(simulacra)

,

10

.

(

'

.

)

.

'

'

'

10

.

,

.

-

.

,

,

,

.

'

'

.

,

,

,

.

(

)

,

(B-boy)

.

,

.

,

,

.

,

,

,

,

.

.

.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61


정체성으로부터 반드시 유지해야 할 유연성과 개방성의 획득이라 할 수 있다 문화적 다양 성만을 위해 정체성을 포기할 수는 없는 일이며 정체성만을 위해 다양성을 거부해서도 안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과제들을 열거해 놓으니 유독 오늘날의 청소년문화는 이 두 과제 의 축소판이자 심화된 영역처럼 보인다 주체적이고 자생적인 문화의 기회를 박탈당한 채 정체성은 상실되고 한편 획일적인 보편성을 유행의 흐름에 맡기는 대의 문제가 그들만 의 몫으로 보이지 않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

,

.

,

.

,

10

.

2. 청소년문화복지의 의의

이처럼 위기의 청소년 삶은 절대적으로 사회의 지원과 협력을 요구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대로 이들에게 현실의 사회적 통념과 제도 장치는 아직까지 전근대적이거나 근대적 이어서 청소년 스스로부터 저항의 몸짓을 하기 전에는 쉽게 변화하려는 속성을 갖고 있지 않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학교인데 내마음속의 풍금 이란 영화에서 보여지는 학교의 이 미지는 어느덧 여고괴담 의 배경장면으로 뒤바뀌어 버렸다 또 청소년들의 저항이란 것도 단단한 모순의 껍질을 깨기 위해서는 다소의 과격성과 파격성을 동반할 수밖에 없어 교육 제도의 느슨한 개혁을 비웃듯이 최근 탈학교와 대안학교의 참여와 관심의 불길은 거세기 만 하다 그러다 보니 일반 다수의 청소년들은 여전히 희생자로 또 소수의 청소년들은 무 수한 희생을 담보로 게릴라와 전사라는 호칭을 부여받으며 힘겹게 살아가고 있는 형국이 다 이제 우리 사회가 변해야 한다 적어도 청소년들의 건강성을 기대한다면 그들의 복지 를 지향하는 변화로의 모색과 실천적인 접근을 진중하게 시도할 때가 온 것이다 복지란 개념 자체에서 실천적인 개념정의에 비중을 둔다면 청소년복지 란 청소년의 삶의 질적 제고를 보장하거나 지원하는 제반 활동 일체를 말한다 즉 복지란 개념이 인간 삶이 보다 풍요롭고 행복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지원하는 적극적이며 실천적 서비스 개념으로 정의된다면 청소년복지란 청소년의 삶의 질을 보장하거나 지원하 는 일체의 활동을 의미한다 방은령 청소년문화가 청소년의 삶의 제반 양식이라 한다면 청소년복지와 청소년문화는 같은 대상집단 청소년 을 향한 거의 닮은 개념이며 어떤 측면에서는 청소년문화를 건강하게 지원하는 제반활동이란 실천적․수단적 개념으로 청소년복지를 말할 수도 있다 즉 하나는 건강한 이라는 수식어만 있다면 목표개념으로 사용가능하며 청소년문화 또 하나는 그를 달성하기 위한 제반 실천전략을 의미한다 따라서 청소년문화복지란 건강한 .

,

.

, ‘

.

.

.

.

.

, ‘

(youth welfare)’ .

(

, 1998: 126).

,

(target group;

)

.

,

’8)

(

),

.

8)

여기서 건강한 이란 표현도 받아들이는 측면에서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건강한 문화 건 강한 삶의 객관적 기준을 주관적 측면에서 정당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 건강 한 문화란 성장세대와 기성세대 모두가 합의할 수 있는 이념적 개념으로서의 건강성을 말한다 ‘

.

,

.

.

62


청소년문화를 실현하는 청소년의 삶을 질적으로 보장하고 지원하는 제반 실천전략이자 활동을 의미한다 특히 지금까지 서술한 대로 오늘날의 우리사회가 배태시킨 청소년문화의 단면들이 질 과 양의 측면에서 건강성을 담지하지 못하고 오히려 위기의 수준에서 머무르거나 악화되 는 상황이라 할 때 그 건강성을 소여시킬 수 있는 가장 최선의 접근이 바로 문화복지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아직 문화복지란 용어가 생소하고 또 그 개념이 채 분명히 정의되지 않았지만 청소년과 청소년문화 그리고 청소년복지에 대한 개념만이라도 분명하다면 그것 은 그리 어려운 일만은 아닌 것 같다 더욱이 지금껏 살펴본 것처럼 청소년문화가 청소년의 삶을 통칭하는 것임을 염두 해 볼 때 그리고 오늘날의 청소년들이 직면한 위기적 삶이 사회구조적인 측면과 맞물려있음 을 고려할 때 청소년문화복지는 지금까지 교육적 베이스에서 제한된 개념으로 사용되었던 청소년활동 이란 용어를 뛰어넘어 사회의 변화와 혁신을 요구하는 청소년 운동 의 한 영역으로 포섭될 수 있는 더욱 적극적인 개념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더욱이 최근 차 교육과정의 고시와 시행 주 일제 수업의 실시 청소년육성 개 년계획 제 차 및 새로운 청소년헌장 등 청소년의 참여가 청소년정책의 핵심내용으로 요 청되는 일련의 상황에서 오늘날의 청소년의 청소년에 의한 청소년을 위한 문화 교육 활 동의 제반 영역을 아우르는 포괄적 영역의 접근으로써 문화복지적 접근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

.

.

,

,

.

,

,

(youth activities)

(youth movement) .

,

7

(

2

,

5

,

5

)

,

,

.

4. 에필로그

앞에서도 계속 언급하였지만 오늘날의 청소년을 어떤 존재로 볼 것이며 또 그들의 문 화를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그 파장의 다름은 적지 않다 특히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 리하자면 이들이 직면하는 현안과제들을 사회문제로부터 단순히 분리시켜 살펴봄으로써 그리고 문화에 대한 제한적 접근을 중심으로 청소년문화가 갖는 가능성을 애써 외면함으 로써 오늘날 청소년의 삶은 그 건강성을 보장받기는커녕 오히려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그 결과 우리 사회의 문화적 다원성과 차이에 대한 경시는 점차 커지고 이로 인해 심화되는 문화적 불평등 구조하에서 청소년문화는 피폐한 질곡의 역사를 거쳐 온 셈 이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요즘의 아이들이 문제청소년이 아니라 문제사회 가 문제청소년을 양 산한 것이라는 논의에 동의한다면 지금의 위기사회 에서 우리가 취할 일은 일단 좀 느리 게 사는 법인 것 같다 긴 호흡과 느린 숨결로 성장세대로부터 희망을 찾고 일굼은 결코 소모적이지 않으며 비효율적인 인간행위가 아니다 청소년들을 위해 청소년현장 ,

,

.

,

,

.

,

.

,

.

.

(for Youth)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63


에 땀을 흘리는 사람들이 점차 청소년에 관해 노력하고 열중함으로써 결국 그 들과 함께 우리 사회의 당면과제들을 풀어낸다면 이야말로 청소년활동의 궁극 적 목표이자 바람직한 미래사회 건설을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것이다 청소년들을 이해하 기란 결국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 첫 걸음이자 성장세대에게는 새로운 삶의 기회를 제공 하는 일이다 이런 맥락에서 지금 우리가 청소년을 위해 라는 명분은 있지만 과연 청소년에 관해 알고자 이해하고자 하려는 노력은 있는지 그리고 그들과 함께 하기보다는 따로 하려고는 하지 않았는지를 깊이 성찰해 볼 필요가 있다 실제로 현장이나 이론의 장면에서 우리는 이런 사례들을 적지 않게 본다 단지 청소년을 위해 라는 입장에서 지도와 보호의 담론만 을 틀어쥐려는 사람들도 적지 않고 적어도 청소년들의 의견에 귀기울이고자 하는 노력도 없이 소위 청소년을 볼모로 삼고 있는 경우들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청소년 스스로가 삶의 주체로서의 위상을 인식하고 사회의 적극적 참여자로 실천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는 곧 최근 주목되는 그들의 권리와 그에 따르는 책임감을 청소 년들에게 요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한 차원에서 청소년의 참여를 전제로 한 문화복지 적 접근은 큰 틀에서 하나의 대안이 될 수도 있다 지금이 시작이다 청소년들 모두가 자 신의 위치에서 자신의 모임에서 함께 권리획득과 획득된 권리향유에 걸맞는 책임을 인식 하고 공유하고 해결하도록 하는 실천적 자세를 견지해 줄 필요가 있다 그런 자세에서 청 소년들의 건강한 문화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문화가 주어지는 것이 아닌 기르고 공유 하는 것이라면 말이다 나아가 청소년들과 함께 하는 사회적 제반 구성원 집단들과 협력을 유지하면서 지속 가능한 지원을 해야 한다 이러한 실천들을 일컬어 문화복지적 실천이라 한다면 그 실천 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청소년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고 청소년 스스로 행복을 가꾸며 살아갈 수 있도록 여건과 환경을 조성한다 는 새로운 청소년헌장이 단지 선언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지표로 당당히 설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마지막으로 오늘날의 청소 년문화가 너무 많은 이질성과 괴리감을 갖기에 그 갈등의 폭과 깊이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한다는 사람들에겐 모순은 모든 삶에 내재하며 갈등은 도처에 존재한다 는 요한 갈퉁 의 말로 대신하고자 한다 ,

(on Youth)

,

(with Youth)

.

,

.

,

,

,

.

.

,

,

.

,

.

.

.

.

.

.

.

,

,

.

,

, “

.

(Johan Galtung)

64

.


<사례> 촌티문화, Kitch

촌티스런 아이들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최근 고지식하고 답답한 주류에서 한 발 벗 어나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 자신만의 삶을 즐기려는 아이들의 욕구에 근거한 급격한 문화형태가 등장하고 있다. 이른바 촌티문화, 키치(Kitch)다. 몇 년 전부터 이런 키치 현상은 문화전반에 급속도로 그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19세기 독일에서 처음 쓰인 키 치(Kitch)란 용어의 사전적 의미는 천박하고 통속적인 작품, 또는 천박하게 장식한 것 을 의미한다. 키치문화의 확산에 가장 큰 공헌을 한 것은 인터넷이다. 인터넷이 창출한 사이버스 페이스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성향을 무한대로 나타낼 수 있게 되었고, 또한 익명으로 드러낼 수 있기 때문에 솔직해졌다. 가장 먼저 성적인 것을 즐겼고, 엽기적인 것을 즐 겼으며, 그리고 경박함을 즐겼다. 그 대표적인 것이 딴지일보다. 그들은 “주류가 아닌 이유로 뒤틀린 채 감금되어 질식당하고 있는 이 비상식의 세상에 발랄하게 일탈하여 작은 똥침 한방을 놓는 것”이 자신들이 추구하는 정신이라 밝히면서 정치인이든 누구 든 고상한 척하는 모든 인간들에게 시원스레 펀치를 날린다. 또 최근 조회수 130만을 넘기며 사람들을 매료시킨 인터넷 영화 ‘다찌마와 리’(류승완 감독)도 키치적 요소를 담고 있다. 2:8 가리마를 한 주인공이 70년대 한국영화의 과장된 성우목소리로 늘어놓 는 유치한 대사에 아이들은 자지러진다. ‘난닝구와 몸빼바지’가 새롭게 조명받기 시작 했고, 뽕짝에 맞춰 춤추는 사람들이 등장하는 광고 역시 이제 이러한 키치적 성향을 고스란히 빼닮았다. 과거의 것을 그 자체로 모사함으로써 그것은 현대적 삶과 조화되지 않은 어색함을 준다. 이러한 어색함이 키치가 추구하는 정신이다. 어색함을 주는데서 즐거움을 찾는 것이 바로 키치정신이자 오늘날 엽기라 부르는 이질적 문화의 한 사례이다. 왜 이런 키치문화가 요즘의 아이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끌까? 키치문화는 옛날처럼 모든 것이 획일화되고 일반화된 것만을 강요받아오던 과거의 문화와는 달리 이제는 각자의 개성을 중시하게 되었다는 변화된 사회현상을 반영한다. 과감히 주류적 질서로부터 일탈함으로써 갖는 해방적 즐거움, 그것은 일상의 ‘주유소 습격사건’이기도 하다. 때로 인간이 갖는 자신만의 미학적 추구는 자기정체성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일 수도 있기에 키치는 그 자체가 갖는 소아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나름 대로의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복고패션이 유행하자 너도나도 옛날 스타일을 따라 하는 것을 보면 우리 풍 토에서는 키치문화도 하나의 획일문화에 지나지 않는다. 유치함과 부적절함, 그리고 황 담함이 만들어내는 키치란 이질적 문화현상이 하나의 대안으로 되기에는 큰 모자람이 여기에 있다. 우리 사회가 갖는 다원적 문화의 부족함이 키치를 마이너러티(minority)의 문화로 냅두지 않는 것이다(키치에 대한 단상).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65


□참고문헌□ 김 민 김신일 김영찬 김창남 방은령 서울대학교 단 정유성 조선일보 최윤진

학교실패현상에 대한 문화론적 연구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청소년문화의 의미와 성격 청소년문화론 서울 한국청소년개발원 생활 문화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대중문화의 이해 서울 한울아카데미 일반 청소년복지 이 종복 외 현대청소년복지론 서울 양서원 교육연구소 신세대의 이해 그들의 의식과 유형 서울 삼성복지재

(2000).

.

(1992).

,

(1980).

,

,

.

(1998).

.

:

.

(1998).

(1994).

.

:

.

.

:

.

.

(1998).

(1996).

.

:

.

-

:

.

:

사람 삶 되살림 인간다운 생존을 위한 교육 서울 한울 -

-

1:

.

.

:

.

. 1995. 6. 11.

(1999).

청소년문화 한국청소년학회 편 청소년학 총론 서울 양서원 .

.

.

:

.

Arnold, M.(1960). Culture and Anarchy.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Brooks-Gunn

&

Feldman

Reiter, &

G.

E. R.

O.(1997).

The

Elliott(Ed.),

At

Role

the

of

Pubertal

Threshold:

Process.

The

In

developing

S.

Shirley

Adolescent.

Harvard University Press. Broom, L. and Selznick, P.(1977). Sociology, Harper and Row. Bourdieu, P.(1995).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최종철 역 서울 새물결 :

(

).

.

:

.

Cohen, P.(1997). Rethinking the Youth Question. London: Macmillan. Ferchhoff, W.(1990). West German Youth Cultures at the Close of the Eighties. In L. Chisholm

et

al.(Ed.),

Childhood,

Youth,

and

Social

Change:

A

Comparative

Perspective. London: The Falmer Press. Galland(1996). Les Jeunes. Paris: Edition la D ecouverte. Leavis, F. R.(1930). Mass Civilization and Minority Culture. Cambridge: Minority Press.

é

ü

Lef bvre, H.(1974). Die Zukunft des Kapitalismus. M nchen: List. Muuss, R. E.(1996). Theoris of Adolescence. McGraw-Hill Companies Inc.

(1999).

청년발달의 이론 서울 양서원 .

:

정옥분 외 공

.

Storey, J.(1993).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London: Simon and Schuster.

모역

(1994).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현실문화연구 .

Williams, R.(1983). Keywords, London : Fontana.

66

.


Think Piece : Special

직선 개 이하를 계속해서 그려서 다음의 원 개를 전부 관통시켜 보십시오 단 펜을 종이에서 떼서는 안됩니다 4

9

.

,

.

PUZZLE : Draw no more than four straight lines(without lifting the pencile from the paper) which will cross through all nine dots.

● ● ● ● ● ● ● ● ●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67


청소년문화를 읽는 세 개의 스펙트럼9) - mass media와 image, digital 김 태 황 (미지센터 프로그램팀장) 1.

話를 위한 頭

청소년기를 들여다 보는 패러다임은 고정되어 있지 않은가? 청소년문제를 이야기 할때 반드시 빠지지 않고 서두를 장식하는 어휘 몇가지가 있다. 안타깝게도 문제의 등식으로 성립되고 있는 것이 청소년문화다. 정확히 표현하자만 <청소 년문화에 대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청소년문화의 삐딱한 시각은 곧바로 문제로 이야기되 기 일수다. 문화가 도!대!체! 문제라는 시각으로 청소년문화를 들여다 볼 수 없다. 각종 매 체에서 보여지는 문화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우리에게 고정관념을 심어주고 있지 않는지 의문이다. 그것이 양적으로 존재하든 질적으로 존재하든 문화는 실체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문화란 무엇일까? 文化.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말로는 Culture. 이건 정신적인 의미이다. Civilization. 이건 좀더 물질적인 쪽에 가깝다. 하지만 이것을 포괄하는 무언가있다. 문화는 사회적 반영이며, 인간이 누리는(?) 특권중 하나 인 것 만은 확실하다. ‘신비의 세계’라는 TV프로그램이 있었다. 거기서 보여지는 동물의 살아가는 모습은 사람의 문화에 비추어 설명된다. 그것은 동물의 문화라고 할 순 없다. 인간의 시각으로 바라본 동 물의 ‘살이’이다. 거기에 적당한 나레이션으로 인간의 식,의,주를 대입하고 적당히 비벼놓으 면 시청자를 웃기고 울리는 인간식 동물의 세계가 탄생한다. 물론 사람도 동물이기에 살며 종족번식을 위해 섹스하고, 번식하고, 잡아먹고... 이런 기본적인 행동이 있다. 하지만 이걸 9) <청소년문화를 읽는 세 개의 스펙트럼>은 이란 제목은 2001년 미지센터가 주최한 청소년문 화읽기 세미나의 타이틀이다. 이를 기점으로 미디어와 청소년을 공통분모로한 네트워크작업 이 실행중이며 세 개의 스펙트럼은 네트워크 단체인 [미지]와 [매비우스],[사이버문화연구 소],[헤모]가 각 섹터를 맡아 진행되었다. 68


보고 인간의 Life Style의 전부라고 하진 않는다. 분명 문화는 삶의 모습을 이야기 하는 것 같다. 삶의 모습이라면 자연스럽게 가 있을것이며 음지의 문화도 함께 공존하고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현재 청소년 문화의 모습은 어떠한가. 청소년문화가 청소년의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답한다 “당연히 청소년의 것이다” 문화의 특성은 또래의 특성에 따라 그 생김새가 많이 달라진다.

양지의 문화

또래문화... 마치 이건

청소년의 전유물처럼 느껴지는데, 환갑잔치를 하는 노인 역시 또래 이며 문화를 가지고 있다. 우리가 문화를 보는 눈이 편협하다는 생각이 드는 건 성인문화 와 청소년문화 현상을 양극에 놓고서 재어보고 평가한다는데 있다. 청소년 문화로 이야기 하자. 청소년문화의 주인은 청소년. 그 문화의 중심에 무엇이 있을까. 상업문화? 소비문화? 그것이 중심에 있을까? 그 문화의 중심에는 ‘나의 문화'가 있다. 문화는 삶의 모습이라고 다시 한번 강조한다. 나 의 문화는 나의 가치관을 퍼즐처럼 조합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삶을 표현하는 방법이며, 그 ‘나의 문화'를 둘러싸고 있는 ‘가정의 문화'일 것이다. 바로 그 나의 문화와 가정의 문화가 아까 이야기한 양지의 문화이냐 음지의 문화이냐에 따라 내 삶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문 화의 형태를 다른 모습으로 다가올 것이다. 청소년문화의 중심에서 우리는 항상 그 변방을 떠도는 낯선 고을에 방문한 맹인같았다. 그리고 청소년문화=청소년문제라는 도식적인 해석을 내린게 지금껏 청소년문화를 앞장서 서 지도해온 학교선생님들과 청소년지도자 아니셨는지? 우린 항상 '문제'라는 신도롬과 씨 름해왔다. 청소년지도자는 썩어 들어가는 문화를 좀더 보기 좋게 포장하기 위한 방부제가 아니며 환경미화처럼 무언가 치워내야 하는 것을 전업으로 하고 있지 않다. 지금부터 풀어보고자 하는 것은 이러한 청소년문화를 바라보는 몇 개의 시각중에 매스미 디어에 대한 필자의 독설(?)이다. 이것은 청소년이 가지는 의사소통의 코드를 읽는 작업이며 매스미디어와 청소년문화의 영 향력을 음지에서 양지로 이끌어내는 작업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69


2. 문화교육으로서의 <미디어> 1) ‘나’ 의 확장

분명한 것은 미디어가 ‘나’로부터 확장되어 나오는 개념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미 디어가 소중히 다루어져야 한다. 그렇다~ (이것은 대한늬우스의 진행자 목소리로 들려야 한다!!) 미디어는 인간의 확장10)이다. 젓가락이 내 손의 기능을 하게 되듯이... 마이크로 폰을 통해 나오는 사운드는 내 음성의 확장이다. 하지만 현대사회 미디어는 '사 운드'를 단순 음성 확장으로만 해석하지 않는다. 이것이 가지고 있는 의미는 무엇일까에 집중해 보자. 사운드는 공기의 파동이다. 이것이 가지는 본질적 성격은 같다. 즉 그 음색이 다르고 음폭이 다를 뿐 공기를 진동임에 는 본질적으로 그 성격이 같은 것이다. 하지만 기호적으로 해석한다면 이것은 단순히 고막 을 울리는 파동이 아니다. 그곳에는 의미가 실려있다. 즉...인간이 발성하거나 인간의 발성을 확장 시켜낸 '사운드'에는 가치와 철학이 담겨있다. 미디어는 그 지점에 있다.(그렇기에 미디어교육을 생물학이나 물리학에서 다루지 않는 것!!!)

10) 미디어의 이해(인간의 70

확장),

루한,

먀샬 맥

커뮤

니케이션북스(2001)


다시 한번 곱씹어 본다. 미디어가 나로부터 확장되어 나와 생명력을 부여받는다. 그리고 생명력을 부여받은 미디어 는 메시지화되어 리시버에게 전달된다. 그 메시지는 리시버에게 의미로 다가가게 되는 메 카니즘을 갖는다. 물론 리시버는 전해 받은 메시지에 따라서 다르게 반응하며 또 같은 형 태의 메시지 전달을 반복한다. 미디어는 일방향 전달이 될 때 왜곡현상을 경험하게 된다. 미디어교육의 방향은 여기서 달라진다. 미디어는 그러한 왜곡현상을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 다. (그것을 다분히 인간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참고.

슈람(W.Schramm)의 모델들

A. 기호화

B.

신호

해독화

정보원

정보원

정보원

수용자

경영영

경험영

정보원

기호화

정보원

정보원

신호

해독화

수용자

정보원

정보원

C. 기호화

메시지

기호화

해석자 정보원 해독화 정보원

정보원 메시지

해석자 정보원 해독화 정보원

정보원

정보원

정보원

※ 슈람에 의하면, 정보원은 개인이 될 수도 있고 커뮤니케이션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신문사, 방송 국, 잡지사, 스튜디오 등)이 될 수도 있다. 정보원의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체 역시 공중의 음파, 전 류에서의 자극, 손짓, 몸짓, 공중의 깃발 또는 그 외에 해설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신호라도 가능 하다고 간주했다. 수신자로 서는 듣거나 보거나 읽는 개인과 토론집단, 독서그룹, 축구장의 군중, 매 스미디어의 독자나 시청자 등을 들었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71


한 축은 미디어교육은 일종의 백신의 역할을 한다. 황폐해 지고 있는 미디어환경에 대한 감시와 매스미디어 바로 보기의 교육이다. 또 다른 한 축은 미디어 문화의 적극적 수용으로서 문화교육의 관점을 지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흔히 전자를 매스미디어 수용자 교육이나 시청자교육등으로 분류해 왔고 후자를 미디어문화교육이나 활동으로 분류해 왔다. 최근 들어 이 두 개의 축이 오버랩되는 경향성 을 가지고 있다.

즉.

미디어교육이라고 지칭함에 있어 일방향 의사소통인 매스미디어의 폐해를 이야기하면서 교육의 장에서 일방향 매체인 교사는 더 이상 미디어교육의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음에 대한 반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활동을 중심으로 하거나, 제작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미디어교육은 미디어환경이 가지 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는 경향성과 기능위주의 교육으로부터 벗어나기 힘든 것에 대한 지양을 시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수용자의 참여

미디어는 수용자의 적극적 참여가 있어야 완성된다. 미디어는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가 생 각해 보자. 미디어는 수용자의 적극적 참여가 없으면 절대 움직이지 않는다. 만약 처음부 터 이 글을 읽은 사람이라면...대한늬우스 진행자의 목소리가 들렸는지? 절대 이 글에서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는 그 소리를 듣는다. 문자화된 미디어 가 가지는 소통의 방식을 이해하는 사람이라면 문자에서 소리를 어떻게 낼 것인가를 고민 하게 된다. 비단 의성어나 따옴표로 위치지어 있지 않는다 하더라도 문자는 소리를 내고 있다. 푸악!!! 퍼억... 킥킥 소리를 낸다. 오...신통하여라~ 잠시 삼천포로 빠졌다. 자...생각해 보자... 수용자의 적극적 참여... 이것을 다시 생각해 보면 수용자의 참여가 없으면 미디어가 움직이거나 소리를 내지 않는 것이다. 또 한 꺼플 벗겨 보면...미디어는 내가 움직이는 것이다. 하나만 더 나가면...미디어 는 내가 제어할 수 있다. 이 지점에서 교육적 관점으로 만나야 하는 것은 72

건강한 매체체험을 통한 아이들의 성장을


도모해 주는 것!!! 미디어교육은 총체적 인간과 관계의 체험이며 문화교육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3. 청소년문화와 매스미디어 1990년대 초반 한동안 X세대에 대한 담론. 경제적으로, 혹은 사회적으로 큰 혼란기를 겪 은 다음 세대인 X세대. 지금은 그 세대를 한걸음 더 나아간 세대이다. 우리는 그들은 N세 대라 부른다.11) 사회는 다양화 되었고 앞으로는 더욱 분화될 것이다. 다양성이 존재하는 문화! 그런데 이 다양성이 현실일까? 다양성이 존재하는 문화는 기본적으로 흡수해야 하는 것이 있다. 그것은 세대간의 간극이 아무리 벌어지더라도 각기 다른 문화를 인정, 수용해야 하는 것이다. 문화가 분화되고 수 적으로 늘기만 한다면 그것을 글로벌 빌리지시대의 모자이크문화라 할 수 없다. 하지만 선명한 것이 있다. 세대는 공통의 문화적 코드를 가진다는 것이다. 현재를 살고 있 는 청소년의 문화는 어떤 공통분모를 가지는가. 영상문화와 컴퓨터, 인터넷이 지금의 세대 를 대표하는 문화임에 틀림없다. 정리하면, 현재를 사는 새로운 세대는 뉴미디어 영상문화 를 통해 의사소통한다. 이제 본격적으로 청소년뿐 아니라 예로부터 의사소통과 정보의 상 호작용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살펴보고 컴퓨터와 TV를 비롯한 전자매체가 어느 지점부 터 새로운 문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 알아보자.

communication(의사소통)은 그 방법과 임이 시대에 따라 차이가 난다. 이 기를 내려면 아주 옛날로 거 러 올라간다. 여기서 알아보려고 하는 것은 의사 소통의 핵심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지금 을 읽고 있는 '당신'은 필자인 '나'와 어 게 의사소통하고 있는가 생각해보자. 당연히 ' '이라는 매체이다. 그렇다면 은 어떤 형태로 당신의 손에 있기에 당신이 읽고 있는가? '책'으로 인 되어 있다. 그렇다면 을 인 할 수 없는 시대에는 사람들과 의사소통할 수 있는 핵심적인 것은 무엇이었을까... 쓰

말하고 듣는 것이 중요한 문화

12)

11) N세대. 정보를 기초로 문화를 만들며 자기표현이 자유롭고, 인터넷과 컴퓨터를 수족처럼 다 루는 신세대. 이런 세대의 담론을 더 이상 유행어처럼 내뱉지 않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건 무슨 이유인가. 어차피 N세대를 TV광고와 쇼프로그램 등을 통해 등극 시킨 끼워팔기의 화두가 아니었을까? 자기도 모르는 새 매스컴에서 '넌 N세대야' 라는 말을 들어야 하는 것은 아니었을까? 그건 개그맨 누군가의 연변말투 흉내내기와 같은 유행이라고 생각하자. 어차피 객관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신세대에 대한 상징적인 표현일 뿐일테니까. (미디어교육 프로젝트 팀 ‘헤모’ 2000 미디어워크샵 자료집. 2000) 12) 구전문화 또는 구두문화라 하며 주로 대면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소통하였으며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73


이때의 사람들은 말하는 것과 듣는 것이 가장 중요했다. 공동체생활을 하던 사람들은 소리 가 닿는 거리만큼이 의사소통의 거리였다 위험을 알리는 것도 소리를 듣지 못하면 의미가 없었고, 소식도 소리에 의존한 것이었다. 즉, 잘 듣는 것(이것은 곧 정보)이 생존과 직결되 어 있었으며 사람들은 잘듣고 경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의사소통의 원칙이었다. 거기에 중요한 의사소통중 하나는 몸짓(body language)이었다. 오히려 말보다 더욱 풍부한 소통방 식을 갖는 것은 몸짓의 언어였으며 이 언어를 세부적이고 구체적으로 묘사하는데 말이 사 용된다. 이때는 말하는 것과 듣는 것이 매우 중요했으며 의사소통 관계는 1:1의 관계이며 쌍방향 의사소통이었다. 듣고 질문하고, 경험하고... (체계화된 기호로 문자는 생겨나지만 대중화된다는 것을 기점으로 의사소통관계는 변화한다)

인쇄술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13)

구전문화의 사람들에게도 문자는 있었다.14) 대신 그 문자화된(책) 정보를 얻는 것은 너무 도 비싸고 쉽게 접할 수 없었으며 특정한 계층이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인쇄술의 대 중화로 정보를 보다 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지식과 정보를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너도 나도 글을 배워야 했다. 말하고 듣는 것이 없으면 굶어 죽을 수도 있는 것처럼 글을 모르면 살아가기가 힘들어진다. 어른 들이 직접 가르치지 않아도 혹은 어른들도 모르고 있던 것도 책에는 인쇄되어 있다. 이때 는 글을 읽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에게 기득권이 생기는 것이었다. 그것은 다 시말하면 더 많은 정보를 가진 사람이 더 많은 생산력을 갖게 되는 것이나 다름이 없었고, 말보다 더 강한 설득력을 갖게 된다. 인쇄술이 널리 보급된 이 시대에는 핵심적인 의사소통이 무엇으로 이루어지고 있을까. 이 때는 문자로 이루어 지고 있다. 이 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문자를 읽고 쓰지 못하 면 살기가 힘들어 졌다. 이 시대를 문자문화시대라 해보자. 문자(혹은 활자화된 글)로 대량 화된 의사소통은 일방향(편방향)의사소통으로 바뀐다.

전자문화는 시작되고

.15)

oral-language로 구체화되었다. 13) 문자문화 또는 인쇄문화라 한다. 물론 우리나라의 목판인쇄가 시기적으로 앞서있긴 지만 여기서의 이야기는 대중화된 시점을 근거로 한다. 14) 이때는 필사문화라 할 수 있지만 문자문화시대의 도래는 빠른 카피의 기술이 생긴 것을 점으로 하고 있다 15) 전자문화의 도래는 매스미디어의 본격적인 출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읽고 석하는 문화를 듣고 느끼는 문화로 이전시켰으면 긴 문자문화의 시대에 잠들어있던 각기관을 흔들어 깨웠다. 전자문명은 단순히 새로운 미디어의 발명의 수준이 아니라 74

하 기

해 감 감


20C. 전기와 전파가 등장하자 사람들은 라디오나 TV등을 소유하게 된다. 글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듣고 보는 것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문화가 생긴 것이다. 이러한 매스미디어의 출현은 송출되어 나오는 풍부한 정보와 지식을 전세계 사람들에게 전했다. 안방에 앉아서 미국대통령의 취임식이나 티벳승려의 생활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지금까지의 의사 소통과는 매우 다른 특색을 갖고 있다. 훨씬 다양해 졌으며 지구촌이라는 개념을 만든다. 매스미디어의 등장과 인터넷은 지구촌이라는 말을 확실하게 피부로 느끼게 해주는 것이다. 그리고 다가오는 미래문화의 기초가 된다. 더구나 이러한 media의 진화(?)를 가속시킨 디 지털은 정보가 '생존'의 조건으로서가 아닌 '생활'의 조건으로 다가오게 된다. 이미 사람들 은 전기가 없이는 단 하루도 살아가기 힘든 시대에 살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이 시대에 의사소통의 핵심적인 것은 무엇일까. 사람들의 주된 의사 소통은 전자문화 안에서 파생되 는 의사소통을 경험한다. 이 시대를 전자문화시대라고 한다. 이때는 1:대중(mass)의 관계가 형성되었으나 -이를 통해 매스미디어라는 말이 일반화되었다- 아직도 의사소통방식은 일 방향(편방향)의사소통에 머물고 있다.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은 실로 엄청나다. 매스미디어 문화는 상업미디어의 성격을 가지며 의사소통의 우위를 차지한다. 이는 정보의 주종관계과 수직적 구조화에 일조하며 각종 폭 력과 역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다. 젊은 세대의 감성은 상품화되며 ‘이미지’는 상업미디어 안에서 다양한 통로를 통해 시대를 자극시켰다. 여기에 려 다니는 새로운 세대에 대한 한탄을 늘어놓기에는 보다 편하고 익숙한 의사소통을 체득하고 향유하는 청소년에게는 설 득력이 없다. 현대사회에서 정보는 차단되기 힘들다. 더구나 정보의 유입통로가 다채널, 다 매체화 되어가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기에 미디어의 가치와 정보의 유용성, 합리적 소통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끌

새로운 문화현상으로 다가오고 있는 청소년문화 코드에 접근하는 방법론은 미디어가 능 사가 아니며 보다 입체적 해석이 필요하다. 두 번째 스펙트럼은 이미지 이다. 전자문화시대의 도래로 읽고 해석하는 문화에서 묻혀져 있던 청각과 시각을 중심으로 하 는 커뮤니케이션 시대가 열렸다. 이를 대표 하는 것은 이미지 이다.

4. 이미지 image

각과 함께 사고의 변화와 행동패

과 세계관이

달라졌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75


우리는 21세기 현재를 살아가면서 무서운 속도로 사회, 경제, 문화의 변화를 체감하며 살 아간다. 더구나 이러한 변화는 가시적으로 드러나기도 하지만 무의식을 포함하는 문화와 의사소통의 가속으로 진화한다. 이미 우리의 세계와 문화는 탈문자화 된 다양한 이미지의 세상에서 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디지털과 컴퓨터의 속성이 이미지와 영상이며, 매스컴 이 주도하는 영상매체가 가지는 소통 구조가 또한 그렇다. 아이들은 저멀리 있다. 우리가 골똘히 생각하고 있는 동안 청소년을 감동시키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에너지를 가진 새로운 의사소통이 생겨났다. 아이들과의 대화를 위하여 우리는 지금부터 새로운 의사소통인 이미지언어를 느끼고 감동 받아 보아야 한다. 1) 마음을 움직이는 새로운 시각

겨울에 눈(eye)에 보이는 것은 어떤 것이 있을까 한번 적어보자. 우선은 눈(snow 또는 눈 사람),장갑, 난로, 서리, 두 운 점 , 스키등이 있다. 표면적이고 1차적인 것이다. 즉 눈에 보이는 것이다. 그렇지만 한 걸음 더 가보면 이런 것을 연상할 수 있다. - 빨라진 발걸음 : 추우니까 발걸음을 빨라진다. - 불우이웃 : 자리가 없는 사람에게 겨울의 추위는 정말 정스럽다. 표면적으로 보여지는 것 에는 항상 그것을 받쳐주고 있는 것이 있다. 그리고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직설법 보다는 그 배경에 있는 은유적인 표현이 우리의 마음 을 움직이게 된다. 마음을 움직인다는 것이 무엇일까? 생각하는 것은 논리가 있으며 인과 관계가 생기며 머리속에서 정제되어 전 다른 표현으로 나오기도 한다. 그래서 계산될 수 있고 유추해서 그 정 을 찾아가기도 한다. 하지만 느 으로 표현되는 것은 감동받게 하고 미소와 눈물을 동반한다. 바로 이것이 마음이 움직여 지는 것이다. 영상언어는 그런 힘을 이용한 것이다. 눈에 보이는 1차적인 것으로부터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기 힘들다. 눈에 보이는 것을 어떤 영상매체에 담아도 이미지로 보여지기는 하지만 그 안에 의미가 사라지 면 이내 등을 돌리기 쉽다. 이미지안에는 그 표현의 수단으로 사용되어지는 갖가지 상징과 꺼

기호투성이다. 이미지으로 표현한다는 것은 눈에 보이는 것을 통해 그 세계의 이면을 바라보게 하는 것 이다. 예를 들어 [피묻은 십자가]는 어떤 느낌이 있을까? <피>라는 표면에 들어있는 것은 붉은색...혹은 끈적임정도. 그렇지만 <피>는 근원적인 무언가를 연상시키기도 하고, 아픔과 연관지을 수도 있다. 또한 무서움이나 두려움등의 공포와도 연관된다. 물론 그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으로 해석되 는데, 자기의 경험에 비추어 <피>라는 물질에 대한 의미의 근거가 다르게 나오게 된다.16) 그리고 십자가는 표면적으로는 가로와 세로의 막대, 혹은 그와 비슷한 것이 교차되어 있는 76


형상이지만 그 안에는 많은 상징으로 가득하다. 그것이 피+십자가로 매치되면 더욱 더 깊 이있고 의미심장 해진다. 이러한 영상의 기호는 의미를 떼어낸다거나 전달하는 과정에서 기표와 기의로 나눌 수 있다. '피'는 기표17)지만 '생명'이란 의미는 기의18)라고 할 수 있 다. 이미지으로 표현되는 수단은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것을 있는 그대로 "설명" 혹은 "설 득"하지 않지만 가슴속 깊은곳에 남아있고 그것은 오랜 여운으로 자신의 인생에 영향을 미 치기도 한다. 이러한 이미지는 인터넷에서도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터넷은 복합적인 미디어이다. 그래서 글과 소리, 음악, 사진, 동영상등을 모두 차용한다. 하지만 인터넷사이트를 검색하거 나 메일확인...혹은 게임등을 한다고 가정하자. 모니터에 떠 있는 페이지가 내 마음을 움직 일때(즉 감동을 받을 수 있을 때) 자유자재로 마우스를 움직이며 웹서핑을 하거나 네트웍 게임을 하게 된다. 만약 첫페이지의 디자인이 갑갑하면 그 페이지에 아무리 좋은 정보가 있다고 하더라도 금방 지루해 질 수 밖에 없다. 즉 어떤 이미지가 나의 마음을 그곳에 붙 들어놓게 하는가에 따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오늘부터 나는 멋진"미디어"가 되기 위해 나를 포함한 주변인물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미디어가 되어보자. 미디어로의 확장은 무한대∞니까... 2) 이미지가 언어인가?

이렇게 생각할 수 있다. 우리는 글을 읽으면서 어떤 메시지를 전달받게 될까? 일단 글을 읽기전에도 준비해야 하는 것이 있다. ㄱ,ㄴ,ㄷ...ㅏ,ㅑ,ㅓ...등의 문자기호를 알고 있어야 한다. 그것이 하나둘씩 결합이 되어 단어를 만들고 단어가 조합이 되어서 문장이 된다. 그것이 이야기의 구조를 가지려면 기승전결...혹은 어떤 특정한 주제를 가지고 있거 나, 에피소드를 담고 있어야 한다. 그것이 문자의 언어이다. 이렇게 구조적으로 짜여져 있듯이 이미지도 그 언어의 전달체계 를 가지고 있다. 이미지(영상)19)는 문자와 달라서 보는것(듣는 것이 포함되기도 한다)으로 16) 사람마다 그 가치와 의미가 다른 것이 그 사람의 내면을 들여다

볼 수 있는 "미디어"이기에 특히 청소년과 함께 하는 이미지의 작업에서는 이러한 의미는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미지가 지극히 당연스러운 의사소통방법이된 현대인에게는 이미지으로 표현하고 이미지를 통해 자기 의 속내를 드러내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임에 분명하다. 특히 청소년에 있어 동이미지가 그들의 의사 소통에 미치는 영향은 방대하며 심리적으로 이미지언어를 받아들이는것에 대한 거부감이 적기 때문 이다.

17) signifier-의미를 전달하는 소리나 이미지 18) signified-기표를 근거로 전달된 관념적인것 19) 시각뿐 아니라 청각, 촉각,후각, 미각도 자극에 대해 생물학적 반응만 보이는 것이 아 니라 주체의 경험과 섞여 가치부여가 이루어지고 따라서 청각, 촉각,후각, 미각에 대한 표현도 이마 하나의 이미지가 되는 것이다. (유평근,진형준 공저(2001). 이미지. 살림출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77


전달된다. 의미를 실어나르는 도구로 문자는 구체적이며 명료하고, 체계적이며 조직적이다. 사람은 이러한 문자를 사용하여 다양한 의사소통을 오랜시간 동안 사용하여 왔다. 많은 것 이 기록되었으며, 기록은 이미지나 기억보다 명료하고 신뢰를 받아왔다. 여기서 전달자(작가)는 기록을 남긴 사람이고 피전달자(독자,수용자)이다. 여기서 피 전달 자는 전달자의 의도를 사회적 약속이나 교육에 의해 전해진 것에 의해 해석한다. 이것은 전달자의 주관적 입장을 해석해 내는 것에 인색하다. 하지만 이미지의 언어는 어떠한가. 이미지는 이렇게 구체적이지 않다. 같은 꽃의 이미지 라도 피 전달자는 그 의미를 해석하는데 매우 개방적이라 할 수 있다. 여섯 개의 꽃잎으로 구성되어 있는 꽃을 찍은 사진작가는 생명의 아름다움을 묘사하고 싶었지만 피 전달자는 시들어 버릴 지도 모르는 생명의 한계에 대한 해석이 가능한 것이다. 인간의 의사소통이 앞뒤를 정확히 재어놓은 듯 딱 맞아 떨어지는 경우는 드물다. 다양한 측면으로, 입체적으로 인간은 의사소통을 하게 된다. 전달자의 목소리와 재스츄어, 표정, 말투와 억양에 따라 표현하는 사람의 느낌이 전달된다. 그리고 피 전달자는 그 느낌 의 언어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해 낸다. 이처럼 인간의 의사소통은 이미지언어와 더욱 가 깝다.

특히

미디어시대에는 매스미디어를 포함하여 인터넷의 동영상등으로 분화되어 있다. 더욱 더 많은 미디어가 생기게 됨에 따라 우리는 보다 많은 이미지언어의 세계로 들 어오게 될 것이다. 많은 연예인들의 이상한(?) 비디오가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킨다. 영상이 아니라 입에서 입으로 전달되는 루머라거나, 혹은 신문에 난 기사였다면 이렇게 까지 사회문제로 부각되었을까? 그것은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체험의 정도가 말과 문자보 다 훨씬 강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듯 하다. 이미지의 언어를 알고 그것이 해석 가능한 것임과 동시에 느낌을 주는 것이길 바란다면... 최소한 그러한 언어 안에서 서로가 서로에게 꿈과 행복을 불러일으키길 바라고 있다면, 우 리는 이미지언어를 함부로 해선 안된다. 그리고 그 언어의 소중함을 알고 아름다운 이미지 의 의사소통을 선호하게 하여야 하는 것이다. 21세기

이미지도 체계를 가진 언어이다. 그것이 논리적인 근거를 가지게 될것인지는 조금 의문이 되시겠지만 몇 가지 예를 통해서 이미지언어의 기본적인 것을 짚어보도록 하자. '색'은 사람의 역사와 함께 우리의 머리와 가슴속에 살아있는 매우 유용하면서 가까운 미

판사)

하지만 여기서 다루는 이미지는 청소년문화코드로 더 깊이있는 논의는 그치기로 한다. 78

접근하는

방법론을 다루기 때문에


디어이다. 이 언어에서 이러한 '색'은 어떻게 사용이 되고 있을까. 사람은 자기가 속해있는 집단에 따라 어떤 색깔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 받게 된다. 그건 일종의 집단 무의식이기도 하다. 그래서 어떤 나라에선 빨간색이 길한 징조로 쓰이지 만 다른곳에선 매우 기분나쁘고 흉조의 상징이 된다. 색깔은 문화적인 상징이 되기도 한다 는 의미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색을 어떻게 사용하는가는 인간의 시각이 어떤 자극을 받 고 느끼게 될까에 기초하게 된다. 그래서 색이 가지고 있는 상징을 이해해 보면 사람의 심 리상태를 읽어낼 수도 있다. 수술실에 들어가는 의사의 가운은 무슨색이 많은가? 미사를 집전하는 신부가 입고 있는 옷은 어떤 색인가? 이런 몇 가지만 보고도 우리는 그 색이 가 지는 의미를 따져보기도 전에 이미 그 색이 가지고 있는 자체의 메시지를 전달받고 있는 셈이다. 의사들이 무지개빛 현란한 배꼽티를 입고 수술실에 들어간다면...생각만해도 혼란 스럽다. 즉 안정감과 정갈함의 상징으로 사용되는 색이 바로 흰색과 연한 빛을 내는 색의 마술이 다. 갈색은 세련됨의 상징이기도 하지만 추억을 연상시키는 색이기도 하다.. 그래서 갈색은 이 미지의 언어에 품격을 준다. 그래서 드라마에서 갈색톤으로 영상이 나갈때는 연인의 로맨 스를 묘사할때 많이 사용된다. 보라색은 신비로운 무언가를 보여준다. 대체로 파란계통의 색깔이 신비로운데 그 이유중에 하나는 우리 인간의 신체중에 파란빛을 띠는 색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태어나면서 부터 매우 낯선색인 것이다. 파란색은 차가움을 가지고 있어서 밤기운을 느끼게 해준다. 호러영화에 나오는 파란빛에 머리풀고 서 있는 여인은 이러한 차가운 느낌인 것이다. 노란색은 따뜻해지는 색이다. 실제로 똑같은 온도의 방안에 파란색의 페인팅을 한 방과 노 란색...오렌지빛 페인팅을 한방에서 사람들을 살게 했더니, 파란색방에서 자꾸 춥다고 온도 를 높이게 되었다는 실험결과는 놀라운 것이다. 붉은색쪽으로 움직이면 정렬적이고 로맨틱 해 보인다. 무채색은 아주 묘한 분위기가 있어서 이미지언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명암만으로 보는 이미지언어는 사람들을 자기안으로 침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무채색은 우 리 시각경험을 매우 진중하게하고 집중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면 사람들은 자기 내면을 들여다 보게 되는데... 그렇게 침전과 자기로의 회귀, 흔들림없는 감정등이 표현되니까 그 안에는 어떤 색이든...상상력이든...투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색은 이미지언어에서 매우 중요한 미디어이다. 나를 색으로 표현한다면 어떤 색으로 보여 줄 수 있을까...색으로 보여지는 나는 어떤 사람인가...를 생각해 볼 만 하다. 청소년은 왜 캐릭터를 가방에 달고 다닐까? 지금의 청소년을 이야기할 때 흔히 멀티미디어/영상세대라고 한다. 이미지의 시대에 효과 적인 의사소통의 주역은 역시 청소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그 역기능에 대한 염려가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79


항상

다라 오는 것일 텐데... 일종의 노파심에서 비롯된 잔소리일 수 있고, 더욱 가속화 되어진 변화의 추이를 감지하지 못하는 기성세대와 그 의사소통이 내 놓는 넋두리일 수도 있다. 청소년은 과연 대중스타 자체(figure)를 사랑하는가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대중스타는 상업적 목적을 가지는 상품이다. 즉, 이미지가 좋아서 선택하는 것이다. 뛰

지금 이러한 문자화된 내용이 읽혀지는 독자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지를 고민하는 것은 현재를 살고 있는 사람들의 주된 의사소통이 이미지이기 때문일 것이다. 의사소통의 주사위는 던져졌으며 우리는 그것을 어떤 의도를 가지고 사용할 것인가를 고 민해야 하는 시점에 서있다. 이미지의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청소년문화의 마지막 스펙트럼이 남았다. 그것은 다름아닌 디지털이다. 컴퓨터를 부팅하면 윈도우즈 화면과 함께 아이콘icon을 볼 수 있다. 아이콘 역시 이미지 이다. 설명하지 않고 바로 내가 원하는 정보와 파일로 날아 들 수 있다. 이것 역시 청소년에게 익숙한 코드이다. 스피드한 문화코드20)의 대표는 디지 털로 분화되어진 미디어이다.

5. ㄷ ㅣ ㅈ ㅣ ㅌ ㅓ ㄹ digital ㄷ ㅣ ㅈ ㅣ ㅌ ㅓ ㄹ

각종 광고에서, 거리에서도 우리는 디지털digital이란 단어를 접하게 된다. 어 면 디지털 미디어가 무엇인가 알아보고자 하는 지금 같은 수작(?)이 너무 흔해 터진 단어에서 오는 선입견 때문에 급격히 진부하게 전해질 수 있다는 려가 앞선다. 21세기 생활, 과학, 문화를 대표하는 화두 역시 디지털임에 분명하다. 쩌

현대사회 문화에서 디지털이 미친 영향은 정말 이루말할 수 없다. 지금은 시험방송중이지 만 디지털방송이 조만간 우리 가정에도 보급될것이며, 비디오플레이어 보다는 DVD(혹은 그와 유사한 디지털영상기술)가 보편화된다. 지금도 물론 디지털을 통해서 전달되는 인터 넷영상을 통해서 드라마나 영화등을 보기도 한다. 이것은 디지털이 우리 문화안으로 다가 오는 단편적인 예이다. 실제로 디지털이 차지하고 있는 분야는 우리가 예측하기에는 지독 하게 방대하여 공간의 사이즈를 더듬어 볼 수 없으며, 방치하기에는 디지털로 시작되는 다 20) 속도감이 시대를 지배하고 있다. 이에 ‘느림’에 대한 미학적 고찰이나 ‘빠름’을 돌아볼 수 있는 여유를 필요로 하고 있다. 필자의 생각에는 ‘빠름’을 가진가만이 ‘느림’의 미학 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마치 영상을 찍을 때 슬로우모션은 훨씬 빠른 속 도로 필름을 돌려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80


양한 문화현상과 일상의 변화가 우리삶을 지배하기에 소홀할 수 없음은 분명해진 것이다. 1) 디지털이란 무엇일까?

digit는 열 개의 손가락을 하는 어원을 가지고 있지만 여기서 의미하는 것은 아날로그 (analogue)과 상대어로 사용된다. 아날로그가 유사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면 디지털은 정확 하고 꼭 들어맞는다는 의미를 가진다. 아날로그는 연속적이며 디지털은 불연속적이다. 걸이 시계를 잘 들여다 보자. 예를 들어 10시 5분 30초를 지나고 있다면 지금 현재의 초바늘은 자 6을 가리키고 있다. 시후면 31초가 될 것이다. 30초와 31초 사이에도 초시계의 바늘은 존재한다. 즉, 연속적이다. 내가 지금 이 을 면서 키보드를 두드리는 사이 나의 손가락이 ‘ㄹ’에서 ‘ㅏ’로 움직이는 동작 의 가운데에는 반드시 연속적이어야 한다. 디지털은 어떠한가? 30초와 31초 사이에는 그 중간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불연속적이 다. 또한 ‘ㄹㅏ’를 입력하는 나의 손동작에는 연속적인 움직임이 있지만 실제로 내가 보는 모니터 상으로는 ‘라’라고 하는 디지털미디어로 갑하여 불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아날로그 신호를 0과 1의 조합으로 나타내는 것을 디지털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아날로 그는 연속되는 신호와 현상 그 자체 물리량으로 나타나지만 디지털은 그러한 물리량을 0 과 1로 표현한다는 것이다. 뜻

침착하게 디지털언어에 대해 몇가지 예를 통해 짚어 보자. 우리는 그동안 십진법에 익숙 해있기 때문에 디지털의 이진법의 원리와 언어를 이론적으로 알게 되는건 난해하며 굳이 들춰내고 싶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그 원리와 언어를 알고 나면 디지털 미디어가 가지고 있는 코드를 파악할 수 있고 그를 통하여 새로운 문화와 의사소통이 가지는 중요성을 느 끼게 될 것이다. 디지털정보의 기본 구성은 비트(bit)로 구성된다. 비트는 디지털정보를 구성하는 가장작은 단위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건 마치 흑과 백을 이야기 하는것과 같다. '이것' 아니면 '저것 (혹은 이것이 아닌것)'으로 구분한다. 그걸 쉽게 이해하기 위해 1과 0이라는 숫자로 만든 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아라비아 숫자를 1,2,3,4등으로 순서를 매긴다면 1,0만으로 순서를 매기면 1,10,11,100,101,110,111,1000,1001,1010....이 된다. 흑백사진을 디지털로 포착하여 아날 로그인 나의 눈으로 보여지게 만드는 방법을 예로 들어보자. 한 장의 사진을 아주 작고 섬세한 바둑판처럼 나눈 다음 농도값을 매긴다. 검정색을 농도 0, 흰색을 255라고 수치를 준다면 모든 회색은 이 값의 사이에 존재한다. 8비트는 00000000에서 시작해서 11111111로 끝나는 0과 1로 구성되는 256개가 생기게 되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81


는데. 이러한 섬세한 농담과 바둑판(grid)을 이용하여 인간의 게 재구성하게 된다.21)

눈이 포착하는 그림을 완

2) 디지털의 언어

디지털언어에서 <재구성>이란 또 하나의 언어이다. 즉 어떤 형태로든지 재구성되어진다. 디지털미디어가 가지고 있는 힘은 이 <재구성>이란 것으로부터 힘을 발휘한다. 디지털미디어에서는 발신자와 수신자사이의 주종관계가 사라진다. 지금까지 문자문화와 전 자문화를 거치는 커뮤니케이션에서 전달자와 수용자의 관계는 주는이와 받는이의 구분이 정확했다. TV는 신호로 쏘아 보내지는 발신자의 것(source)과 수 많은 수상기로 구성되는 주종의 구조이다. 원본과 카피본의 차이는 어떤 수상기와 얼마나 신호를 잘 받을 수 있는 지역인가에 따라 달리지는 것이다. 하지만 디지털인 인터넷 네크워크의 구조는 발신과 수 신의 통일이 가능한 적극적이며 능동적인 커뮤니케이션 매체이다. 원본과 카피본의 차이는 이미 디지털세상에선 그 가치를 따질 수 없게 되었다. 내가 송신한 것과 수신한 것의 내용 과 질은 존재자체가 동일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래서 무엇이 어쨌단 말인가? 이것은 디지털의 원리와 기술이다. 하지만 그것만 이라면 디지털미디어를 통한 의사소통에 서 우리가 살펴볼 것이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여기서 다루려고 하는 것은 디지털미디어에 의한 우리 삶의 변화, 문화의 진보, 청소년문 화와의 연관성등을 살펴보아야 한다. 즉, 디지털미디어로 새로이 구성되어진 신문화에 대 한 이해가 필요하다. 더구나 디지털미디어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면서(인터넷) 디지털 네트워크는 사람들에 게 시차없이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주었으며, 사람들의 일하는 방법, 노는방법, 움직이는 방법과 생각하는 관점까지도 변화시킨다.22) 지금부터 조금은 낯설게 느껴지는 디지털미디어와 그 문화현상이 우리 삶을 어떻게 변화 시키고 있으며, 그 미래는 무엇인지 넘겨짚어(?) 보자.

21) 디지털이다 being digital,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1995

22) 82

G

lobal Paradox, John Naisbitt


* 사전상의 디지털과 아날로그 digital adj. 1 손가락의; 손가락 모양의. ․the ~ technique of a pianist 피아니스트의 손가락 기술. 2 컴퓨터 계수형의, 디지털형의(↔ analog). ․a ~ flight 계수 비행. 3 손가락(모양의 부분)이 있는. -

n. 1 (건반 악기의) 건, 키. 2 디지털 시계. ▷~ize v.t. …을 계수[디지털]화하다. ~ly -

adv.

analogue, (때로 美) -log

n. 1 유사성을 가지는 것, 유사물, 상사물. ․The Koran is the Islamic ~ of the Bible. 코란은 회교의 성경이라고도 할 수 있다. 2 대등한 상대; (다른 그룹에서) 대등한 입장지위에 있는 사람. 3 〔生〕 상사 기관; 〔化〕 유사체. 4 〔電〕 상사형, 계량형, 아날로그. -adj. 1 상사[유사]의. 2 아날로그형의. -

디지털 (digital) 물질․시스 등의 상태를 이산적( 템

아날로그 (analogue) (물리학) 물질․시스

것.

的)인

離散

자․문자 등의

등의 상태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신호로 표현하는 일.

물리량( 理 物

)으로 나타내는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83


3) Digital디지털 미디어와 Analogue아날로그

- 그 모호한 경계에 대하여 인간의 역사는 미디어의 진화역사이며 그것은 곧 정보를 가진자와 그렇지 못한자의 생산 력과의 함수관계를 포함한다. 즉 미디어로 전달되어지는 정보의 양과 질에 따라 지배와 피 지배의 관계가 형성되고 그것이 인류의 역사에서는 주종관계처럼 보여지기도 하였으며, 미 디어의 선점과 커뮤니케이션과 정보의 우위에선 자는 항상 부와 명예를 누리게 되었다.23) 하지만 그러한 주종관계가 형성되는 미디어는 전달자와 수용자의 관계 즉, 나누어지는 것 이 통제되거나 한계가 생길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오류가 생기고 미디어 의 왜곡현상으로 말미암은 역기능이 생길 수 밖에 없는 ‘필연’을 가지고 있었다. 어떤 사람들은 앞으로 정보를 많이 가진 사람과 정보를 적게 가진 사람, 정보를 가진 자와 정보를 갖지 못한자, 제 2세계와 제 3세계 간의 사회적 단절에 대해 염려한다. 그러나 진 짜 문제는 세대간에 이루어지는 문화단절이다.24)

이 사진은 무엇일까? 재미있는 그 본질을 잘 들여다 보자.

Analog라고 우기기- 비오는 창

23) 미디어를 접하고 다루며 그것이 문화로 전파되는 과정은 단순히 뉴미디어가 출현할때마다 적응 력이 빠른 아이들에게 우선적으로 호기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것 역시 가공 된 정보를 갖게 될 것인가, 아니면 단편적인 데이터의 수준에서 머물게 될 것인가는 뉴미디어를 다루는 ‘사람’에 따라 달라진다. 바꾸어 말하면 여기서 말하는 정보란 그 깊이와 수준이 다른것이 며 단순한 관심과 호기심이 아닌 지식으로의 소화과정을 겪는 축적된 것임에 분명하다. 이에 미 디어를 효과적으로 다루고 의사소통을 하는 과정은, 미디어 소통(communicate)과 전달(transmit) 에 성공하기 위한 일정수준의 문화향유와 교육등을 필요로 하게 된다.

24) 디지털이다 being digital서문<종이책의 84

파라독스>, 니

라스 네그로폰테, 1995


비오는 어느날 사무실 뒤편으로 거리가 보인다. ① 디지털카메라를 꺼냈다. 사진을 찍는다. 이것은 디지털사진이다. ② 그것을 사무실 컴퓨터 위에 바탕화면으로 지정해 놓았다. 그리고 아날로그 카메라로 사진을 찍는다. 그리고 현상, 인화했다. 이건 아날로그사진이라 불리울 수 있을까? ③ 인화된 사진을 스캐닝했다. 그리고 이 지면위에 올려놓았다. 이것은 digital디지털일까? analog아날로그일까? 다시 이런 질문이 생긴다. ①은 확실히 디지털이라고 한다. ②는 아날로그인 것 같다. 그 이유를 물어보면 최종매체는 아날로그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최종적으로 우리에게 만져지는 것을 중심으로 우리는 이야기를 한다. 사진을 다시 사진 찍는다면 그것은 <사진을 찍은 사진>이라고 불리워야 하는가? 아니면 그냥 <사진> 이라고 할 수 있을까? 우리는 사진을 보면서 “슈렉이다~”라고 얘기 하지 “앗. 초록색의 이미지를 211만 픽셀로 모아놓은 슈렉캐릭터로 만들어진 사진이 다~”라고 이야기 하지 않는다. 최종매체가 무엇인가는 이미 우리에게 중 요하지 않다. 그것은 이미지이며 우리에게 시각신호로 받아들여지는 것에는 차이에 대 shrek 한 의미의 무게가 실려있지 않기 때문이다. 더구나 디지털은 아날로그를 끊임없이 닮아가고 있다. 디지털의 최고로 구현하고자 하는 세상은 아날로그와 가장 닮은 것이다.(아니 그 이상일 수 있다) 이제 우리가 살고 있는 디 지털미디어의 세계는 매체간의 이동과 그 차이가 점점 좁혀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무엇이 디지털이고 무엇이 아날로그인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매체가 접근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하여 사람들 사이에 의사소통을 보다 편하고 원활하게 할 것인가가 문제인 것 이다. 4) 디지털 문화현상 1 - 신문이 사라질까?

신문이 사라질까? 라는 화두에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도 있다. (더구나 그 사람은 저명한 사회학자이자 문명학자이다) “신문이 가지고 있는 미디어의 특성이 단순히 정보전달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고 앉을 수도 있고 을 가릴 수도 있고 급하면~~할 수 있는 것이어서 깔

햇빛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85


신문을 사라지지 않을 니당!!“ 정말 재기발 한 아이디어가 아 수 없다. 하지만 이렇게 우기기에는 신문 종이라는 등식 을 성립시키고 있다는걸 기고 있다. 신문이 가지고 있는 그 본연의 임무는 정보를 실어 나르는 도구이지 을 가리는 것이 아니라는 건 간과하면 안된다. 더구나 판과 가 리개라는 본연의 임무를 가진 종이류가 없다면 몰라도. 오늘 아침 또 새로운 미디어가 탄생하고 어제까지 쉽게 편하게 생각하던 미디어가 고 불편해지는 현대인의 삶살이 레마... "2-3년 전에는 드 없이 어 게 약속들을 했을까...?" "컴퓨터없이 어 게 논문을 썼을까...?" 미디어가 새로운 모습으로 진화하면 미디어에 대한 금증 보다는 개인의 생활에 편리 에 따라 적응하게 된다. 하지만 그 미디어 역시 사람들의 의사소통과 삶을 대변하기 때문 에 인간적이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오 시간 "인 된 문자"는 정보와 생산력...그리고 문화를 지배해 왔다. 20세기 TV와 Radio 의 등장도 인 된 문자미디어의 소 을 조장하진 못했다. 오히려 전자문명의 시대에 “인 된”이라는 단어를 제거하고 문자미디어 독립선언의 계기를 마련했다고나 할까. 문자는 반 드시 필요한 의사소통으로 자리하게 되었으며 문자와 그림...그리고 동영상은 그 독특한 매 체의 특성에 적절한 ♬~으로 다시 태어났다. 겁

=

햇빛

햇빛

짬뽕

하지만 인쇄는 어떠한가... 전자우편e-mail이 생기면서 우체국에서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는 생의 리포트에 정보가 되는건 도서관이 아니라 인터넷이다.

건 우편배달부이고, 대학

문자가 사라질까...?에 대한 의문이 아니라 <인쇄된 문자>가 사라질까에 대한 질문이 그 본질이다. 말리거나 구겨지는 모니터는 이미 개발되었고 PDA의 생산과 개발로 손안에 들 고 다니는 디지털노트에다 동영상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이동전화IMT등등... 사람들은 향수를 갖게 될 것이다. 옛날이 좋았다고...사람냄새가 났다고... 아날로그 세상이 그립다고... 올드 미디어에 대한 환상은 지금은 청소년도 마찬가지로 가지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미디 어를 자유자재로 사용하면서 이런 회상을 할 날이 멀지 않았다. "옛날 우리 어렸을때는 이동식TV 채널이 300개 밖에 없고 크기는 무려 손바닥만 했단다... 그 때가 그립구먼..." 참고.

MMI

사람과 컴퓨터가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대화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는 초기 IT산업에서부터 안고 86


온 화두다. 명령어를 직접 입력해야 했던 MS―도스에서 해당 이미지를 찾아 클릭하기만 하면 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로, 최근에는 3차원 그래픽을 이용한 GUI까지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선보이고 있다. 사람과 기기의 인터페이스 문제는 화면이 작은 휴대폰이나 PDA 등 모바일 기기에서 보다 중요한 이 슈가 되고 있다. 화면이 작고 입력 키보드도 제한돼 있기 때문에 사용자와 모바일 기기가 편하게 대 화하기 위해서는 다른 수단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로 MMI(Multi Model Interface)이다. MMI는 말 그래로, 사람 과 컴퓨터의 대화 모드를 늘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리킨다. 예전에는 입력수단이 키보드뿐이었다 면 MMI에서는 펜과 음성, 사람의 제스처 등을 이용해서도 의사를 전달할 수 있으며, 출력도 멀티미 디어와 3차원 그래픽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대화 모드를 구비한다. MMI가 보편화하면 오늘날과 같은 딱딱한 화면이 아니라 음악과 동영상이 제공되는 휴대폰 화면을 사 용자가 스스로 설정,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5) 디지털 문화현상 2 - 편리한 상상력의 확장

해리포터를 읽었다. 아이들이 이 소설을 왜 재미있어 하는지 공감이 간다.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동원한 마법의 세계와 크게 어렵지 않은 트릭이 있는 모험소설. 문자(이것 역시 media이다)로 되어있는 책은 분명히 아날로그analog이다. 디지털이야기에서 뜬금없이 왜 해리포터? 이 연관성을 끌어내는 것이 바로 디지털과 신(新)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다. 전세계 많은 아이들이 컴퓨터게임과 디지털놀이에서 벗어나 다시 아날로그인 해리포터를 찾게 됨을 사람들은 박수치며 환영했다. 그리고 그 소설의 힘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보고 “역시 구매체의 위력은 뉴미디어나 디지털미디어가 따라올 수 없이 위력이 있단 말씀이 야..." 라고 말하곤 했다. 과연그럴까 해리포터시리즈는 세계적인 인터넷서점인 아마존을 통해 팔려나간건 이미 알만한 사람들 은 다 알고 있다. 그보다 더욱 그 열풍을 불러일으킨건 해리포터시리즈가 출간되면서 수많 은 팬클럽사이트가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지금 인터넷을 뒤져보면, 대부분 그 사이트를 만들고 관리하는 사람들은 10대이다. 놀라운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87


일이라고 하기엔 청소년에게 너무 당연한 현상이다. 소설에 나오는 다양한 마법과 사건, 모험의 이야기가 인터넷의 디지털 언어로 동일시 된 다. 마치 내가 그 소설의 주인공이 된듯하다. 디지털은 단순히 소설을 넘어서서 입체화된 또 하나의 세계/공간을 만든다. 거기에는 독자 의 상상력과 부합된 그림도 있고...또 다른 이야기도 있다. 물론 이러한 그림,동영상,독자의 후기등은 독특한 방식으로 해리포터 시리즈를 다르게 완 성한다. 불과 수년전만해도 지금과 같은 상황이 연출되려면 상당히 많은 노력이 필요했다. 팬클럽 을 만들고, 자기 이야기를 담은 아티클을 만든다는 것이 번거로운 일이었음에 분명했다. 아날로그 세상에서 활동한다는 것은 직접 나의 몸을 움직여야 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반면 디지털은? 클릭한번으로 해리포터와 함께 마법의 여행을 떠날 수 있다. 이쯤되면 디지털의 세상이 얼마나 넓고 크며, 그 가능성을 측정하는 것이란 어릭석은 일이 다.

TV를 켜도 지하철의 광고를 보아도 컴광고가 없는 곳이 없다. 컴을 모르는 사람이 없고... . 이런 문자기호가 웃는 얼 임을 부인할 수 없는 세상. 인터넷을 기반으로 젊은이들 사이에서 각종 아이 이 세상을 흔들고 있는 가운데 문자 시지와 상징기호가 영국의 스 드 사전에 올 다. WERV U BIN : where have you been?․어디 었니? B4 : before․전에 BBL : be back later․곧 돌아오겠다 BCNU : be seeing you․나중에 보자 HAND : have a nice day․좋은 하루가 되길 T : thanks․고 다 -) : 웃고 있는 얼 지금

^^

X

-( : 우울하다 -o) : 놀랍다 옥스퍼드대 신문의 주디 피어설은 “문자 메시지의 급증현상을 주의깊게 관찰해 왔다” “휴대전화 이용자들이 만들어낸 언어를 더 이상 무시할 수 없게 됐다”고. 피어설은 또 “문자 메시지의 영향력이 매우 커졌기 때문에 그것을 영어의 합법적인 일부 분으로 취급할 때가 왔다”고 했다. 바야흐로 체계적 기호인 문자가 원초적인 그림과 상징 에게 그 자리를 내주는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 닷컴을 사전에서 찾아보자. 당연히 가지고 있는 사전에 올라와 있지 않다. 사전(즉 인쇄매 체)이 가지고 있는 기대치가 이제는 그만큼 떨어진다는 것이다. 업데이트가 느리고 비싼 88


값을 들여야 한다. 정보와

미디어의 역사는 말하는것과 듣는 문화에서 문자로 이전되어왔고 그것은 다시 전 기와 전파의 시대로 넘어온다. 전자문명을 기반으로 디지털미디어가 우리 생활전반에 영향 을 끼치게 될 것이며 이미 그렇게 되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는 디지털을 사용하는 방법과 그 문화적 특수성을 많이 모르고 있다. 반복해서 이야기 한다면 “정보와 미디어”의 역사안에서 “정보와 미디어”를 가진사람과 못 가진사람의 불평등에 대해 걱정하는 소리가 많이 있다는 것이다. “정보와 미디어”의 역사 는 곧, 생산력의 역사이기도 하니까. 그러나 그보다 더욱 우려되는 것은 디지털을 필두로 새로운 문화와 새로운 미디어가 나올때마다 겪게 되는 세대간의 문화적 갭(gap)이다. 디지털은 이제 인터넷사용방법의 학습이나 개인용 컴퓨터의 소유유무를 떠나 우리의 삶이 되고 있다.

6) ㄸ ㅗ ㄷ ㅣ ㅈ ㅣ ㅌ ㅓ ㄹ digital ㄷ ㅣ ㅈ ㅣ ㅌ ㅓ ㄹ 청소년, 또는 뉴미디어세대에 있어 그들의 적응력은 실로 대단하다. 네트워크세대로 구분 될 만큼 디지털 미디어를 마음껏 변형하고 마음껏 놀이를 즐긴다.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그 곳은 시장경제의 새로운 활로가 되기도 하고, 인터넷사용자의 사상과 철학을 오가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디지털을 기반으로 네트워크는 어른과 아이의 구분이 사라지고, 전문가와 비 전문가의 경계를 허문다. 이제 자격증이나 인증서등의 라이센스보다는 어떤한 정보를 어떻 게 가공하며, 소유하고 즐길것인가 하는 것이 문제여야 한다. 하지만 아직 디지털미디어와 인터넷 사용자의 문화는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중요한 것은 지금의 뉴미디어세대인 청소년에게 디지털미디어가 어떻게 구현되고 어떤 방식으로 다가가는가 하는 것이다. 이제는 새로운 지식관과 교육을 요구한다. 학교라는 제 한된 장소, 가르치고 배우는 일방적인 관계는 조만간 몰락의 길을 걸을 것이다. 디지털 혁 명은 지식의 활용과 나눔이라는 차원에서 이전과 전혀 다른 태도를 요구한다.25) 디지털은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복제의 문화이며, 커뮤니케이션의 역사에서 쌍방향의사소 통의 대중적 구현을 앞당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연속적인 아날로그세상이지만 디지털은 연속적인 세상이 아니다! 앞서 다룬 <아날로그라고 우기기>는 시각적인 신호에 불과 하지만 디지털의 언어가 진보 25) 백욱인(서울산업대 사회학과 교수)홈페이지 네트사회학 http://soback.kornet.nm.kr/~wipaik/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89


(진화라고 표현하고 싶다)하게 되면 언젠가 우리는 시그널화된 새로운 요리인 디지털청국 장을 맛보게 될지 모른다. 이미 인터넷상에서 향기가 소프트웨어를 통해 요리를 만드는 채 널을 보면서 냄새를 재구성하고 있으며 구겨지는 모니터를 주머니에 끼우고 전자책과 전 자도서관을 이용하고 있다. 굳이 머리속에 무언가 정보를 가득히 담고 있지 않아도 손안에 서 해결되는 세상. 많은 사람은 우려의 말을 할것이다. 땀과 노력의 기쁨이 사라진 살벌하고 차가운 기계세 상이라구. 하지만 세상 모든 미디어는 그 미디어를 다루는 사람과 어떻게 융화되는가에 따 라 그 쓰임새가 달라지는걸 잊지 않는다면 그런 우려와 기우섞인 시니컬한 논란은 의미없 음으로 마감할 수 있지 않을까? 아니 의미없음으로 ‘내가’ 만들어야 한다. 그것도 아주 능 동적이고 주도적으로 디지털미디어에서 ‘나’를 구현하여야 한다. ‘급변하는 세상'이란 말이 진부해지는 이유는, 변화란 일상적인 표현이 되었기 때문이다. 말과 문자를 뛰어넘어 동영상과 쌍방향 의사소통의 시대로 치닿고 있는 디지털미디어세상 에서 존재감이 없는 '나'를 발견하기 일수다. 디지털미디어에서 나의 존재란 전화선을 타고...초고속통신망을 타고...모바일을 타고... 인간의 감성이 확장되어 진다는 것을 잊어선 안된다. 너무 쉽기 때문에 함부로 할 수 있고, 너무 익숙하기 때문에 인간에겐 상처가 될 수 있다. 몇몇 연예인들의 몰래카메라 포르노가 초고속 통신망을 타고 인터넷과 모니터를 뛰쳐나와 사회적 문제를 일으킨 것을 기억한다면 디지털정보가 가지는 파급력과 속도에 윤리의식이 빠져있음을 시사해 준다. 인간으로부터 확장되어지고 의미가 되는 미디어는 디지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아니 그래서 더욱 중요하다.

맺는 말

“지금 나에게 무엇이 중요한가?”

. 4살 때 나의 첫 번째 보물1호는 할아버지께서 코파이 상자로 접어주신 딱지 였다. 그때 나의 주된 일상은 어 게 하면 동네 마녀 들과 딱지치기를 해서 많이 따낼 수 있을까 였고, 날마다 딱지치기 연마에 힘을 기울였다. 딱지의 가치는 이루 말할 수 없 었다. 가장 아 던 딱지를 었을 때 하늘이 무너져 내리는 줄 알았다. 쵸

90


번째 보물은 바이 피아노교본이었다. 아버지는 남자가 피아 노 배우면 세상이 무너진다고 굳게 믿으시는 분이 다. 나는 피아노를 너무도 배우고 싶었 고...아버지 몰래 바이 교본을 사서 피아노를 배우러 다 다. 건반 하나 하나를 두둘겨 나는 현의 소리는 아직도 생생히 기억한다. . 10살 때

나의 두

. 18살 때 나의 세 번째 보물은 영화잡지였다. 영화를 보기 위해서라면 친구들과 의 군것질을 과감히 져버릴 수 있었고, 영화잡지와 포스터를 모으느라 을지로와 명동의 목을 헤 는 것이 그렇게 좋을 때였다. 뒷

지금 나에게 무엇이 중요한가 생각해 본다.

나는 딱지치기 전문가(?)가 된것도 아니고, 피아니스트가 된 것도 아니다. 그렇다고 영화감 독이 되지 않았다. 가치는 바뀌게 마련이다. 내가 그렇게 소중히 여기던 딱지의 가치가 아 직도 나에게 유용하다면 나는 지금도 딱지를 접고 있어야 한다. 우리의 청소년에게는 지금 시기에 중요시여기는 가치로움의 대상이 있다. 우리는 그것을 하찮게 여길 수 없다. 그리 고 그것이 설혹 가치없이 보인다 할 지라도 내 어릴적 느꼈던 그 감성을 어렴풋이 떠올리 며 웃음을 줄 수 있어야 하는 것을... 어른이 된 나는 과연 그런 여유로움을 가진 사람인가 반성해 볼 때가 많다. 내가 지독히도 원하던 무엇이 있었기에 나의 청소년기는 그 누구에게 이야기 할 때도 자 랑스러우며, 청소년기가 건강했었노라고 이야기 할 자신이 있다. 현재의 나는 청소년을 만 나는 사람이다. 아이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 생각해본다. 나는 그 원하는 것을 줄 수 있는 사람인가라고 질문해 보면 "아니다"라고 하고 싶다. 아이들이 원하는 것은 그 아이들 이 가장 잘 알고 있다. 다만 선 경험자로서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고민과 꿈을 들어줄 수 있는 사람일뿐...

지금의 '나'는 무엇이 중요한가.

오늘은 아이들과 함께 이런 이야기를 나누어 보자. 아이들의 표현이 서 다해도 지금 아이 들이 가치를 두는 것이 분명 있게 마련이다. 그리고 그 가치로움이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 록 지켜 주자. ‘빨리 빨리'를 외치기 보다... 툴

- from 김탕의 미디어칼럼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91


□ 참고문헌 □ 김정탁(1998). 미디어와 인간. 서울:커뮤니케이션 북스 니콜라스 네그로폰테(1996)․백욱인역. 디지털이다. 서울:커뮤니케이션 북스 마샬 맥루한(1997)․박정규역. 미디어의 이해. 서울:커뮤니케이션 북스 마샬 맥루한․꽹땡 피오르 공저(2001)․김진홍역.미디어는 맛사지다. 서울:커뮤니케이션 스 미지센터(2001). 청소년문화를 읽는 세 개의 스펙트럼. 교육자료집 유평근, 진형준 공저(2001). 이미지. 서울:살림 프로젝트 팀 헤모(2000). 미디어워크샵 자료집 한스 리허터 외(1994)․ 권중운역. 뉴미디어 영상미학. 서울:민음사

92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93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 실천론 심 한 기 (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 시작의 글

고속도로 만들기에 국가의 총력이

아지면서부터 ‘불우한 아이들과 일반아이들’이 분리 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먹을 것 걱정보다는 좀 더 고상한 삶의 질을 생각할 때쯤 ‘ 불량한 아이들과 착한 아이들’로 또 다른 구분을 짖기 시작했다. 생산과 놀이의 구분이 없었던 전통적 사회가 변화되면서부터 ‘일과 놀이’는 철저하게 분리되기 시작했다. 복잡한 인간 사 회 속에 얽힌 많은 현상들이 차츰 이분법의 논리로 단순화 되어가고 있다. 당연한 사회현 상이라고 생각하기는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너무도 많다. 국가가 사회를 쉽게 다스리려 했거나, 너무도 중요한 사실들을 알고도 모른 척 한 것은 아닌지? ‘보호와 통제’ ‘보호와 육성’이라는 이분법적 논리로 진행되고 있는 지금의 청소년정책 또 한 정부나 어른들만의 ‘북 치고, 장구 치고..’이기에 당사자인 청소년들은 또 다른 요구를 외치거나, 포기하거나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쏟

요즈음 청소년정책분야에 사회학자와 문화전문가들의 참여가 부쩍 늘고 있다.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며, 다양성과 창조력은 문화의 시대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에게 가 장 중요한 필수조건을 재빨리 해결해야 할 이유도 있었고, 학교 안에서 곱게 커줘야 할 아 이들이 반란을 일으키고, 보호와 통제의 제한적인 틀에 갇힌 아이들은 ‘자유’를 외치며 자 본주의적 문화상품의 막강한 소비자로 자리를 잡고 있음을 파악한 정부는 돌연 ‘문화활동’ 이라는 당근으로 정책의 기수를 돌리고 있다. 근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각종 청소년문화 축제가 성황이었고, 문화예술활동을 위한 시설투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결국 답답한 공무원식 발상의 정책에서 한 발 물러나 문화전문가 등과 함께 하여 폼 나는 정책 을 보여주고 싶었던 것이다. 하지만 충분한 고민과 의사소통이 없이 이루어진 돌발정책은 ‘그 많은 청소년시설에는 아이들이 없고, 아이들은 갈 곳이 없다’고 하는 어이없는 상황을 연출하게 된다. 94


“투자는 있는데 복지가 없다 ” 사회복지란 개념은 아주 쉽게 말하면 모든 국민이 행복하 게 사는 것에 있다. 청소년복지 또한 요보호 청소년, 불량 청소년, 불우청소년뿐만 아니라 모든 청소년들의 삶의 질을 위한 사회제도적, 전문적 활동을 말하는 것인데 그 많은 투자 에 비해 지금의 청소년들은 충분한 복지를 누리고 있는가? ‘생산적 사회복지’시대에 우리 의 청소년복지는 아직도 보호와 치료라는 우물 안에서 개구리 수영을 하고 있지는 않은 가? ‘청소년보호는 청소년보호위원회와 그린죤으로, 청소년활동은 청소년단체와 수련관에서, 청소년복지는 쉼터와 상담실에서’ 라는 구분은 좀 극단적이긴 하나 지금의 답답한 현실을 반영하는 비웃음이다. 요즘 개를 키우는 사람이나, 소를 키우는 사람들 모두 ‘네트워크’를 떠들고 있으나 다양한 사회 속에서 민주적인 공공성이 보장되고, 세대간, 계층 간의 벽을 넘는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정직을 기본으로 하는 공동협력이 살아있는 네트워크 가 얼마만큼 이루어지고 있는가는 한참 동안 의심을 해 볼 일이다. 이 글에서는 현재 우리 청소년복지의 한계는 무엇이며, 청소년복지의 영역에 왜! 문화 복지의 실천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며, 청소년문화복지의 실천에 있어 지역사회 청소년 문화 복지 실천의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제안하기로 한다.

1. 한국의 청소년복지는 어디까지 왔는가? 1. 청소년복지의 변천과정

아동과 청소년의 구분은 근대에 들어서 시작한다. 과거 우리의 공동체적 삶의 과정에서 는 일과 놀이, 일터와 가정이 분리되지 않았다. 대표적인 예로 조선시대 성행했던 두레를 들 수 있다. 두레노동은 단순한 노동으로서만 존재했던 것이 아니라, 풍물굿과 노래가 함 께 이루어 졌다. 따라서 풍장과 노래를 하면서 일을 추슬렀던 일과 놀이의 수미일관된 관 계가 들어나야한다.26) 또한 두레의 조직과 운영, 회의과정에 있어서도 세대간의 민주적 합 의와 질서와 의사소통이 가능하였다. 결국 어른들의 생산과정과 공동체활동에서 배제되지 않은 것이다. 하지만 근대에 와서 구체적으로 산업 자본주의적 생산은 ‘일터’와 ‘가정’을 분리하고, 가 문 중심의 가족을 휴식과 애정의 공간으로 변화시켰고.. <중략> 아동은 부모에게 삶의 의 미와 즐거움을 안겨다 주는 존재이자 극진한 사랑과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는 존재로서의 26) 주광현, <한국의 두레1>, 집문당, 1997.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95


의미를 지니게 된 것이다. 아동들이 폭력과 강제의 희생물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 동노동이 엄격하게 금지되었고, 이 때부터 아동의 인권 개념이 자리를 잡게 된다. 아동복 지 문제가 사회적으로 진하게 다루어지게 되는 것도 이 이후부터이다.27) 자본주의가 발전하며 아동에서 청소년을 거쳐 다시 사회 속으로 편입되는 과정이 길어 지고, 학교라는 공교육제도 안에서 지내는 시간이 많아진 아동, 청소년들은 점점 더 어른 의 생활권과 구분되기 시작했고, 어른들의 보호와 규제에 대해 저항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회변화에 따라 청소년복지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유신과 독재의 역사 속에서 국가가 던져주는 법제도의 틀 안에 갇혀 있지는 않았는가? 우선 청소년복지와 관련한 각 시기별 특징을 살펴보기로 하자. 이용교28)는 [ 한국 청소년복지는 해방 후 상당기간은 아동복지의 연장선에서 다루어지다 가 미성년자보호법의 제정(1961)과 중앙청소년보호대책위원회의 설치(1964)로 아동과 다른 ‘청소년 영역’이 설정되고 , 세계청소년의 해(1985)를 계기로 하여 청소년육성법이 제정 (1987)되면서 청소년영역이 확립되었다. 따라서, 청소년복지의 시기별 특징은 주요 법이나 제도의 변화에서 찾을 수 있다. 해방 후부터 아동복리법이 제정된 1961년까지는 청소년복 지가 아동복지와 그 영역이 분화되지 않은 청소년복지의 맹아기이고, 1962년부터 청소년육 성법이 제정된 1987년까지는 청소년복지의 도입기이며, 1988년부터 현재까지는 청소년복지 의 전개기라고 할 수 있다. ] 라고 했고, 시기별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 표와 같다. 청소년복지의 맹아기 (1961년 해방 후 아동복 리법과 미성년자보호법 제정까지 )

청소년복지의 도입기 ( 1987년 청소년육성법 제정까지 )

청소년복지의 전개기 ( 현재까지...)

* 13세이하 요보호아동의 보호 * 아동시설의 인가제 * 18세미만 아동 노동의 보호 * 20세 미만 비행소년의 보호 * 18세 미만 요보호아동의 보호 * 아동복리시설의 세분화 * 장애청소년에 대한 복지사업 * 미성년자의 보호와 선도 * 근로청소년을 위한 복지사업 * 청소년보호대책의 실천 * 청소년정책의 영역설정 (체육부/청소년국 설치) * 교육보호의 제도화 * 청소년시설의 제도화 * 청소년상담사업의 확대

* 후생시설 설치기준(1950) * 미군정/아동노동법규(1942) * 미성년자노동보호법(1947) * 근로기준법(1953) * 아동복리법(1961) * 중앙청소년보호대책위원회(1964) * 청소년대책위원회(1977) * 아동복지법 (1981) * 특수교육진흥법(1977) * 야간특별학급과 산업체 부설학교 개설(1977) * 청소년육성법(1987) * 청소년기본법(1991) * 청소년보호법

27) 조한혜정, 제도 교육속의 청소년, ( 시대일기/청소년, 그 문제와 문화), 2000 28) 이용교, < 사회복지학>, 양서원, 2000년. 96


위의 내용으로 본다면 한국의 청소년복지가 구호적인 차원에서 벗어난 시점은 청소년 육성법이 제정 된 후부터이며, 다양한 청소년복지의 전개는 1991년 청소년기본법의 시행부 터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법제정의 과정을 나열한 것뿐이며 실제적인 청소년복지 서비스의 확대가 이루어진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청소년복지와 관련하여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국가의 정책시행에도 많은 제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각 시.도에 설치되어있는 청소 년과의 청소년복지 업무는 다양한 청소년사업 [ 전용공간 및 시설확충, 프로그램개발 및 지원, 민간단체지원, 유해환경감시등] 중에 불우 청소년과 비행 청소년에 관련된 사업이 주 류를 이루고 있다. 다시 말해서 국가가 정의하는 청소년복지는 과거의 구호와 치료 그리고 보호개념의 잔여적 청소년복지의 개념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다.

2. 청소년복지의 한계

사회복지정보원의 한덕연은 “ 방법론상 사회복지는 사람과 환경, 체계와 체계사이의 상 호작용이 기능적이고 적응적인 것이 되도록 돕는 일에 역점을 두어왔다. 사회복지의 눈으 로 보는 ‘문제’란, 체계와 체계사이의 상호작용이 역기능적이거나 부적응적인 상태를 의미 하는 것이며, 따라서 사회복지는 양 체계 모두와 또 그 체계들 사이의 공유영역에 개입해 야 한다. 환경, 온 세상 모든 삶의 영역이 복지환경이 되어 환경 자체를 바꿈으로써 클라 이언트와 환경과의 상호적용이 적응력, 적합성을 이루도록 해야하는 것이다.”라고 말하며, 개인을 돕는, 문제를 치료하는 좁은 개념에서 모든 삶의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넓은 의미 의 사회복지를 강조하는 만큼 지금의 청소년복지가 그 기능을 충실히 하고있는가 ? 그렇 지 못하고 있다면 지금 청소년복지가 안고있는 한계점에 대한 책임을 누구에게 돌려야 하는가? 원래 청소년복지가 갖고있는 근본적인 한계인가? 아니면 한국의 사회복지 전반에 관한 문제인가? 우선 한국에서의 청소년복지는 그 개념부터 모호하다. 잔여적 복지인가? 아니면 제도적 개념인가에 대한 이론적 구분은 있으나 우리의 현실과 사회상황에 맞는 청 소년복지의 개념은 정확하지가 않다. 그것은 청소년복지의 변천과정에 나타나는 한계와 맞 물린다. 아직까지는 Friedlander가 주장하는 제도적 아동복지의 개념에 청소년복지의 개념 을 적용하는 수준이다. “청소년복지는 가정이나 사회로부터 버려지거나 적응하지 못하는 청소년들뿐만 아니라, 모든 청소년들의 안녕에 관심을 갖는다. 청소년복지 활동은 청소년들의 기본적 욕구를 충 족케 하고, 정신적, 정서적, 신체적으로 최상의 발달을 기하기 위하여 청소년 자신들에게 직접적으로 또는 가정이나 사회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공되는 모든 사회제도적, 전문적 활 동을 말한다 ”29)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97


표갑수의 아동. 청소년복지론 중 제1장 아동.청소년복지의 개념에 관한 첫 머리에도 “ 아동. 청소년의 개념을 정의하기란 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다. 그 만 우리사회 에 맞는 청소년복지의 개념과 실천방법론이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청소년복지는 그 동안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모호한 상태로 존재해 왔고, 개념적으로 는 아동복지와의 뚜렸한 구별이 없이 사용되어 왔다. 청소년복지의 담당기관이나 제도 등 도 아동관계법이나 아동복지제도 등에 의존해서 아동복지 내에 청소년이 포함되어 서비스 와 프로그램이 제공되어 왔다.30) 그러나 사회의 변동 속도가 빨라지면서 아동기와 청소년 기의 구분이 뚜렷해지고, 산업사회의 가족구조변화에 따른 청소년 자녀의 문제가 날로 심 각해 에 따라 아동복지와 구분되는 청소년복지에 대한 관심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31) 하 지만 개념적 접근에서는 청소년복지의 영역과 대상의 확대와 전문성에 대한 논의는 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제시와 더불어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론은 아직 황무지 같은 현실 에 놓여있다. 현재 청소년복지의 현실이 안고있는 한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글

한국적 현실에 맞는 청소년복지에 관한 확실한 이론정립과 그에 따른 전문적 실천방 법론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단순보호와 원조수준에서 벗어나 청소년복지의 개념을 확대하려는 막연한 이론적 제시 는 있지만 현실과의 연계성이 없으며, 현장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전문적 실천방법론은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 ①

문제에 대한 접근은 있으나 욕구에 대한 접근이 없다. 이론적 체계의 부족함과 함께 지금까지의 청소년복지는 사회적 문제가 발생되는 시점에 ②

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동적 서비스체계 이상은 발전되지 못하고 있으며, 사회변화와 함께 쏟아지는 청소년들의 욕구를 수용하고, 예측하는 능동적 시스템은 아직 미약하다.

사회복지사업과 늦은 연계32) 청소년복지사업의 가장 큰 문제점은 사회복지사업과 연계성이 없이 이루어진다는 점이 다. 청소년기본법은 사회복지사업의 수행에 기본이 되는 사회복지사업법과 연계가 없는 상 태이다. 때문에 청소년복지의 수행을 위해서 불가피하게 필요한 사회복지법인의 등록, 사 회복지사의 채용,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국가의 책임 등이 모두 배제되고 있는 셈이다. 청 소년사업의 하나로 청소년복지가 논의되고 있지만, 현재 한국 청소년복지사업은 사회복지 ③

29) 한국청소년개발원, 청소년복지론, 한국청소년개발원,1993년. 30) 김두현,청소년법과 행정, 서울:삼영사,1997. 31) 오치선외 공저, 청소년지도학, 학지사, 1999년. 32) 이용교외, 전개서 98


사업체계에서 못하고 있다.

누락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청소년복지시설은 법적 행정적 지원을 받지

청소년복지를 수행 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Youth Worker)가 부족하다. 현재 청소년복지와 관련된 전문분야는 개별상담, 집단상담, 집단지도, 교정, 교화, 상담중 심의 학교사회사업 등에 국한되어있고, 청소년복지에 관련한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 할 수 있는 환경이 부족하기에 다양한 청소년들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 문가를 기대하는 힘든 실정이다. ④

청소년복지의 실천을 위한 전달체계가 미비하다. 서비스의 전문화, 다양화와 함께 자원의 낭비, 서비스의 중복 방지 등, 운영의 필요한 체계화된 청소년복지 서비스의 전달체계가 미비하다.33) ⑤

효율적인 관리와

청소년복지와 관련한 네트워크가 부족하다. 청소년의 욕구수용, 사회변화의 반영과 예측, 청소년정책 제안 등을 위한 합의와 의사소 통(학계, 현장, 관련전문분야 등)등이 가능한 포괄적인 네트워크는 물론 청소년복지 서비스 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전문분야의 활성화를 위한 분야별 네트워크 등의 구성이 매우 부족하다. ⑥

청소년복지의 전문영역에 대한 한계성과 도전의식의 부족 나날이 중요시되고 있는 청소년정책분야의 확대와 청소년의 사회참여, 청소년문화의 다 ⑦

오치선외 공저, 전개서, 중 정무성은 * 전문성의 원칙 : 각종 욕구나 문제에 대해 다양한 서비스를 필요로 함을 의미한다. 즉, 청소년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획일적인 프로그램이 아닌 다양하고 통성 있 는 서비스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 권리성의 원칙 : 수혜대상자에 대해 인간의 존엄성과 인격을 존중해주어야 한다는 의 미이다. 청소년복지와 관련하여서는 청소년이 인간의 존엄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서비 스가 권리로서 제공되어야 하며, 각종 서비스는 이용자인 청소년의 의사로 선택할 수

33)

있어야 한다. * 통합성의 원칙 : 문제해결을 위한 서비스들이 서로 연관되어야 하며, 청소년복지 업무 수행시 관계기관 및 관계자들간의 조정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지역사회의 자 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접근 용이성의 원칙 : 사회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쉽게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이는 청소년들이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지리적 혹은 공간 적으로 접근이 쉬울 뿐만 아니라 정서적 장애도 없애야 함을 의미한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99


양성 등을 복지 마인드로 어안을 수 있는 힘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현장(복지관, 공부 방, 쉼터, 상담실, 학교사회사업 현장등)과 학계에서는 아직도 그 전문영역의 은 한계에 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 있었던 것, 하고 있는 것’에만 매몰되어 있고, 새로운 분야에 끌

대한

자와 도전이 부족하다.

34)

2. 왜 ! 청소년문화복지인가? 청소년복지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이 사회에 필요한 복지서비스의 새로운 전문영역 중에 청소년문화복지는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 청소년문화복지에 대한 제언은 기존의 청소년복 지 체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들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그 반대로 지금까지 사회복지의 전문분야로 성장해 온 철학과 기술들에 적용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논지이다. 청소년에 대한 보호와 치료의 시각에서 좀 더 넓어지기 위해서는 복지 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확대 되기도 해야 하며, 새롭게 인식되기도 해야 하고, 그것에 따른 전문적 실천 방법론도 제시 되어야할 것이다. 청소년복지가 모든 청소년들에 삶의 질을 담보로 한다면 청소년문화복지 는 벌써 오래 전에 시작됐어야 한다고 확신한다. 지금까지 청소년복지의 틀 안에서 발전해 온 상담분야, 소득보완분야, 시설보호분야, 무직청소년보호분야, 부적응청소년분야, 장애청 소년분야 등과 함께 복지분야의 새로운 영역 확대라는 것과 함께 모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문화적 시각 즉 대상과 분야에 구분 없이 다양하게 존재하는 문화적 접근35)이라는 점에서도 청소년문화복지에 대한 접근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것이다. 김경태(1999:429-430)는 인간의 생존은 동물의 생존과 다르기 때문에 끼니를 걱정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문화’ 운운하는 것이 배부른 소리만은 아니라고 말한다. ‘굶어죽지 않 34) 이상 밝힌 청소년복지의 한계성은 기존의 청소년복지 개론서 등 관련 문헌내용을 참고한 것과 10여년 간 청소년복지 현장에서 고민하였던 개인적인 견해를 종합한 내용이다. 이 글에 서 청소년복지 한계성을 넘기 위한 전반적인 의견을 제시함은 개인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그것은 사회복지학계와 현장에서 끊임없이 논의되어야 할 사항이고, 본 글에서는 청소년복지 의 영역 중에 현재의 사회변화와 요구에 필요한 청소년복지의 새로운 영역이라 할 수 있는 청소년문화복지에 대한 제언이라 할 수 있다. 35) 문화는 사회내의 관습, 가치, 규범, 제도, 전통 등을 포괄하는 총체적인 생활양식을 의 미하며, 문화는 특정한 집단에 공통적인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 취향 같은 것을 가리키 는 말이다. [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1998년 ] 라고 한 것처럼 청소년복지의 대 상이 되는 다양한 집단의 문화를 이해하고, 또한 대상에 따르는 전문적인 서비스의 실 천에 특정한 집단이 가질 수 있는 문화에 대한 접근방법이 주요하다는 것은 너무도 당 연한 일이 아닌가? 100


을 만큼’의 영양분과 ‘얼어죽지 않을 만큼’의 잠자리가 보장되는 것이 인간의 생존은 아니 다. 사회복지의 발전과 함께 ‘무엇을 먹고사는가’가 보다는 ‘어떻게 먹고사는가’가 중요해지 면서 문화와 복지가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인간에게는 단지 삶을 지속할 권리만 있는 게 아니라 궁극적으로 삶을 향유할 권리가 있다. 문화권은 문화적인 삶을 향유할 권리, 즉 인간답게 살 권리로서 그 어떤 권리들보다도 일상 속에서 절실하게 느끼는 다양한 욕구들과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문화권은 다른 사회적 권리들과 배치되는 것이 아니며, 그것들이 존중된 다음에야 제기할 수 있는 나중의 권리도 아니다. 문화권이야말로 다른 권리들과 함께 추구해야 할 기본권이자 다른 권리들을 주장하는 데 든든한 지지대가 되어주고 방향점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권리이다. (조은 외, 2000:191) 또한 정무성은 '청소년 문화결핍 문제와 사회복지관의 역할'에서 [청소 년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욕구가 충족되면 만족이나 안전을 유지하면서 더욱 고차원적인 욕구로 발전하지만, 문화결핍으로 인해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거나 지연되면 심리적으로 욕 구 불만상태나 긴장상태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들의 욕구 불만족이나 갈등이 누적 되면 좌절감에 빠지거나 정서불안, 정서질환, 사회적 일탈행위, 학업부진 등의 부적응을 낳 기 때문에 다양한 프로그램의 제공을 통해 문화결핍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라고 말한다. 이처럼 청소년복지에 있어 문화적 접근의 필요성은 단순한 가설의 수준이 아님을 강조 하고 싶다.

1. 청소년문화 그 관점에 대한 시각전환 우리가 흔히 말하는 청소년문화, 청소년문화활동이 과연 바르게 인식되고 있는가? 마치 신문의 문화면에 등장하는 문학, 예술, 종교, 패션, 방송, 영화 등과 같이 문화는 정치나 사 회나 경제와 상관없는 정신적이고, 오락적인 것이라 여기고 있지는 않은가? 또한 청소년 문화를 기성세대의 문화에 반하는 반(反)문화로 인식하거나, 단순히 학교생활에서 오는 스 트레스를 풀기 위한 여가나 오락의 개념으로 생각하고 있지는 않은가? 요즘 문화산업, 문화자본론이란 말이 자주 등장하고, 거기에다 ‘21세기의 승자는 창조적 문 화감수성을 지닌 사람’이라는 극단적인 표현도 서슴지 않고 있다. 문화가 우리가 쉽게 생 각할 수 있는 예술활동이나 여가활동의 수준이라면, 문화는 21세기 최대의 자본이 되고, 21세기 최대의 산업이 될 수 없었을 것이다. 문화에 대한 다양한 정의는 결국 그토록 엄청나게 광범위한 인간의 산물들의 관계를 어 떻게 이해하는가 하는 문제와 연관된다. 또 시대에 따라 집단의 따라 관점에 따라 문화에 대한 정의가 다른 것은 결국 인간이 만들어 낸 역사적 산물들을 두고 인간들이 벌이는 권 력다툼과 밀접한 관련되어 있다. 인간들 사이의 권력다툼이란 결국 모든 인간적 산물들의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01


소유와 배분을 둘러싼 다툼이고 결국 문화를 둘러싼 다툼이기 때문이다. 문화가 인간들 사 이의 투쟁의 영역, 권력과 소유와 권위와 지적 헤게모니의 갈등의 장이라고 하는 까닭이 바로 거기에 있는 것이다.36) 결국 청소년문화를 단순한 여가나 놀이, 또는 창조적인 예술활동으로만 생각할 수 없는 것이며 문화가 담고있는 사회적 유기성, 계급성 그리고 권리의 추구, 행복권의 추구등 청 소년들에 삶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으며 이는 곧 청소년복지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청소년들의 문화적 주체성은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과 같은 맥락이다. 청소년들이 문화적 주체가 된다는 것은 일방적인 것을 요구하는 기성집단, 또는 전통적 사고방식만을 고집하는 가족 등의 정체성에서 벗어나 자신의 일상을 회복한다는 것을 의 미한다. 단일한 정체성이 압도한 기성의 엄숙주의 문화를 변화시키고 대중매체 문화가 압 도하는 일상을 바꾸어 나간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기존 패러다임, 기존의 방식으로 풀릴 수 있는 일이 아니다.37) 정말로 중요한 것은 청소년문화 그 문화적 관점에 대한 우리의 시각이 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래집단과의 상호작용, 개인 또는 집단과의 의사소통, 노 동과 직업, 사회가 요구하는 창조력과 상상력과 통찰력 등이 문화적 접근에 의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문화적 접근 자체가 청소년복지의 중요한 매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38)

2. 청소년복지 서비스에 대한 시각전환 소외 받는 청소년이란 누구를 말하는가? 경제적 소외, 또래집단에서의 소외, 사회적 시 스템에서의 소외 등등 우리사회에서 소외 받는 청소년들의 모양새는 다양할 것이다. 기존 의 청소년복지 서비스에 해당되는 ‘소외 받는’ 청소년들은 주로 일탈과 부적응, 경제적 소 외 청소년들에게 초점이 맞춰졌다. 정신적 소외 또한 ‘문제 있음’을 기본으로 한 제한된 시 각에서 접근되었다. ‘문제 있음’에 대한 규정도 사회표면에 들어 나는 문제로 시작한다. 학 교나 가정이나 사회 속에서 표면적으로 들어 나는 ‘문제 있는 청소년’은 전체 청소년에 비 해 아직 소수에 불과 하다. 물론 사회적 상황에 따라 문제 청소년이 늘어나는 추세이기는 하나 아직 까지 청소년복지 서비스 망에 들어가는 청소년은 소수이다. 물론 서비스의 대상 이 많고 적음을 논의하자는 것은 아니다. 청소년복지 서비스에 대한 시각에 대해 따져보자 36)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1997년. 37) 조한혜정, 시대 읽기/청년문화1< 문화가 없다, 문화적 주체가 없다>,2000 38) 예를 들어 요즘 청소년들을 영상세대라 하고 그들의 주된 언어를 영상언어라 한다. 곧 미디어는 청소년들의 언어이다. 착한 청소년이건, 불량 청소년이건 그들의 언어를 이해하지 못 하고는 그들과 소통할 수 없으며, 의사소통이 없이는 서비스를 줄 수도 없다. 의사소통 없이 주는 서비스는 일방적인 원조이상은 아니다. 102


는 것이다. 우리 주변의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아이들’ 아주 뛰어나지도 뒤떨어지 지도 않는 청소년들, 그들이 대부분이다. 바로 그들, 바로 그들에 표현되지 않는, 준비된 복 지 망에 들어오지 않는, 보이지 않는 평범한 문제를 담고 있는 다수의 아이들이 이제는 ‘소외 받는 청소년’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제는 문제가 있는 것에 더하여, 필요한 것에 또는 요구되어지는 것에 무게중심을 이동할 필요가 있다. 태초에 개인이 있었다. 개인은 하느님과 함께 있었고, 개인이 하느님이었다. 최후에 개 인이 남았다. 멋쟁이 이론가들이 (노마드/nomad) 라고 부르는 그 떠돌이들은 휴대폰과 함 께 있을 것이고, 노트북을 들고 지구의 이 도시 저 마을을 누빌 것이다. 그 개인은 21세기 인류의 이름이다 ]39) [

한 가설일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맞이해야 할 미래일 수도 있고, 현재일 수도 있다. 디지털시대가 가져다주는 개인주의적 혁명을 거부할 수도 없을 것이다. 남과 다른 문화적 감수성과 창의력을 요구하고, 남과 상관없는 개인이 중심이 되는 문화를 그냥 앉아 서 받아들일 것인가? ‘남과 다르지만 남과 함께 할 수 있는 청소년문화’를 만들어 가는 것이 청소년복지 서비스의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며, 그 서비스의 수요 는 점점 더 증가 할 것이며, 그 혜택을 받을 수 없는 청소년들이 바로 ‘소외 받는’ 청소년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제는 청소년복지에 대한 전반적인 시각전환이 필요한 때이며, 청 소년문화복지의 실천을 위해 필요한 몇 가지의 요건들을 제시한다. 섬뜻

* NEGATIVE에서 POSITIVE로 ... 문제와 일탈, 보호와 치료 등 부정적 시각에서 주체와 자율을 중심 하는 긍적적인 시각 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청소년문제들이 사회전체 질서에 대한 위협행위로 간주되며 청소 년정책이 부정적인 방향으로 나가고, 청소년문화는 한편으로는 규제의 대상이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들을 해소, 여과시키는 장치로 사용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사회전반에 대한 인식전화도 필요하고, 청소년문화복지를 실천하려는 우리의 긍정적인 인 식의 전환이 더욱 요구되어져야 한다. * 정책의 대상자에서 정책의 제안자...

청소년기본법, 청소년보호법 등과 함께 점점 확대되어 가는 청소년정책에 일방적인 대상 자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사회복지와 연계된 서비스를 요구하고, 다양한 분야와 대상 에서 필요한 제도와 지원체계를 제안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청소년문화복지의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실천적인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39) 한국일보

편집부, 개인주의의 혁명이 일어나고 있다, 한국일보 홈, 1999.11.24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03


* 대상과 프로그램의 전문화와 다양화 / 네트워크 구성 앞서 힌 '소외 받는‘ 청소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다양한 문화를 생산하고 있는 다양 한 청소년들에 대한 접근과 그에 따른 프로그램의 전문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재활, 치료, 교화, 상담 이외에 미디어, 정보, 인권, 자치, 통일, 민주시민교육 등의 새로운 분야에 대한 연구와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복지 전문가는 물론 문화전 문가, 인권 및 통일 전문가, 현장지도자 등 다양한 분야와의 의사소통과 실천을 위한 수평 밝

적 네트워크가 구성되어야 한다.

* 지역사회 통합 시스템을 통한 청소년문화복지의 실천 청소년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학교와 가정이 있다는 지역적 개념만으로도 지역사회의 기능을 통한 청소년문화복지의 실천은 너무도 당연한 일이다. 청소년복지의 접 근이 청소년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것처럼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많은 자원들과의 연결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발적 참여를 근거로 하는 지역사회 안에서 만들어 가는 청소 년들의 문화적 실천은 디지털 시대에 요구되는 전지구적 네트워크를 위한 건강한 리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적 접근방법으로도 지역사회는 매우 중요한 매개이다. 뿌

104


3.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한 청소년문화복지의 실천 1. 청소년복지 실천에 있어 지역사회의 개념 지역사회에 대한 개념은 역사적, 사회적 시각 등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지역중 심이라든가, 지역화, 지역사회화 같은 용어의 개념 또한 불분명하게 사용되어왔다. 요즘 들 어 청소년복지나 청소년활동 분야의 학문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지역사회에 대한 필요 성과 중요성의 강조되고 있으나 명확한 개념적 이해는 부족한 편이다. 우리는 청소년문화 복지 실천을 위한 하나의 해결점이 될 수 있는 지역사회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에 대 한 충분한 고민과 합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지역’이라는 용어는 지리학적 개 념에서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보통 지역사회에 대한 개념을 규정하기 위해서는 지리학 적, 경제학적, 사회학적 개념에 근거를 두고 있다. 지리학에 있어서의 지역개념은 ‘ 하나의 또는 그 이상의 특질에 대해서 동질성 내지 균일 성이 존재하는 경계내의 구역’으로 정의되어 왔다. 그러나 이 같은 고전적인 파악방법만으 로는 최근의 지리적 제 현상을 해명하기 어려워 새로운 지역 공간개념의 설정으로 동질지 역, 분극공간, 계획공간으로 구분하여 파악하고 있다. 이는 지리학에 있어서의 지역이 구역, 공간 등 가치판단을 허용하지 않는 일정 영역의 넓이를 의미하는 물리적인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40) 경제학의 입장에서 본 ‘지역’에 대한 접근방법은 입지(Location)라는 관점으로 경제적인 제기능의 영향에 대한 양과 질의 분석을 통해서 지역경제문제를 해명해야 한다. 즉 경제권이라 불리는 경제학의 입장에서 본 지역파악방법은 경제기능이 작용하고 영향 하는 범위를 양적으로 또는 거리적인 측면에서 구분한 것이고, 산업관련 지역 및 생활권이 라 부르는 지역파악은 경제권에서 각각 산업구조 및 생활구조라는 질적인 기준으로 삼아 구분된 지역개념이다.41) 한편 사회학에 있어서의 개념은 청소년복지 실천의 기본 이념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사회학에서의 지역사회는 Community라는 공동체의 개념이 강 하다. 이는 일정한 지역을 중심으로 공통의 생활기반을 갖고 있는 제1차적 공동사회 즉, 공통적 이해관계 위에 형성되어진 공동생활권(area of community life)으로 규정된다. 지역사회는 대체로 지역(area), 공통된 유대(communication ties),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oin)의 3가지 구성요소를 갖고 있는데 어떤 지역적 영역 안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며 한가지 이상의 공동의 유대를 가지는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며 이는 지역의 개념이 아닌 지역사회로서의 접근을 요구하는 청소년복지의 실천과 관계가 깊을 수 있다. 특히 현대사 40) 김세열, 지역개발과 지역사회개발, 창학사, 1986. 41) 한국청소년연구원, 청소년단체의 지역중심활동 방안 연구, 1992.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05


회에서 그 실천력을 잃어가고 있는 ‘공동체’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더욱 중요할 수 있다. 물론 현실적인 실현 가능성에 대한 비판의 여지도 있을 수 있지만 ‘공동체’적 개념은 사회 복지의 중요한 과제이기도 하다. 시민사회운동가들이 말하는 한국사회를 제대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사람들의 의식과 생활문화를 변화시켜 나가야 한다는 풀뿌리 공동체 운동 또 한 같은 맥락일 수 있다. 사람마다 갖고 있는 타고난 재능과 사회적 조건의 차이를 넘어 서로 존중하고 도와줄 수 있는 그런 사회를 만들어 가는 것이 인류가 오래 전부터 꿈꾸어 왔던 이상가치라는 시민 사회운동의 출발점42) 또한 지역사회 운동을 기초로 한다는 점에서도 지역사회는 사회복지 가 전문적 서비스와 함께 하나의 운동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특히 청소년들에게 있어 지역사회의 의미는 매우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지역사회는 청소년 들의 구체적 생활의 1차적 거점이다. 가정과 학교가 같은 경계구역 내에 있는 현실적 상황 은 단순한 지리적 접근성을 뛰어넘는다. 학교와 가정과 기본 문화생활의 근거가 되는 지역 사회는 청소년들의 가정생활과 교육과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1차 영역이기도 하며, 문제 의 발생과 해결을 위한 영역이기도 하다. 특히 지역사회에서의 교육력은 대단한 힘을 발휘 한다. “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적, 문화적, 인간적 자원은 청소년을 위한 교육적 자원이다” 43) 또한 자본주의의 발달과 정보화 시대의 발전에 따른 개인간의 문화격차, 세 대간 의사소통의 부제, 개인 이기주의 등의 역기능을 청소년들의 일상과 연결하여 지속적 으로 해결 할 수 있는 시작점을 지역사회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청소년문화복지 실천을 있어 지역사회의 개념은 “ 청소년들의 생활, 가정, 교육과 연 관된 일상의 장인 동시에 현대사회의 역기능과 개인의 문제를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지 속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본영역이며, 공동체적 운동을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장이다. ”

2.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의 중요성 “ 지역사회는 경계를 나누고 선을 긋고, 경쟁을 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와 발전의 시작을 나 자신으로부터 출발하는 시작점이다. 다시 말해서 지역사회는 경계를 나누는 곳이 아닌 진정한 청소년복지의 실천을 위한 출발점인 것이다. ” 청소년복지에 있어 지역사회는

왜 중요한 것인가? 에 대한 해

42) 열린사회시민연합, 새로운 공동체적 사회발전의 모색, 1999. 43) 이규환, 지역사회와 학교, 남일당, 1982. 106

굳이

밝힐

필요가


을 정도로 사회복지 방법론 안에서 지역사회사업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검증은 충분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렇다면 청소년문화복지의 실천을 위해 지역사회는 얼마만큼의 기능과 역 할을 갖고 있는가? 청소년문화복지와 지역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은 청소년문화의 공 동체성 확보이다. 세대간의 갈등, 개인화, 그밖에 청소년들의 문화적 격차에서 나타나는 문 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시작점이 바로 지역사회이다. Lerner가 밝힌 지역사회중심 청소년 활동의 원리에서도 지역사회가 청소년복지의 시작이며 뿌리가 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 지역사회중심의 청소년활동에서 중요한 것은 청소년문제는 단일한 사건이나 단일 원인 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적 맥락과 연계되어 있으므로 단일한 대책이나 접근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은 청소년발달에서의 맥락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청소년이 살고 있는 발달체계를 구성하여 이 체계가 청 소년문제를 생성하는데 관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체계는 청소년문제의 원인이며, 동 시에 이러한 문제에 대한 포괄적인 해결책과 관련되어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문 제행동 또는 발달문제의 해결책은 개인, 가족, 지역사회 및 사회 문화적 맥락의 수준에서 찾아진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역사회중심 청소년활동 및 수행에 중요한 원리는 ① 청소년문제는 문제들간에 상호 연관성이 있어서 지역사회내의 패키지서비스가 필요하고 ② 개인을 변화시키기보다는 체계를 변화시키는 것에 목적을 두어야 하고, ③ 예방적 개입 이 치료적 개입보다 더 경제적이며, ④ 일회성 개입은 지속적인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이므로 개입은 종단적으로 설계되어야 하고, 프로그램의 연속성이 전체 발달에 걸쳐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또한 청소년분야에서는 지역사회를 청소년들의 생활이 장인 동시에 청소년운동의 사회 적 단위로서 공동체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일정지역으로 파악하고 있다.44) 즉 지역사회는 청소년들이 태어나서 성장하는데 필요한 각종 자원 및 제도가 존재하고 있는 곳일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이 미래의 건전한 시민으로 육성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청소년운동의 기 본단위로 지역적 유대감이나 소속감을 그 바탕으로 하고 있는 곳이다.45) 그렇다고 지역 사회가 청소년문화복지 실천의 상위개념이 되거나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해결점이 되 는 것은 아니다. 문화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것이 꼭 지역사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 니며, 문화를 공유하는 특정집단 중에는 지역적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 것들이 많기 때문이 다. 하지만 지역사회 내에서 청소년문화복지의 중요함을 강조하는 이유에는 청소년복지서 비스 전달체계 중 접근 용이성에 대한 부분이다. 청소년들의 주된 생활환경( 학교생활, 가 정생활, 지역사회 안에서의 문화활동 등)이 지역사회 안에 있으며, 이는 특정한 문화적 경 험46)을 주는 차원에서 넘어설 수 있는 즉 청소년들의 총체적인 삶과 연결할 수 있는 가능 44) 진덕규, 지역단위 청소년운동의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맹부설 청소년연구소,1987. 45) 이영숙외, 청소년단체의 지역중심 활동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1992. 46) 지역개념과 상관없이 개인의 욕구에 따르는 문화적 경험들 즉 온라인 상에서의 여가활동, 동아리 활동, 자치활동 일 수도 있고, 인접성과 상관없는 문화적 참여활동 등이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07


성이 바로 지역사회 안에 있다는 것이다. 또한 청소년분야에서는 지역사회를 청소년들의 생활이 장인 동시에 청소년운동의 사회적 단위로서 공동체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일정지 역으로 파악하고 있다.47)즉 지역사회는 청소년들이 태어나서 성장하는데 필요한 각종 자원 및 제도가 존재하고 있는 곳일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이 미래의 건전한 시민으로 육성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청소년운동의 기본단위로 지역적 유대감이나 소속감을 그 바탕으로 하고 있는 곳이다.48) 결국 문화복지적 접근이란 것은 단순한 여가활동의 차원이 아닌 지역사회와 함께 할 수 있는 생활전반에 관한 총체적인 접근이 될 수 있다. 공동경작이 필요했던 과거의 두레 공 동체를 재현한다는 것은 불가능 하지만 “ 어른과 아이들의... 문화를 매개로 한 공동경작 ” 은 매우 실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지금의 사회가 가장 필요로 하고, 문제로 지적하고 있는 의사소통의 부제와 공동체성의 상실을 지역사회 안에서 그것도 아주 흥미로운 문화 적 작업과 경험 등을 통해서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지역사회가 갖은 기본적인 토대 이외에도 지금의 현실에서 지역사회를 통한 청소년복지 실천의 가능성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들을 요약해 볼 수 있다.

* 쓰러져 가는 공동체적 삶을 되살릴 수 있다. 우리의 청소년문화가 흔들리는 이유는 자본과 함께 밀어 치는 소비문화와 개인주의화 등의 빠른 속도감을 주체할 수 없음이 큰 이유일 수도 있으나 우리의 청소년문화가 아직 도 가능성이 있는 이유는 디지털시대에서도 요구되어지는 건강한 공동체성에 대한 희망일 것이다. 지역사회 안에서 청소년들의 사회참여와 세대간의 소통을 통한 생활공동체 문화의 활성화는 사이버공간을 인간중심의 사회로 지 할 수 있게 하는 다란 힘이 될 수 있을 닥

것이다.

* 진정한 청소년 참여의 장이 될 수 있다. 접근 용이성이란 청소년들의 기본적인 생활권에서 누릴

수 있는

효과를

의미하는 것이

다. 사회참여에 대한 선별과 기회의 폭이 접을 수 있는 청소년들에게 생활권에 가까운 지역사 회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참여의 기회를 충분하게 줄 수 있다.

* 소비적인 에너지를 집약시킬 수 있다. 각 지역사회에는 청소년복지, 활동, 교육 등과 관련된 많은 조직, 시설, 단체 등이 각각의 47) 진덕규, 전개서 48) 이영숙외 전개서 108


목적과

전문화를 가지고 나름대로의 활동을 하고 있다는 다양함과, 그 힘들을 집약할 수 있는 가능성 즉 중복되거나 소비적인 힘을 모을 수 있는 힘을 지닌 곳이 바로 지역사회이 다.

* 문제해결을 위한 시작점이며, 종결점이다. 학교에서의 일탈, 문화적 소외와 빈곤, 소비문화, 세간의 갈등 등을 포함한 그 밖의 사회 에서 규정하는 많은 문제들이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고, 개인만을 통한 보완과 치유가 불가능함을 극복할 수 있는 곳이 지역사회이다. 또한 지속적인 서비스를 통해 문제해결의 종결을 확인할 수 있기에 지역사회의 기능은 더욱더 중요한 것이다. 청소년들의 권리 즉 문화적인 삶을 영위할 권리, 그 어떤 것보다도 그들의 일상 속에서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문화적 권리는 이제 복지와 연관되어야 하며, 청소년 들의 문제해결과 요구 등을 접근성과 지속성 그리고 참여성의 용이한 지역사회 안에서 다양한 체계적 접근으로 그들의 사회적 성장과정과 함께 할 수 있다는 것은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 실천의 근거가 되는 것이다.

3.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의 필요성 앞서 밝힌 청소년복지에 대한 시각, 청소년복지 서비스의 시각, 문화적 접근의 가능성, 청소년복지에 있어 지역사회의 기능과 역할 등은 그나마 이론적 연구와 제시가 있었던 것 이지만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의 실천 가능성 즉 사회복지적 마인드에 근거한 방법론의 제기는 직접적인 현장활동을 중심으로 한 경험과 그에 따른 순수한 가설제시라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이론적 토대와 사회복지의 전문 서비스로서의 일반적 공론화에 대한 한계가 클 뿐이지 청소년문화복지의 현장성에 대한 검증과 확신이 미약하다는 것은 아니 다. 벌써부터 청소년활동 현장에서는 청소년지도학과를 중심으로 한 청소년지도학계, 문화 연대와 문화계의 문화기획자와 전문가들은 청소년문화에 대한 연구와 접근방법 등을 제시 하고 있고, 현장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실천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작년부터 문 화연대를 주축으로 한 문화계에서는 청소년복지와 관련된 청소년기본법과 청소년보호법에 대한 법적 해석 그에 따른 새로운 요구와 저항 등을 시작했고, 보호와 감시적 기능에 대항 하는 온라인 서명운동 등과 함께 각종 포럼과 세미너를 열었으며, 청소년지도학계에서는 이미 오래 전에 인권과 통일에 관련된 연구작업과 실천방법 등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문제로 지적하고 싶은 것은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의 실천에 있어 사회복지적 접근방법 의 부제이다. 지금까지 지역사회 내에서의 청소년복지 서비스에 주류는 보호와 치료에 중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09


심을 두었다. 물론 보호를 필요로 하는 청소년( 비행, 일탈, 저소득, 학교부적응 등)들에 대 한 전문적 서비스도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 중요한 사안이지만 청소년들의 요구에 따른 새 로운 접근방법을 필요로 한다는 말이다. 문제중심의 청소년을 위한 지역사회 내에서의 통 합적 접근방법이 요구되어지는 것처럼 청소년복지 실천에 있어서도 청소년들의 요구를 수 용할 수 있는 대안적 서비스체계가 필요한 것이다. 그것에 기초는 청소년들의 요구에서 시 작된다. 이제 청소년들의 문화적 욕구는 단순히 남는 시간을 활용하는 여가의 개념이 아니 며, 차별화 되고, 창의적인 인력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현대사회에 대두되는 청소년들의 문화적 권리 실천을 위해서도 청소년들의 문화는 매우 중요한 복지실천의 매개인 것이다. 이제 청소년들의 요구와 사회적 요구, 그리고 잔여적 개념이 아닌 제도적 개념으로서의 청 소년복지 실천의 확대를 위한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 실천의 필요성을 사회적, 정책적, 지역적 배경을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① 청소년의 사회화와 성장기반으로서의 지역사회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지역사회는 사회문제의 장인 동시에 복지서비스 제공의 장으로서의 속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가 해체되고 있는 오늘날에도 지역사회는 주 민들의 복지향상을 위한 매우 중요한 장이다. 특히 지방자체시대의 정착과 함께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주민들의 참여가 활발해지고 있다. 한국사회가 산업화 이전에는 가족 및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하는 비공식적인 복지기능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지난 30여년의 산업화 과정에서의 지역사회의 복지 기 능은 약화되었다. 물질적으로는 성장했지만 인간관계는 점차 해체되고 있다. 물질적인 성 장도 일부 계층의 집중됨에 따라 일부 지역주민들은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느끼고 있는 실 정이다. 이러한 상황이 청소년들의 문제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49) 결국 생산과 분배의 불 균형은 청소년들의 문화격차에 따른 문제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을 바꾸 어 말하면 각 종 분배의 불균형과 격차에 따른 문제를 지역사회 안에서 해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설명해주기도 한다. 청소년 개인을 중심으로 한 문제해결에서 지역사회의 체계로 서의 문제해결은 청소년들의 사회화 과정으로서의 종합적인 개입을 요구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단기적이고, 일시적인 치료의 개입이 아닌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예방의 차원으 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것이다.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사람들이 전 생애동안 실제적인 활동을 영위해나가는 장인 지역사 회는 청소년이 성장 발달하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환경을 조성하여 주고 관습과 태도 ,

49) 110

정무성, 문화결 문제와 사회복지관의 역할,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학술세미너 자료집, 2001. 핍

,

,


가치의식을 길러줌으로써 청소년이 사회적 존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을 가지 고 있다 라는 막연한 근거 외에도 지역사회와 청소년들의 성장과정에 매우 밀접하다 현 대의 지역사회 기능이 공동체적 삶의 근거로서 그 토대가 약해진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의 교육적 상황에서 지역사회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식들의 교육을 위해 삶의 터를 바 수 있는 특이한 상황 등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보통 유아교육에서 초등교육, 중등교육 등 청소년기의 중요한 교육의 장은 지역사회이며, 그와 더불어 그들의 일상의 삶 의 담아내는 기본적인 환경 또한 지역사회이다. 교육을 위한 도시이동 현상은 날로 증가하 고, 반대로 농촌의 청소년들의 교육적, 문화적 환경51)의 열악함에 따른 문제 또한 증가하 고 있다. 이 모든 것이 지역사회 안에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들이다. 입시교육 중시현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역시 가정과 학교와 일상을 연결하는 지역사회에서의 사회화 과정에서 풀어갈 수 있다. 결국 지역사회는 청소년들의 성장기반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것이다. 50)

.

②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거로서의 지역사회 청소년복지와 관련한 서비스의 체계는 매우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단순하고 일시적인 보호와 치료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일상과 연결되는 접근성과 지속 성을 유지해야 하며, 다양한 자원의 연계와 활용을 요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삶의 고민 을 갖고 있는 청소년을 돕기 위한 상담 프로그램이 상담자체로만 종결하는 것이 아니라, 상담을 통한 문제의 발견과 이해와 함께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지역자원 시스템에서의 연 결, 연결 프로그램의 지속적 운영과 관리 등 다양한 자원간의 연결이 이루어질수록 질 높 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청소년 문화 프로그램과 관련한 서비스는 더욱 다양한 연계 망을 요구한다. 문화적 접근이라는 것은 청소년들의 문화적 체험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 고, 문화적 체험을 통한 또는 문화적 체험을 활용한 다양한 요구의 수용과 문제해결을 위 한 연계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 이는 청소년들의 문화적 환경이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과 50) 한준상(1998)은 『사회교육과 사회문제 : 청소년・여성・노인문제』에서 지역사회의 11가지 기 능을 정리하였다. 문화전수기능, 사회개혁기능, 새로운 지식의 개발과 추구기능, 교정 및 선도교육 의 기능, 성인의례와 성인 준비교육 기능, 여가선용 기능, 부모대행 교육기능, 성역할 교육기능, 노 동력 훈련의 기능, 정치적 개안기능, 사회문제 해결기능 등이 그것이다. 또한 지역사회의 교육적 기 능이 약화되면 될수록 사회공동체에는 범죄문제, 사회계층적 갈등문제 등이 만연되기 마련이라고 지 적하였다.

51) 이제 청소년들의 교육권과 문화권은 분리되어서는 안된다. 지금의 공교육제도가 비판 을 받는 이유에는 차별화 되고, 창의적인 교육과정의 부제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이 를 해결하기 위한 문화감수성 교육에 대한 요구가 날로 늘어나고 있다. 청소년들의 교육 권, 문화권, 복지권이 우선순위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통합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야 한다 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11


연결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청소년들의 생활과 관련한 학교와 가정과 종교 등 그들의 욕구와 관련한 모든 환경과의 연계망을 필요로 한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 의 요구에 따른 환경과의 연계 그리고 그 요구를 수용하기 위한 서비스 체계의 연계가 지 역사회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지역사회는 자기 지역의 자원과 특징을 활용하 여 청소년 사회화에 일익을 담당해야 하는 중요한 책무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특정한 기 관에서 청소년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는 매우 제한적이며, 지역사회중심의 청소년 활동은 청소년들의 참여율 저조, 프로그램을 위한 지도자와 공간의 부족, 지역사회 내 관 련기관들의 협조체제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역사회에 산재하고 있는 자원들을 지역 청소년들의 특성과 요구에 맞게 구성하고 조직해나가는 작업이 시급한 문제이기도 하다.

③ 청소년정책의 새로운 요구로서의 지역사회 청소년정책의 새로운 대안을 찾기 위한 노력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동향이기도 한다. 청소년관의 변화를 중심으로 UN의 청소년정책의 방향이나 서울시 시정개발원구원에 서 2001년 서울시 청소년 중장기 정책연구에서 제시한 청소년 정책체계의 기본방향 등을 살펴보면 몇 가지의 주요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그것은 청소년들의 자율성과 참여 증 진, 그리고 네트위킹 중심의 열린 운영체제를 지향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대안의 핵심에 서 지역사회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할 수 있다.

* 청소년 자율성과 참여 증진52)을 위한 지역사회의 필요성 21세기 UN이 제시하는 청소년정책은 주요 방향은 청소년의 권리를 복지권 에서 자유권 내지 시민권으로 확대하는 단계에 와 있으며 사회의 모든 수준에서의 청소년 참여(youth particiation)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새롭게 개정한 우리의 청소년 헌장에서도 청소년을 미 래 및 삶의 주체로서 인정하고 청소년의 인권보장과 주체적인 참여(participation)를 강조하 고 있다. 이제 청소년 참여는 청소년정책 실현의 중요한 대안이며, 청소년복지 실천을 위 해반드시 고민해야 할 필수요건이기도 하다. 청소년참여의 개념은 사회적으로 청소년을 어떻게 보는가와 깊은 관련이 있는데, 청소년 을 보는 시각은 ‘자원으로 보는 시각(youth as resources)과 희생자로 보는 시각(youth as victims)으로 구분된다(Checkoway,1999). 청소년을 자원으로 보는 관점은 청소년들이 자질 있는 시민으로서, 지역사회에 참여할 권리가 있고 지역사회를 위하여 봉사할 책임이 있다 52) 2001년 서울시 중장기 청소년정책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민주시민사회의 건전한 시민 으로 성장할 있도록 청소년을 오늘의 사회 구성원으로 간주하여 권리를 부여하고, 사회 전 반에 걸쳐 청소년이 자율적,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정’해야 한다고 했다. 112


고 본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자신의 장점을 개발하도록 하기 위해서 구체적인 편익을 제공 하고 보다 건전한 지역사회 개발에 기여하도록 하여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한다.53) 지역사회 안에서의 청소년 참여의 가치는 무엇인가? 원래 자신의 가치와 존재에 대한 인 식과 집단이나 사회에 대한 일체감을 주는 참여의 개인적 가치는 결국은 사회적 가치로 연결되는 것이다. Winter(1997)는 청소년참여는 청소년의 사회적 영향력과 권한을 강화하 는 수단이며, 청소년들에게 자질 있고 독립적이며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발달하도록 기회 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UN에서는 [청소년들의 문화적 참여 는 예술적 동호인 그룹으로 그리고 문화센터활동으로 표현되는데, 새로운 형태의 예술과 문화적 가치를 생산하는데 청소년참여에 대해 사회적 인식을 증진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 으로 지적하고 있으며, 청소년들이 문화를 생활의 일부분으로 인식하도록 촉진하는 것]이 라 말하고 있다. 결국 청소년들의 지역사회에의 적극적인 참여는 결과적으로 청소년들의 건전한 발달을 지원하는 것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이 위험성 있는 대안을 찾는 것을 예방하 는 의미를 갖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청소년시설이나 단체, 지역사회복지관, 문화의 집, 시민단체, 종교단체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프로그램과 봉사활동, 청소년 자치활동, 문화활 동 등은 그 중요성54)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지역사회에서의 청소년 참여기능 자체가 지역 사회 청소년 문화복지 실천의 근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네트워킹 중심의 열린 운영체제 지향55)을 위한 지역사회의 필요성 기존의 청소년정책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관련 부서간의 협력체제와 통합 시스템의 부제이다. 교육 인적자원부를 중심으로 한 공교육 시스템의 획일성과 각 자치단체, 문화부, 보건복지부 등간의 연계부족 등에 대한 문제제기는 오래 전부터 시도되어 왔다. 이렇듯 행 정부서간의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기본으로 현장에서는 지역사회 안에서의 다양한 자원의 53) 한국청소년개발원,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운동 연구, 1999. 54) 지역사회의 시설이나 단체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프로그램은 학교교육의 한계, 형식교육의 문제 점, 학교중심단체활동, 전문지도자 부족, 전문성 결여, 기존 활동 프로그램 답습 등의 문제점을 극 복하고,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하고 건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지역사회중심의 청 소년단체 활동이 되어야 할 것이며, 학교에서 다루기 힘든 자발적 소집단 활동을 통하여 통합적 생 애학습화 과정을 실천시키는 지역사회의 장을 활용해야할 것이다.

55) 2001년 서울시 청소년 중장기

정책제안에서 네트위

중심의 열린 운영체제 지향에서는

청소년문제가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청소년 관련 사업내용이 다양해지면서, 청소년 정책에 관 여하는 행정부서가 종적(중앙, 서울시, 자치구), 횡적(문화관광국, 보건복지국, 산업경제국, 교육 청, 여성정책관 등)으로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행정부서간 유기적 연계가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한편 청소년사업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되 기 위해서는 행정, 지역사회, 학교, 민간단체가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고 협력할 수 있는 상호간 열린 네트워크 운동체제로 가는 것이 필요하다.] 라고 말하고 있다. [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13


연계를 요구하고 있다.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 공공자원과 민간단체 등과의 네트워크는 물론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지역사회에서 해결해야 할 필수조건이다. 청소년들의 요구나 그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은 하나의 시점으로만 규정될 수 없다. 만약 부서간 단체간 고유한 서비스 체계만을 고집한다면 가장 먼저 피해를 받는 것은 청소년 당사자들이다. 모두가 청소년을 위해 예산을 확보하고, 프로그램을 시행하지만 그들간의 네트워크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많은 청소년사업들이 중복될 것이며, 체계나 환경을 변화시 키는 것이 아닌 단순한 1차적 서비스로 전락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지역사회에는 청소년 개개인의 성장을 위한 다양한 자원과 체계가 존재하며 그 자원들간의 효율적인 네트위트 또한 지역사회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4.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의 실천을 위한 기본적 접근 1) 지역사회 자원과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 하나의 방법론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문제의 인식과 공유, 중요성 또 는 필요성의 인식과 공유, 실천방안에 대한 구체적 제안이 있어야 할 것이다. 청소년복지 의 변화와 요구, 청소년문화의 중요성, 그리고 지역사회의 기능과 역할을 바탕으로 지역사 회 청소년문화복지 실천 방안을 제시함에 앞서 몇 가지의 중요한 문제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물론 그들의 언어와 문화, 청소년에 대한 사회의 요 구, 그리고 청소년문화복지 실천과 연관된 지역사회 개념, 자원활용과 네트워크, 실천가능 한 문화프로그램,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 실천에서 공유될 수 있는 공통의 목적 등을 이 해해야 할 것이며 가장 기본적으로는 지역사회 자원과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 다.

① 지역사회 자원활용을 위한 개념정리 위 지역사회 안에서 청소년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은 매우 다양하다. 목적과 목표에 따라 수많은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지역사회의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 고 연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제가 있어야 한다.

* 각 자원들의 기능과 역할은 고정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114


지역사회복지관이 장애청소년이나, 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보호나 치료의 목적을 두어 1차 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지역사회의 환경, 지역사회복지관의 사업방향, 담당 전문가의 시각에 따라 전문적 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또는 지역사회에서 중 요한 상담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복지관뿐만 아니라 청소년수련관이나 시민단체 또한 마찬가지일 수 있다. 결국 지역사회에 존재한 자원들의 기능과 역할은 유동 적일 수밖에 없음을 이해해야 하며, 누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 자원활용의 방법도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 지역사회의 특성에 따른 자원의 이해가 필요하다. 자원의 유동적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해를 기본으로 지역사회 특성에 맞는 자원들에 대 한 이해가 필요하다. 지역사회자원에 대한 조사활동은 물론 각각의 자원들에 대한 조직과 운영, 방향성 등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자원의 이해를 위한 조사활동( 방문 등)자체가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이 되어주기도 한다.

② 지역사회 네트워크 실천을 위한 이해 네트워크에 대한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네트워크에 개념 또한 다양하다. 지 역사회와 관련이 없는 청소년들의 문화 네트워크( 매니아를 중심으로 한 온라인 네트워크 등)뿐만 아니라 각각의 의도와 관심사에 따라 네트워크의 개념은 다양하다. 장기적인 네트 워크가 있는가 하면, 일시적인 네트워크도 존재하며, 공공성을 기초로 한 네트워크에서부 터 상업적 네트워크까지 그 형태 또한 다양할 수 있다. 그러한 네트워크의 다양성 속에서 지역사회 안에서의 네트워크는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

* 자원의 다양성과 마찬가지로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다양함을 인정해야 한다. 네트워크는 자원과 자원의 연결이며, 연대이다. 결국 자원의 다양함과 마찬가지로 네트워 크의 구성 또한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개인가 개인의 의사소통은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면서 시작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원간의 다름을 인정하고, 네트워크간의 다양함을 인정할 수 있어야 진정한 연대를 준비할 수 있는 것이다. * 각 자원들의 이해와 협력을 위한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지역사회 안에서의 네트워크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직이나 자원들간의 이해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기본적인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이 있어야 하며, 그를 이루기 위한 시간 의 자가 있어야 한다. 지역사회 안에서의 내실 있는 연대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투

한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15


당장의

사업의 성과를 위해 서두르기만 한다면 장기적인 네트워크에는 실패할 수밖에 다. 장기적인 노력과 투자는 기본이라 할 수 있다.

* 지역사회 자원의 네트워크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사업이나 운동의 목적과 목표가 뚜렷하게 마련되어야 한다. 지역사회 안에서 막연한 연대는 존재하지 않는다. 각각의 목적과 목표에 따라 그 활용과 연계에 대한 실천이 이루어진다. 비현실적이고, 추상적이고, 이상적인 대안으로는 실질적인 네트워크가 이루어질 수 없다. 네트워크의 실질적인 시작은 보통 구체적인 목적을 가진 사 업이나 운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 네트워크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수용력과 전문력을 함께 갖고 있어야 한다. 청소년문화복지를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네트워크간에는 수평적이긴 하나 나름대 로의 중심을 이 어 갈 수 있는 네트워크의 핵심을 필요로 한다. 형태에 따라서는 완 한 역할분배가 가능하기도 하지만 매우 힘든 일이기도 하며, 사업에 따라서는 공동참여의 실 행위원회나 추진위원회가 조직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 조직 안에서도 사업에 따른 전문력 이 요구되어 지기도 한다. 각각의 특성을 갖고 있는 자원들에게는 사업방향에 따라 네트워 크의 중심으로 요구되어지기도 하는데 그를 적절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원들의 요구와 특성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능력과 사업 수행을 위한 전문력을 필요로 한다. 끌

2)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 실천을 위한 기본요건 ① 지역사회 내 청소년문화복지 서비스 체계의 구축 지역사회 안에서 청소년문화복지 서비스 체계의 구축은 좀 광범위한 제시일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기존의 보호개념에서 벗어나 지역사회의 기능과 연관되는 새로운 문화복지 서비스의 개발과 함께 총체적인 청소년문화복지 서비스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자원과 자원의 연결, 지역사회 내 서비스 전달체계 시스 , 중심센터에서의 프로그램 프 차이징 등 [

]

② 지역사회 청소년복지 네트워크 만들기 가능한 지역자원의 활용과 연결을 위한 매개자의 역할은 사회복지 실천의 필수 요건이 다. 청소년문화복지를 위한 연대는 지방자치단체, 학교, 시민단체, 청소년단체, 종교단체, 학 부모단체, 문화전문가 등의 총체적인 인적 네트워크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서로의 필요성 은 알고 있지만 실천이 안 되는 이유는 접근방법의 한계와 지역 마인드를 기본으로 한 전 적 제시의 요건이 안 되는 이유에서 온다. 사회복지의 지역사회조직 실천을 위한 시각으 략

116


로 현실 가능한 복지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즉 사회복지 관련기관이나 사회복 지 전문가가 중심센터의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사회 복지기관과 전문가를 위한 재교육이 시스템이 필요하다. [ 예 / 청소년복지연대 만들기,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하는 청소년복지 정책위원회 구성등]

③ 청소년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전반의 문화환경을 변화시키는 것 청소년과 지역사회가 함께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이 바로 복지의 실천이다.

지역 네트워크의 구성을 기본으로 자원을 활용하고, 연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것이 바로 사회복지의 전문성이라 할 수 있다.

예/ 동네문화만들기, 지역사회 청소년축제 만들기, 청소년 문화기획단 운영, 절기살리기운동, 살아있는 도서관만들기, 지방자체단체의 청소년 정책에 참여하기, 지역사회 환경 살리기 운동, 청소년위원회, 자발적 유해환경 감시단, 어린이 교통경찰등 [

]

④ 학교 안에서 청소년문화복지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 상담과 치료를 중심으로 하는 학교사회사업을 확대하여, 학교 안에서의 문화활성화 또한 청소년복지의 역할이라 할 수 있다. 예술적 체험을 중요시하는 것과 다르게 교육과 생활을 변화시키는 복지 서비스가 가능하며, 학교 내 프로그램 개발과 자원연결을 할 수 있는 문 화복지 코디네이터가 필요할 것이다. [ 예 / 문화를 중심으로 한 특별활동 지원, 학교 축제살리기, 민주시민교육, 인권 및 통일 교육, 학부모 참여 프로그램, 지역사회 자원봉사활동, 학교환경 살리기 운동 등 ]

⑤ 공간을 활용한 청소년문화복지 시스템 지역사회 내에서 활용가능 한 시설을 개발하고, 보완하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지관, 주민자치센터, 청소년문화의 집, 독서실, 공부방, 공원, 청소년회관, 구 민회관, 기타 학교 내 시설 등에 체계적인 네트워크의 망 안에서 중복되지 않고, 해당지역 과 대상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의 시행과 시설간의 연계와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시 스템이 필요하다.

⑥ 문화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인적자원의 확보 및 인프라 구축 청소년들의 욕구에 맞는 문화 서비스를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인 적 자원이 필요하다. 여기서의 인적자원은 단순히 강사를 연결시키는 기능에서 벗어나야 한다. 지역사회 청소년 문화복지를 함께 고민하고, 함께 변화하며, 실천 할 수 있는 전문 인적자원의 의사소통과 연계통로가 있어야 한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17


5. 지역사회 청소년 문화복지 실천방안 제시

이제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통한 청소년문화복지 실천방안에 대한 제시를 하고자 한다. 먼저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과 연계를 위한 체계를 정리해 보고, 그에 따른 지역사회 청소 년 문화복지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모형을 근거로 청소년문화복지 실천을 위한 구체적 방 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지역사회 청소년 문화복지 실천을 중심으로 한 자원 체계도 자원① [ 전문 프로그램을 통한 직접서비스 및 Network ] • 차 서비스 제공․ 차 서비 스 연계 •․통합서비스 제공 지역사회복지관 ․ 청소년쉼터 ․ 청소년공부방 ․ 청소년상담실 ․ 장애인 시설 및 단체 1

2

• 전문문화 프로그램 개발․시행 • 프로그램 프랜차이징 • 시설 제공 및 활용 ․ ․ ․

청소년전문단체 청소년수련관 수련원 청소년 문화의 집 ,

• 자원간 연계망 구성 • 지역문화 환경 체험 ,

자원봉사센터

• 민주시민교육 • 지역공동체문화 경험 ․

자원② [ 공공성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 지원 및 Network ]

시민 운동 단체 (

• 예산 및 행정 지원 • 시설 및 인력 지원 ․ 지방자치단체 ․ 지방 교육청 • 시설․인력 지원 • 예산․행정․홍보 지원 • 전문 분야 지원 ․ 동 읍․면 사무소 ․ 지역 문화원 ․ 대학교 ․ 구민회관 ․ 지역 신문사 ․ 지역 도서관 ․ 문화복지센터 ․ 기타 공공시설 공원 경찰서 소방서 등 (

(

• 예산 지원 • 지역 단체 연계 ․ 기업 상가번영회 방 등 (

,

, PC

)

• 전문 인적 자원 지원 ․ 관련 전공학과 대학생 ․ 관련 학과 교수․학자 ․ 문화 전문가 ․ 지역 전문가

)

,

자원③ [ 전문인력 지원 및 기타 예산지원․지역참여 Network ]

)

• 수요자 지원 • 홍보․행정․시설 지원

)

학교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회 등 (

,

)

• 기타 분야별 서비스 제공 자원 연계 ․ ․

종교단체 관변단체 등

지역사회의 자원 체계는 다양한 118

각도에서 구분될 수 있으나 그림에서 제시한 자원의 구분


은 청소년문화복지 실천을 중심으로 한 자원체계임을 밝혀둔다. 또한 지역이나 단체 등의 특성에 따라 자원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이 매우 유동적일 수 있지만 지역사회 안에서의 자 원을 이해하고, 네트워크하기 위한 기본 개념도라 할 수 있다.

① 전문 프로그램을 통한 직접 서비스 및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 자원 제1자원의 구분은 5개의 분야로 나누어진 자원들이 고유의 목적과 기능에서의 확대를 전 제로 한다. 기존의 청소년복지와 연관된 셑팅(복지관, 쉼터, 상담실, 공부방 등)에서는 문화 적 욕구를 포함한 2차적 서비스로의 확대와 일반 청소년들과의 통합 서비스 체계망에 필 요성을 설명하는 하는 것이며, 청소년단체나 수련관, 문화의 집 등 청소년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자원에서는 지역사회와 연관된 전문적인 청소년문화복지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함은 물론 지역단체를 위한 프로그램 프랜차이징을 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자원 들의 연계를 통하여 전문적 시설의 제공도 매우 중요한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청소년자원봉사센터의 기능이다. 자원봉사활동은 지역사회 청소년 활동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학교에서의 자원봉사제도와 연결하여, 지역사회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시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원봉사센터 자체가 자원개발과 연결 의 기능을 담당해야 하며, 다른 자원들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효과적인 인프라를 구성할 수 있다. 청소년복지나 활동에 있어 지금까지 활발한 관계가 없었던 시민단체 또한 매우 중요한 자 원이다. 80년대 후반부터 많은 시민운동단체들은 지역사회 운동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으 며, 현재까지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지역사회조직사업, 민주시민운동사업, 소외계층지 원 사업, 아동. 청소년 사업 등 청소년활동이나 청소년복지와 관련된 사업을 실시하고 있 다. 시민단체의 특성 또한 매우 다양하나 기본적으로는 풀뿌리 지역공동체운동과 민주시민 교육을 중심으로 하기에 청소년문화복지와의 연계성은 충분하게 찾을 수 있다. 때로 같은 지역사회 안에서 목적을 같이하는 하나의 사업을 놓고 경쟁하듯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 다. 지역사회 안에서 프로그램의 중복과 획일화를 피하기 위해서도 자원간의 연계는 반드 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기타 분야별로 종교단체나 관변단체들도 지역사회의 중요한 자 원들이며, 이념이나 철학, 방향성이 다르다고 해서 협력할 수 있는 근거가 없는 것이 아니 다. 구체적인 목적과 전문성 그리고 장기적인 안목의 자원간 네트워크는 지역사회 청소년 문화복지 실천의 구심점이 될 수 있다.

② 공공성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 지원 및 네트워크 위의 그림에서 자원2로 제시된 자치단체, 학교 등은 지역사회의 공공영역으로서의 기능을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19


할 수 있도록 요구해야 한다. 자치단체는 지역사회를 위해 존재하지만 청소년활동에 관련 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지원체계가 갖추어졌다고는 볼 수 없다. 자치단체가 전문성을 근 거하지 않은 체 많은 사업을 직접 시행하기도 하며, 외형적인 분야에만 예산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동사무소나, 구민회관, 지역문화원 등도 다양한 가능과 역할을 제시한다면 그 어떤 자원보다도 안정적인 지원체계를 만들어 갈 수 있다. 결국 상호 협력관계가 이루어져 하며, 공공시설이 지역사회 청소년들에게 충분히 활용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프로그램이 나 운영제시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학교는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 실천이 중 심이 될 수있다. 학교를 외면하거나 학교와 네트워크 하지 않는다면, 지역사회 청소년문화 복지 실천은 반쪽의 운동이 될 수밖에 없다. 학교와 학교 밖의 자원들이 건강한 교육이라 는 목적을 공유하며, 동반자의 역할을 나누어야 한다. 학교축제 지원하기, CA활동이나 특 기적성 프로그램 지원, 학교운영위원회 참여, 동아리 활동 지원, 학교사회사업 등 학교와 연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홍보방안 역시 학교는 커다란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③ 전문적 인적자원 지원 및 기타 예산지원 체계와의 네트워크 관련단체나 공공기관 이외에도 지역사회내의 인적자원에 대한 개발과 연계는 실질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다. 관련학과 전공대학생, 문화관련 전문가, 지역 내 토박이, 관련학과 학 자등의 전문인적자원의 개발과 함께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도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역시 확실한 공공성, 구체적 목적 등이 준비되어져야 한다. 예 산지원에 있어서도 지역 내 기업이나 상업공간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지역사 회 참여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지역 내 P.C방에서 여러 단체들의 네트워크 사업으로 청소년게임대회를 열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단순한 시설이나 예산지원의 차원이 아닌 상 업적 공간을 공공영역의 참여로 끌어들일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120


2) 지역사회 문화복지 실천을 위한 네트워크 모형도 ① 기본모형도

자원 ① 전문 프로그램을 통한

직접서비스 및 Network

------------------------------

차서비스 제공․2차서비스 연계 전문 문화 프로그램 개발․시행 / 자원간 연계망 구성 / 지역문화, 환경 체험 / 민주시민교육 / 지역공동체문화 경험 등 1 /

-------------------------------

지역사회복지관 청소년쉼터 청소년공부방 상담실 청소년전문단체 청소년수련관․수련원 문화의 집 자원봉사센터 시민 운동 단체 종교단체 관변단체 등 ,

,

,

,

,

,

(

)

,

,

분야별․요구별․사안별 청소년 문화복지 Network

자원 ② 공공성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 지원 및 Network

-----------------------------/

예산 및 행정 지원 / 시설 및 인력 지원 예산․행정․홍보 지원 / 전문 분야 지원 / 수요자 지언 / 홍보․행정 지원 등

------------------------------

지방자치단체 지방 교육청 동 읍․면 사무소 지역 문화원 구민회관 지역 신문사 지역 도서관 문화복지센터 학교 등 ,

(

)

,

,

,

,

,

,

,

자원 ③

전문인력지원 및 예산지원, 지역참여 Network

----------------------------

예산 지원 / 지역 단체 연계 전문 인적 자원 지원

-------------------------

기업 상가번영회 방 등 관련 전공학과 대학생 교수 학자 문화전문가 지역전문가 등 (

, PC ,

),

,

,

,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21


② 부분 모형도 (예시) • 학교 CA 지원 청소년단체 청소년수련관 등 프로그램 지원 전문인력 지원 시설 지원

학교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사업비 지원 인력 연결

프로그램 지원 인력 지원

• 자원봉사활동

지역복지관 청소년수련관 등 프로그램 지원 공간지원 인력지원

지방자치단체 동사무소 등 예산지원 활동 공간 지원

지역신문사 지역문화원 등 홍보․지역환경 프로그램 지역 전문가 인력지원 (

122

문화전문가

)

자원봉사 Center 시민 운동 단체 시민사회 교육 지역공동체교육 (

)


• 지역청소년문화축제

구청․교육청 ․공공기관 등

학교 동아리 교사 청소년 자원봉사자 등 참가 학교 간 연계 ,

지역 내 대학교 관련학과 인력 지원 공간 지원

지역신문사 지역문화원 등 홍보 등 지원

시설․장비․예산 ․교통관련 지원

,

지역단체 Network

) 지역 청소년축제 행정 및 운영

(추진위원회 등

지역청소년 Network

(

(청소년기획단 등)

지역 청소년축제 기획 자발적 참여

상가번영회 기업 등 예산 지원

시민 운동 단체 종교단체 등 )

시설 지원 인력 지원

문화전문가 문화기획자 등 기획단 교육 지원 프로그램 지원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23


그림 2의 네트워크 모형도는 정형화된 정답이 될 수 없다. 앞의 4장에서 밝힌 지역사회 네크위크 구성을 위한 이해를 중심으로 자원간의 다양한 연계 시스템을 만들어가야 할 것 이다. 모든 자원들이 통합적으로 연계됨을 기대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과 방향과 따라 각각 의 네트워크가 상호이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만들어져가야 한다는 것이다. 기본 모형도 이 외에 제시한 부분 모형도 또한 유동적일 수 있지만 분야별, 사안별, 네트워크 구성을 이해 할 수 있는 예시로서 제시하고 있다. 특히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지역사회 청소년문화축 제는 한시적인 이벤트로서가 아니라 세대간의 의사소통과 자원간의 연계, 자발적인 청소년 들의 참여를 담아낼 수 있는 바람직한 실천 모델이 될 수 있다. 지역사회 안에서 이루어지 는 일상의 과정을 담을 수 있다는 것도 청소년축제가 갖는 매력이다. 축제를 만들어 가는 과정을 통해서 자원간의 네트워크가 구성되고, 청소년간의 네트워크가 구성되고 또 세대간 의 교류가 이루어진다. 또한 전시적이고 상업적이 축제와는 다르게 문화소외 청소년, 잘하 지는 못하지만 무엇인가를 하고싶어하는 청소년들의 참여를 발굴하고 지원하여 실질적인 청소년문화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124


3)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 실천 개념도 ∙ 청소년들의 자율적 참여 ∙ 자원간의 효율적인 Network

다양한 자원의 활동과 연계

∙ 전문 프로그램을 통한 직접 서비스 ∙ 공공성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 지원 ∙ 기타 예산 지원, 지역 참여

∙ 지역문화축제 (학교축제, 분야별축제, 지역통합축제 등) ∙ 동아리활동 (문화수용능력, 요구의 충족, 창의성, 집단경험 등 ∙ 자원봉사활동 (지역문화․환경 체험, 공공기관 활동, 축제참여, 세대간 이해 등) ∙ 기획단 및 자치활동 (자율참여의식, 사회인식, 민주시민의식, 리더쉽 등) ∙ CA활동 및 특기적성교육 (학교교육의 다양화, 학교발전모색 등) ∙ 학교사회사업 ∙ 온라인 웹진 ∙ 직업체험 등 기타

∙ ∙ ∙ ∙

창의적인 문화수용․생산능력 형성 세대간 의사소통 민주시민으로 성장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25


위의 개념도를 중심으로 지금까지 제시된 실천론에 대한 결론을 맺고자 한다. 청소년관의 변화와 청소년정책의 중심방향으로 제시된 청소년들의 자율적 참여, 자원간의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기본으로 지역사회내의 자원의 활용과 연계, 그리고 전문화되고 다양 한 청소년문화복지 프로그램을 통하여 청소년들에게 창의적인 문화수용능력과 세대간의 의사소통, 민주시민으로의 성장과 궁극적으로는 지역사회 공동체를 만들어 갈 수 있는 가 능성이 지역사회 청소년 문화복지 실천의 공유할 수 있는 목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자 원에 대한 이해와 연계에 대한 노력은 물론 지역사회에 맞는 자원체계를 개발하고, 청소년 과 지역사회가 요구하고, 필요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가는 꾸준한 노력들이 있 어야 할 것이다.

나오며.... 청소년과 사회의 요구는 물론 그들의 삶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문화를 매개로 청소 년복지의 영역을 넓히기 위해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 청소년문화복지 네트워크 의 실천을 위한 길은 결코 평탄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잘할 수 있는 것보다는 이사회가 필요로 하는 영역을 만들어 간다는 것은 청소년복지와 청소년지도에 있어 사명과도 같은 일일 것이다. 함께 하는 사회, 더불어 가는 사회 등에 대한 막연한 동경으로서가 아니고 지금 여기에서 작은 것에서부터 시작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앞에서 제시된 청 소년복지의 변천과정과 청소년문화복지의 필요성,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 청소 년문화복지 실천 제안은 청소년복지와 청소년활동에 관련한 하나의 방법론 제시를 담고있 지만 모든 활동에 지역사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활용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의 고민이 되 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제시된 내용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현장에서 시도된 많은 사업이나 프로그램을 청소 년문화복지 실천이란 과제 안에서 재정리를 한다는 것에도 그 의미를 둘 수 있다. 프로그 램은 있지만 공유와 연계가 부족했던 현실을 인식하고, 청소년들과 함께 만들어 갈 수 있 는 건강한 세상에 대한 가능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126


□ 참고문헌 □ 1. 주광현, 한국의 두레, 집문당, 1997. 2. 조한혜정, 제도 교육속에 청소년 (시대읽기/청소년 그문제와 문화), 2000. 3. 이용교, 사회복지학, 양서원, 2000. 4. 한국청소년개발원, 청소년복지론, 1993. 5. 김두현, 청소년법과 행정, 서울.삼영사, 1997. 6. 오치선외 공저, 청소년지도학, 학직사, 1999. 7.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1997. 8. 김세열, 지역개발과 지역사회개발, 장학사, 1986. 9. 한국청소년연구원, 청소년단체의 지역중심활동 방안연구, 1992. 10. 열린사회시민연합, 새로운 동동체적 사회발전의 모색, 1999. 11. 이규환, 지역사회와 학교, 남일당, 1982. 12. 진덕규, 지역사회 청소년운동의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청소년연구소, 1987. 13. 이영숙외, 청소년단체의 지역중심 활동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1992. 14, 정무성, 문화결핍 문제와 사회복지관의 역할, 태화기독교복지관 학술세미너 자료 집,2001. 15. 한국청소년개발원,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운동 연구, 1999. 16. 심한기외, 지역사회 통합 시스템을 통한 청소년문화복지 네트워크 모델제시, 품 청소년 문화공동체, 2001. 17. 시정연, 서울시중장기 청소년정책연구, 시정연, 2000.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27


지역사회중심의 사회사업방법론 -

청소년분야를 중심으로

-

사회사업가 표 경 흠56)

청소년문화복지에 대한 정의가 내려지지 않았고, 청소년복지분야에 대한 무지함을 이 유로 지난 5년간 사회복지정보원에서 일하며 한덕연 선생님과 함께 논의하며 체계를 잡은 내용들을 중심으로 지역복지를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더불어 이 원고는 사회복지 정보원의 “복지경영”을 참조하였음을 밝혀 둔다.

들어가며... 사회복지와 청소년, 문화, 청소년복지 등에 대한 정의는 이미 이 자료집의 이용교 교수 님과 김민 교수님 등에 의해서 자세하게 언급하고 있기에 본고에서는 생략하고 강의중심 으로 글을 적고자 한다. 전 국민의 모든 삶의 영역으로 사회복지가 확장되어, 특별히 복지라는 이름으로 제공되 어지는 것도 없고, 그렇다고 또 복지 아닌 것도 없는 사회, 세상 속에 복지가 녹아져 있고 보통 사람들의 보통의 삶 속에서 복지가 구현되는 사회, 보통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모든 서비스와 제도가, 보통사람들의 공동체가 장애인, 노인 등 사회적 약자들까지 수용하는 보 편적 서비스의 사회. 결국 사회사업이란 복지를 세상 속에 풀어내고 생활 속에 녹여내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제는 복지의 섬을 만들거나 성을 쌓는 일을 중단하고 세상 속에 복지를 풀어내고 생 활 속에 복지를 녹여내는 실무자들이 되었으면 한다 청소년복지라고 해서 크게 다르지 않 을 것이다. 이른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그토록 땀흘리고 수고함으로써 어떤 사회를 만들려는 것일까 ? 도대체 어떤 비전을 가지고 어떤 전략으로 일하시는 것일까 ? 장애인, 노인, 아동/청소년 등 클라이언트들이 이 사회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게 되기를 바라는 것일까 ? 56) 청주에서 사회사업가 개인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평택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수로 일하고 있으며, 사회복지정보원의 선임사회사업가이기도 하다. 128

겸임교


몸 글 1. 청소년복지의 현황 -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의 모습을 보면, 학교사회사업, 상담사업, 동아리사업, 청소년 신문 등등 청소 년복지의 분야는 참으로 다양해 보인다. 그런데 현장에서 이곳 저곳을 다녀보니 청소년복 지사업을 특성화한 모습을 보았다. 어느 곳은 학교사회사업에만 매달려있고, 어느 곳은 청 소년 동아리사업에, 어느 곳은 청소년 신문에, 어느 곳은 다른 특화 사업에...... 그런데 이상한 점은 이 어떤 것도 지역사회와는 특별한 연결이 없다는 점이었다. 조금만 생각을 바꾸면 충분히 지역과 연계를 맺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과는 연계없이 사업 이 진행되는 경우가 너무나 많았다는 것이 안타까웠다. 지역사회복지관은 사설 상담사무소는 아니다.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지역사회를 변화시키 고 개인의 복지를 위하여 노력하여야 하는 역할을 부여받은 곳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를 그 중심에 두고 지역사회 중심적 방법으로 모든 프로그램이 움직여야 한다. 지역사회 주민이 지역사회에 복지관이 있는지 없는지 모른다면 이것은 어찌 보면 지역사 회복지관보다는 어떤 좋은 일 하지만 지역과는 관계없는 단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복지관의 청소년복지도 같은 맥락에서 고민을 시작해야 할 것이다. 청소년복지 도 지역사회가 청소년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청소년을 인간으로 대우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 깊숙이 파고 들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빈곤 청소년을 위한 자원을 개발하고, 이를 연계하고, 지역사회의 인터넷 회사 등과 협력관계를 맺어 빈곤 청 소년이 좀더 다양한 청소년 활동과 친구들을 사귀고 사회통합을 이루고, 이렇게 연계된 요 보호 청소년 또는 빈곤 청소년에 대하여 사례관리를 통하여 청소년 개인에 대해서도 접근 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역사회가 변하지 않으면 청소년복지라는 한 분야에 대한 지금의 접근은 너무나 단편 적인 것으로 머무르게 되며, 청소년복지의 본질적 측면이 도외시되는 것이라고 하겠다. 당 연히 청소년복지도 지역사회에 대하여 접근해야만 한다. 한가지 예로 지금의 현재처럼 온통 임상 중심으로만 진행되는 학교사회사업은 결국 교 육부가 시행하는 상담교사제도와 그 영역이 중첩되어 학교사회사업의 필요성을 약화시키 는 방향으로 진행되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학교사회사업의 전문성과 그 역할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와의 끊임없는 관계 속에서 승부를 걸어야 한다. 이것이 학 교사회사업의 진정한 방향성이 되며, 학교사회사업을 통한 청소년복지를 지향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다시금 강조하지만, 청소년복지 사업도 지역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서비스를 제공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29


해야 한다는

당위를 안고 지역사회와 복지전달체계간의 관점을 정리해 보자.

2. 지역사회 변화와 복지전달체계

아래 그림의 도식을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복지전달체계를 바라보고자 한다. “복 지”라는 것이 단순히 돕고 나누는 수준에 머물러 있어서는 지역사회의 변화를 끌어낼 수 없으며, 더욱 대중들과의 단절로 이어지게 되는 악순환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림-1> 지역사회의 변화가 없는 복지전달체계

어려운 사람들

복지의 섬

정부보조금 민간자원

- welfare center -

,

후원 결연 자원봉사 ,

,

특별한 서비스 중심의 사회복지

복지시설이나 클라이언트의 집에서 전문가에 의해 복지라는 이름으로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세상 ,

하지만 지역사회 속에서 방법론상 사회복지는 Person-in-Environment 의 관점을 가지고 사람과 환경, 체계와 체계사이의 상호작용이 기능적이고 조화로운 것이 되도록 돕는 일에 역점을 두어 왔다. 따라서 환경, 즉 온 세상 모든 삶의 영역에서 환경 그 자체를 바꾸는데 까지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그림-2> 지역사회가 변화하는 복지전달체계

공공기관 민간기 직거래 업 어려운 사람들 ,

보통사람들

복지 공작소

직거래

- enabling center -

이웃 지역사회 ,

보편적 서비스 중심의 사회복지

보편적 법과 제도하에서 일반 시장에서 보통의 생활속에서 지역사회 공동체 속에서 복지가 구현되는 세상 ,

/

130

,

,


진정한 복지사회, invisible ubiquitous welfare society 란 이렇게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장애인, 노인, 아동, 청소년을 배려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복지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 도록 적극적으로 변화시키려는 노력을 할 때 비소로 가능한 것이다. 3. 지역사회와 청소년복지

community center는, 특별히 그곳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는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이 개 입 대상 영역에 대한 종합적인 관점을 가져야 한다고 본다. <그림-3> 지역사회와 청소년복지의 영역

(지역사회) 환경

체계간의 관계 및 상호작용 공유 영역

라이언트 (청소년)

보수적 우파는 주로 개인에게 문제가 있다고 보고 개인에 대한 서비스를 위주로 개입하 는 경향이 있고, 진보적 좌파는 주로 사회환경에 관심을 갖고 환경을 변화시키려는 경향이 있으나, 중도파는 개인과 환경 양 체계를 균형있게 보며 궁극적으로는 양 체계사이의 관 계나 상호작용에 주된 관심을 갖는다57). 전통적으로 사회복지는 사람과 환경, 체계와 체계사이의 관계나 상호작용이 균형있고 조 화롭고 기능적이고 적응적인 것이 되도록 돕는 일에 역점을 두어 왔다. 생태체계론적 관점에서 보면, ‘문제’란 체계와 체계사이의 역기능적이거나 부적응적인 관 계 혹은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 즉 사회복지서비스란 체계간에 적 절한 관계가 이루어지고 적절한 양과 질의 상호작용이 생겨나도록 조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문제의 성격이나 시급성, 개입 단계 등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때로는 개인에게 주 로 개입하고, 때로는 환경에 주로 개입할 필요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양 체계 모두와 또 57) 사회복지사들이 학교 다닐때에는 비교적 이 극우파에 가까워지는 것 같다.

좌파적 성향을

는데, 복지관에

취업 후에는 방법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31


체계간의 관계 및 상호작용을 중시한다는 것, 이것이 심리학적 접근이나 사회학적 접근과 구별되는 사회사업의 정체성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은 ① 클라이언트, ② 환경, ③ 양 체계간의 관계 및 상호작용, 이 세 가지 개입대상 중 주로 어느 쪽에 비중을 두고 있는가? 4. 귀 복지관의 주된 실천모형은 어떤 것입니까 ?

비전과 목표, 정체성, 주된 개입 대상 영역, 서비스의 주도권, 조직 및 경영방식 등... 지금까지 말씀드린 것들을 종합하여 볼 때, 어떤 입장을 택하느냐에 따라 주된 실천모형이 달라질 수 밖에 없는데, 「복지관의 실천모형」을 다음과 같이 ①직접 서비스 위주의 실 천모형, ②중개 및 사례관리 위주의 실천모형, ③보편적 서비스 위주의 통합 지향 실천 모형 이렇게 세 종류의 실천모형으로 구분해서 복지관들의 경향을 비교 분석해보자. 58)

<그 -4>

복지관

직접 서비스 위주의 실천모형 서비스 신청 서비스 제공

라이언트

직접서비스형 (下策) : 클라이언트가 복지관에 서비스를 신청하고, 복지관이 클라이 언트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달체계 유형 장애인·노인·청소년 등 클라이언트 당사자나 가족을 대상으로 복지관(시설)에서 프로그 램을 실시하기도 하고, 지역사회로부터 자원을 동원하여 클라이언트에게 금품을 제공하거 나 봉사자를 파견하여 돕는 등, 복지관과 클라이언트가 직접 상관하는 전달체계다. Medical model, Medicalization, Institutionalization, Dependent Living, Pathological Perspective, Rehabilitation Paradigm 등 병리적․시설중심적인 용어, 전문가 의존적인 용 어들이 잘 어울릴 것 같다. 직접적인 대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 지역주민의 욕구조사 결과에 기초한 것 이라고 합리화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욕구조사의 문항이 적절했는지, 응답 항목의 구 성이 포괄적이었는지 검토해보아야 합니다. 지역주민 욕구조사를 하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과 시간과 장소, 이용료, 교통편 등 상황 변수들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어떤 욕구가 있는지만 파악한다면 그 결과 욕 58)

물론 실제에서는 항상 이렇게 딱딱 구분되는 것도 아니고 두가지 이상의 접근법이 동시에 적용될 수 도 있겠지만, 주된 경향이 어떠한가에 따라 굳이 분류하자면 이렇다는 것이겠지요.

132


구수준과 프로그램 이용률 사이에 괴리가 생겨나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이러한 “시설중심의 직접 서비스” 방식은 대체로 비용은 (Service Coverage)는 적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그 -5>

복지관 자원개발 및 조직화 ②서비스 의뢰

많이

들고 수혜자의 수

중개 및 사례관리 위주의 실천모형 서비스 신청

사례관리 및 일부 직접서비스 자원제공

지역사회

라이언트

③서비스 제공 자원봉사 및 후원

사례관리형(中策) : 클라이언트가 복지관에 서비스를 신청하고, 복지관은 지역사회 의 자원을 개발, 조직화, 조정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가 제공 되도록 공작하고, 클라이언트와는 사례관리를 위주로 상관하는 전달체계 라이언트의 모집과 관리는 복지관에서 하되, 지역사회의 공간과 자원을 활용하여, 그리고 지역사회를 개입시켜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복지관은 지역사회에서 가용 공간과 인적·물적 자원을 개발하고 조직하고 조정하는 일, 그리고 사례관리(Case Management) 서비스를 주로 하게 된다. 청소년, 장애인, 노인은 복지관의 클라이언트로 등록되고, 지역사회는 복지관에 의해 복 지관의 자원체계로 활용되는, 즉 서비스의 중심에 복지관이 존재하고, 서비스의 흐름이 복 지관에 의해 통제되는, 복지관 의존적인 전달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적은 비용으로 많은 사람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또 부분적으로나마 환경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사회 중심의 서비스”에 가깝지만, 여전히 복지 관이 중심이 되는 특별한 서비스 방식이다. 하지만 지금의 복지수준과 복지관 여건을 고려한다면 中策인 「중개 및 사례관리 위주의 실천모형」이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다음에 소개할 「보편적 서비스 위주의 통합지향 실천모형」을 이상으로 삼고 그렇게 되도록 노력해야겠지만 우선 은 중간단계인 이 실천모형을 따르는게 좋을 것 같다. 클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33


<그 -6>

복지관

CO, 계

보편적 서비스 위주의 통합 지향 실천모형 적응력 제고, IL지원

사례관리, 특수서비스

, 교육 및 지원

라이언트

보편적 서비스 (Universal Service) 복지적 환경 (Nutritious Milieu)

지역사회

보편적 서비스형(上策) : 지역사회가 장애인·노인·청소년을 배려한 보편적 서비 스를 제공하고, 복지관은 클라이언트에게 최소한의 특수 서비스나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사회-클라 이언트간의 적절한 관계 및 상호작용을 위해 공작하는 전달체계 복지관에서 해왔던 대부분의 대인 서비스, 즉 청소년·노인·장애인·빈곤계층 등 대상자 위 주의 서비스들을 지역사회에 이양하여 지역사회로 하여금 서비스 전달의 주체가 되게 하 는 형태이다. 보편적 서비스(Universal Service)란, 장애유무·연령·성·소득에 관계없이 누구나 접근할 수 있고, 나아가 장애인· 노인 등 약자들까지 적극적으로 배려하고 수용함으로써 지역 주 민 누구에게나 보편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하는데, 대상자 중심의 직접적인 서비스들을 지역사회에 이관하는 대신, 대상자들의 환경체계를 변화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대상자들을 돕고 궁극적으로 사회통합을 지향하는 실천모형입 니다. Independent Living, Deinstitutionalization, Normalization, Demedicalization, Universalism, Social Integration, Mainstreaming, Strengths Perspective, Empowerment 등의 용어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복지관에 서비스를 신청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일반 자원과 서비스 를 이용하는 것이며, 나아가 지역사회는 클라이언트를 자연스럽게 통합시키고 그들과 더불 어 살아가는 복지적 환경이 되는 것이다.

134


5. 지역사회 중심의 청소년복지 프로그램 사례

탁구교실

예를 들어, 영세청소년들을 위한 탁구교실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가정해 보면, 저 복 지관내에 공간을 확보하고 탁구강사를 섭외하고, 지역 청소년들에게 홍보하여 일정 시간에 복지관으로 오게 하여 탁구를 가르치거나, 스스로 일정 시간대에 와서 자율적으로 탁구를 하게 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지역사회중심의 사회사업방법이 아니라 물리적 복지관을 중 먼

심으로 하는 시설 중심의 사회사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1> 시설중심 방법론과 지역사회중심 방법론의 모형 비교

시설중심형 방법론

지역사회중심 방법론

복지관 내 공간확보

지역 내 자원활용

⇩ 강사섭외, 홍보 ⇩ 강습이나 자율운영

⇩ 프로그램 위탁 ⇩ 프로그램 지도 및 확대

변화없는 지역사회

지역사회의 변화

만약, 이것을 지역사회 중심의 지역사회사업으로 전환한다면, 먼저 사회복지사는 지역 내의 탁구장 사장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영업에 큰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지역의 영세 청소년들이 자유로이, 혹은 어떤 프로그램에 따라 탁구를 즐길 수 있도록 해 달라고 부탁한다. 프로그램은 그 탁구장의 명의로 할 수 있다. 또는 지역 내 탁구장 연합 회 명의로 영세 청소년들을 위한 탁구교실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방법을 알려줄 수도 있다. 지역사회 내에서 가끔씩 탁구대회도 개최하도록 한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청소년들로 하여금 때때로 탁구장 청소 등 가능한 봉사활동를 하도록 유도할 수 도 있다.

춤 / 노래 프로그램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35


청소년들이 춤추고 노래하고 놀 수 있는 프로그램을 한다고 가정해 보자. 공동모금회 등 에 자금을 신청하여 복지관에 콜라텍을 만들거나 DDR과 펌프, 노래방기기를 설치할 수 있 을 것이다. 하지만 해마다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자금을 지원해 줄리 없으니 그곳은 오 래지 않아 구닥다리로 전락할 것이고, 죽기 살기로 청소년들을 끌어 모을 방법을 연구하고 계속 업그레이드해가는 시중의 콜라텍이나 노래방, 놀이시설을 따라갈 수 없다고 본다. 복 지관의 놀이시설을 청소년들이 과연 언제까지 얼마나 이용할 것인가? 반면에 자신을 CO worker라고 생각하는 사회복지사라면, 지역사회의 콜라텍과 노래방과 당구장, 오락실, 게임방 등을 찾아다니면서 그들을 Action System에 포함시켜 함께 프로그 램을 협의하고 협력하는 방식으로 추진하지 않을까? 지역사회에서 클라이언트와 행동체 계, 표적체계, Problem-Identification System을 찾아내고 지역사회를 개입시켜서 프로그램 을 수행하려는 방식이 CO worker의 주된 개입방법일 것이다. 이런 점에서, 청소년과 관계된 지역사회의 여러 체계들과 연대하여, 지역 네트워크를 통해 청소년 문화복지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품 청소년문화공동체”의 방법론, 청소년 의 환경 자체를 변화시키려는 품의 노력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의 각종 놀이 문화시설들을 돌아다니며 청소년 프로그램을 위한 행동체계를 구성하려 했던 춘의복지관 양원석선생의 푸른복지사무소 사업계획을 소개한다.

가상 청소년 문화센터 사업명 사업개요

기대효과

운영방법 제안 136

제안서 개요

“가상 청소년 문화센터” 지역 문화시설은 빈곤청소년에게 일정시간 동안 무료로 시설을 개 방하고, 복지사무소는 이러한 지역시설들을 모아 가상 청소년 문화 센터라는 이름으로 웹페이지를 만들어 홍보를 실시하여 빈곤청소 년과 지역문화시설이 함께 성장하도록 한다.  지역 업소 - 홈페이지를 통한 홍보효과 - 지역주민의 신뢰감 증진 - 건전한 지역 문화시설의 성장  복지사무소 - 빈곤청소년에게 다양한 문화시설 기회 제공 - 지역사회 청소년 환경 정비 - 지역주민조직을 통한 청소년 비행예방  복지사무소 가상 청소년문화센터 입주업체 모집  빈곤청소년이 업소를 일정시간 무료로 사용하되 업소가 필요 로 할 경우 청소 등의 노력봉사 실시  복지사무소는 입주업체를 기싱 청소년문화센터 입주업체라 는 이름으로 홈페이지, 할인쿠폰 등을 활용하여 홍보 실시 푸른복지사무소 양원석 사회사업가 전화 019-270-8613 http://www.chollian.net/~exodusme E-mail : masil@welfare.net


1. 사업명 : 가상 청소년 문화센터

빈곤 청소년의 상황 1) 경제적 이유로 문화시설을 이용하지 못하는 빈곤 청소년 빈곤 청소년은 경제적 이유로 인해 지역사회 내 문화시설을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입 니다. 예를 들어 빈곤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을 살펴보면, 영화관에서 영화를 본 적이 한번도 없는 청소년이 많이 있습니다. 청소년 계층이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떠오른 요 일반 청소년과 비교한다면 충격이 아 수 없습니다. 2) 교우관계로부터 소외되는 빈곤 청소년 경제적 이유로 문화시설을 이용하지 못하는 것은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우관 계로부터도 소외되는 현상을 가져오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대부분 청소년의 대화 2.

내용이 문화시설을 이용하는 것과 관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요 청소년들은 ‘어떤 영화가 어 다’, ‘스타크래프트에서 어 게 하면 상 대방을 이길 수 있다’처럼 자신이 이용한 문화에 대해 이야기를 나눕니다. 그렇지만 빈곤청소년은 이러한 문화를 경험하지 못하기 때문에 또래와의 대화에서 소외되게 마련입니다. 경제적 빈곤이 교우관계에서 소외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입니다. 3) 자신감의 상실을 경험하는 빈곤 청소년 이렇듯 친구로부터 소외되는 경험을 가지게 되는 빈곤 청소년들은 자신만이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라는 좌절감을 보게 됩니다. 이런 좌절감은 청소년기에 감당하기 에는 너무 힘든 일입니다. 자기 또래의 모든 친구들이 쉽게 이용하는 문화시설을 자 신만이 이용하지 못하게 된다는 사실은 빈곤청소년의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자기 자 신을 미워할 수 있는 충분한 이유가 됩니다. 경제적 이유는 빈곤청소년들이 좌절을 경험하게 하고 자존감을 떨어뜨리며, 결국 사 회의 부정적인 면을 보게 합니다. 빈곤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지역사회 내 문화를 경험 하게 하는 것은 빈곤청소년의 미래를 위해, 그리고 사회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즘

것입니다.

3. 가상 청소년문화센터 개요 1) 개념

지역 문화시설은 빈곤청소년에게 일정시간 동안 무료로 시설을 개방하고, 복지사무소 는 이러한 지역시설들을 모아 가상 청소년 문화센터 입주업체라는 이름으로 웹사이 트를 통한 홍보를 실시하여 빈곤청소년과 지역문화시설이 함께 성장하도록 합니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37


2) 역할분담

(1) 지역업소 - 빈곤 청소년에 대한 무료 시설 임대 : 업소의 특성에 따라 불우청소 년에게 시설을 무료로 제공합니다. - 무료이용쿠폰 발행 (2) 복지사무소 ①

학생 연계 : 가상 청소년문화센터 입주업체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학생을 선정합니다.

지역 홍보 : 가상 청소년문화센터 홈페이지, 안내문, 지역신문 등의 다양한 홍 보수단을 활용하여 가상 청소년 문화센터 입주업체를 홍보합니다.

지역주민모임 : 가상 청소년문화센터 입주업체가 건전하게 운영되어 지고 있 는지 지역주민모임을 만들어 정기적으로 문화센터를 방문하 도록 함으로서 지역주민의 신뢰를 받는 가상 청소년 문화센 터 입주업체를 만들어 갑니다.

4. 기대효과 1) 지역문화시설 ①

홍보효과 : 가상 청소년 문화센터 홈페이지 및 복지사무소의 다양한 홍보체계를 활용하여 홍보가 실시됨으로 큰 홍보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 이미지 개선 : 지역사회의 다양한 지역문화시설이 지역주민들에게 신 를 받는 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지역주민과의 교류와 빈곤청소년 에 대한 지원을 통하여 긍정적 이미지를 받을 수 있게 될 것입니 뢰

다.

매출액증대 : 복지사무소의 꾸준한 홍보와 지역주민의 신 는 매출액증대로 이 루어질 것입니다. 지역주민이 직접 방문 판단하여 신 할 수 있는 지역문화시설로 생각되어지는 시설은 지역주민이 보증하고 추천 하는 문화시설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뢰

2) 지역사회 ①

138

청소년 유해환경 개선 : 지역주민과 교류하며 투명하게 운영되는 지역문화시설 이 소득이 높아지게 된다면 이는 다른 지역문화시설로 하여금 건전성 운동을 만들어내는 기회로 만들 수 있 을 것입니다. 지역문화시설이 스스로 건전화되어질 때 이에 따르는 이득을 제공함으로서 청소년 유해환경의 개선은 가능해 질 것입니다.


지역주민 조직 :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가상 청소년 문화센터를 평가해 나가게 함으로서 지역주민이 청소년을 위해 실제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조직된 모임을 통하여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모임으로 키울 수 있을 것입니다.

빈곤청소년의 문화소외 예방 : 경제적 이유로 말미암아 다양한 문화시설을 이용하 지 못하는 문화적 소외를 예방합니다. 이러한 다양 한 문화체험을 통하여 사회 속에서 문화소외계층 으로 성장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될 것 입니다.

마치는 글.....

1. 누가 시작할 것인가 ?

보편적 서비스, 사회통합 위주의 실천모형, Community Work 등 이렇게 사업방식을 바꾸고 자 할 경우, 누가 이 변화를 주도해 나갈 것인가? 혹자는 예산을 지원하는 감독관청이 변해야 한다고도 하고, 어떤 분은 관장들이 변해야만 가능할 것이라고도 한다. 실무 담당자들이 이런 방식으로 일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토로한다. 그럴만한 여유가 없다고 한다. 하지만 이제는 실무자들의 변화도 필요함을 지적하고 싶다.

물론 감독관청이 제도를 개선하고 기관장이 움직이면 더 쉽게 변화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실 무 담당자들이 저 그 비전과 역할과 방법론을 바꾸고 실력을 갖추어야 할 필요도 부인할 순 ㄴ 없는 것이다. 구차히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소신 방향 전환을 해야 한다. 실패와 실수와 비웃음을 두려워하지 말고 도전해야 할 것이다. 실무자(사회복지사)의 자존심을 지켜야 한다. 지시대로 할 것이 아니라, 철저한 직업의식으로 자신의 career를 만들어 가는 실리적 전문가 먼

가 되어야 할 것이다.

청소년복지와는 다소 거리가 있어 보이지만, 지역복지를 이렇게 고민하는 사람들이 있어 예를 통해 소개하며 글을 마치고자 한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39


2. 목욕탕복지를 꿈꾸며.. . .

(사회복지정보원 뉴스그룹 - welfare.freebbs2, 2002. 3. 18)

목욕문화복지! (목욕탕복지) 이렇게 하면 어떨까요 ? 내가 만약 목욕탕을 경영하는 입장이 된다면 ... ▪접수공간을 서비스공간으로 꾸며봅니다. 유리칸막이를 없애고 친근하고 편안한 응접실 처럼 만듭니다. 목욕문화 상담 및 고객서비스를 위한 코너를 설치합니다. 목욕건강 관 련 자료공간도 설치합니다.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합니다. 목욕건강, 목욕문화에 관해 꾸준히 공부하고 전문자료를 모으고, 정보를 정리, 제공합니다. 일단 목욕문화, 목욕건강, 피부관리, 휴식과 피로회복 등의 주제에 대한 전문가가 되어야 합니다. 끊임없이 공부하여 개선, 개발, 혁신해야 합 니다. 공유, 확산해야 합니다. ▪아기를 위한 목욕법, 중풍환자 . 노인 . 장애인을 위한 목욕보조법, 가정에서의 건강목욕 법 안내 - 계 홍보 활동 ▪목욕문화 스레터 발행 : 끊임없이 공부해야겠지요 ▪신체상태와 장애, 연령에 따른 목욕용품 정보제공, 상담 ▪가정 욕실에 미끄럼방지타일을 고 안전손잡이를 설치하고 노약자,장애인에게도 편리 한 제품들로 개조하는 방법을 상담하고 정보를 제공합니다. ▪온천욕, 삼림욕, 해수욕 등을 위한 단체 가족 여행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합니다. 지역 복지기관과 협력할 수도 있고 동사무소 주민자치센터나 구청, 혹은 여행사와 협력하여 몽

실시할 수도 있습니다.

▪어린이 성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수도 있습니다.

아동복지기관이나 학교 등과 협력하여 추진할

▪목욕탕의 욕조는 모두 바 면보다 아래로 들어가게 시공하고, 미끄럼방지 타일과 부상 방지용 소재, 안전 손잡이, 손기능장애가 있는 분들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수도꼭지와 샤워기, 키작은 아이나 장애인도 다룰 수 있는 샤워시설 등 장애인.노인.아동.임산부 등 목욕약자들을 배려한 목욕시설과 용품을 갖 니다. ▪탈의실에서 열쇠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고 현관 접수공간에서 이용료 수납과 함께 열쇠 닥

140


를 줍니다. 탈의실 근무자는 목욕복지, 목욕문화, 건강목욕을 위한 도우미로 대체합니다.

▪탈의실에서 여성잡지와 신문과 TV를 추방합니다. 계 홍보용 비디오를 상영하고 목욕 탕복지, 목욕문화 등에 유익한 자료들을 비치합니다. ▪중풍환자나 장애인, 고령자의 목욕을 위해 도우미, 자원봉사자를 활용합니다.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 증진을 위해 특별한 목욕 이 트를 기획합니다. 아빠들과 아들 들이 함께 하는 목욕 이 트 ! 프로그램이 생각납니까 ? 재미있겠지요 ? 몽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41


청소년복지관련 실무자 및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을 위한

청소년 문화복지 아카데미

실 천 연 구

142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43


청소년문화복지 프로그램 기획의 실제와 적용 이 승 민 재) 인천가톨릭청소년회

1. 들어가면서 청소년을 문제의 시각으로 바라본 다? 문제꺼리로 접근하면 문제의 해 결자로서 교육자의 개입이 이루어진 다. 청소년프로그램의 주체인 청소년 을 철저히 분리된 객체로써 바라보게 되며 청소년을 지도, 훈육의 대상으 로 전락시킨다. 문제의 핵심은 이것 이다. 청소년문제는 현 시대뿐 아니 라 지금의 기성세대 혹은 그 이전세 대 에서도 늘 존재하고 있었다. 마치 현시점의 청소년만이 가지는 문제로 치부할 경우 제반 사회, 문화적 현상으로부터 기인하고 있는 다양한 원인이 차단되면서 문 제의 요지가 왜곡될 수 있다. 신체적, 정신적 발달 과정 안에서(혹은 외적인 사회적 환경의 영향)총체적으로 바라보아 야 한다. 90년대 후반 청소년들의 자아 중심적 경향, 자아 정체감 혼란의 시기 등의 기 제출된 명 제들은 청소년문제의 원인을 ‘청소년’으로 일원화하는 오류를 더 이상 범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청소년과의 만남의 장에서 흔히 범하는 오류 중에는 청소년문제를 프로그램의 장으로 흡수하는데서 생기는 마찰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청소년들의 매스컴 144


따라하기와 유행하는 춤과 음악 등을 청소년문화의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매스 컴의 능동적 수용과 쌍방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만들어 놓는 것이 지도자의 몫이라면 청소 년문제의 기전이 보임에도 불구하고 묵과하다가 청소년문제의 치료단계로 접근하거나 문 제상황의 도래 이후 예방책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는 거꾸로 된 분석틀이 존재한다는 것이 다. 즉 청소년프로그램에 참가하는 대다수의 청소년이 현재 존재하고 있는 객관적 문화의 실체라면 그 이면에 있는 청소년문화를 읽어내는 작업은 가장 우선 시 되어야 하는 것이 다. 그러므로 청소년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프로그램의 철학과 청소년문화에 대한 내용적 질의 향상을 꾀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지만 그것은 어쩌면 현상으로 존재하는 문화주체의 가속화된 변화를 힘겹게 뒤따라가는 철학의 버거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2. 청소년문화복지 프로그램의 기획 1. 프로그램 기획에서 우리의 화두

1) 청소년프로그램은 본질적으로 실천 지향적이어야 하며 총체적이어야 한다. 근본적 취지에서 청소년교육이라 함은 청소년들의 생활, 지적 성숙을 위한 일련의 과정 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을 이루기 위해 청소년들은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다양한 형태를 통하여 바른 삶을 살 수 있고 비전 있는 삶의 양식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학교교육에서 지적 성숙을 이루어 내기 위한 단계를 밟고 있는 것이라면 사회교육은 감성, 삶의 변화를 주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분히 현실적이며 실천 지향적이다. 그리고 그것이 청소년들에게 보다 나은 삶을 향한 비전을 찾아 나아가는 과정으로 본다면, 그들은 과학적 이며 합리적인 방법을 취하고, 그 안에서 지적 성숙을 더불어 이루어 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청소년교육의 포괄적 의미로 청소년프로그램을 바라보아야 한다. 청소년프로그램 원리는 Philosophy ⇒ Program/Administration ⇒ Facility 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며 청소년기의 흥미와 즐거움, 체험 활동, 융통성과 총체성이 얼마만큼 존재 하는가? 청소년들이 원하는 것은 무언인가 등에 의해 프로그램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음 을 인지해야 한다.

2) 우리는 전문인인가?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45


사회복지 또는 청소년복지를 2년 혹은 4년 동안 전공한 우리는 과연 전문인인가. 이 물음에 개인적으로도 혼란을 겪은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청소년기관 직원중에 전혀 다른 전공을 하고서도, 사회복지사나 청소년 지도사와 큰 차이점 없이 프로그램을 진행하 는 경우, 어떨 때는 사회복지사, 청소년 지도사들 보다 나은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경우를 종종 보곤 한다. 우리는 여기서 무엇을 느껴야 하는가!!! 사회복지와 청소년복지를 공부하고 여기서 우리는 우리들의 색깔을 얼마나 찾고 그것을 밖으로 내어보냈는지 뒤돌아보아야 한다. 전문인은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만으로 이루어 지는 것은 아니다. 아이들을 사랑하고 좋아하는 것은(당위성을 갖는)기본적인 전제 일뿐 전문인의 한 축에 들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아니다. 청소년문화복지라는 새로운 도전을 하 면서 우리는 청소년 문화를 얼마나 알고 이해하며 느끼는가! 여기서 우리는 전문인으로서의 색깔을 찾아야 한다. 청소년문화를 알고 이끌고 조력해 줄 수 있는 문화리더쉽을 가진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3) 문화복지 프로그램 기획자(진행자)가 알아야 할 필수조건 3가지 ①

나만의 코드를 발견하자 (기획자는 아이디어

이 아니다.)

기획이라는 단계에 다다르면 많은 프로그램 기획자는 새로운 창조 즉 아이디어에 대한 한 계에 부딪힌다. 그러나 기획 = 아이디어일까? 기획은 결코 아이디어가 아니다. 즉 기획과 아이디어를 혼동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시스템이 결여된 아이디어는 제대로 된 프로그램을 만들어내지 못한다. 시스템 안에는 아이디어, 전체적인 진행 과정, 제대로 된 역할 분담(이미지 도안, 홍보, 예 산 관리, 무대 관리...), 등의 과학적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기획이란 프로그램을 전체적으로 바라보는 눈인 것이며 보다 실제적이고 총체적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시스템 속에서의 나의 역할은 무엇인가? ‘나’는 어떠한 존재일까? 어떠한 강점을 가지고 있을까? 어떠한 강점을 가지고 존재할 때 전체적인 시스템 안에서 효율적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인가? 여기에 많은 고민과 투자가 되어야 한다. 주위를 살펴보면 나와 다른 사람들 예를 들면 아이디어를 맘껏 뿜어 내는 사람들, 꼼꼼하게 일 처리를 하는 사람들, 차분하지는 않지만 분위기를 이끌어 가는 사람들 등 이러한 부분들이 어떻게 융화되어 하나의 프로그램 기획과정, 진행과정에 투입 되는가는 무척 중요하다. 146


‘나’ 조직 속에서 나는 어떠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가. 이러한 강점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나의 위치와 역할은 무엇인가. 여기서 나의 전문성이 나타나는 것이다. “나를 찾자” 아주 중요한 근본적인 질문이다. ②

기획은

프로그램에 매력을 불어넣은 마술이다.

프로그램의 종류는 아주 다양하고 방대하다. 현재까지 청소년관련 기관 및 단체에서 실시 해온 프로그램들의 종류는 나열하기 힘들 정도로 많다.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다?’ 새로운 프로그램을 창조해야 한다는 강박관념보다 기존의 프로그램을 잘 꾸며내는 것도 기획의 중요한 형태일 수 있다. 기존에 있던 프로그램들도 어떠한 기획 과정을 거치느냐에 따라 아주 다른 색 의 프로그램이 나오게 된다. 철저한 정보수집과 진행과정을 거치면 아주 의미있고 매력있는 프로그램이 우리 앞에 나 타날 것이다. 깔

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

극복

현 청소년문화를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볼 때, 기성세대뿐만 아니라 약간의 나이 차이만 나 도 감당하기 힘든 부분이 청소년문화의 빠른 변화라는데 있다. 이러한 문화변화에 대한 부분을 감당하기 힘들 때 우리는 방어적 비판을 하기 시작한다. 나와 다른, 우리 때와 다른 사회현상에 대한 거부감. 이것은 청소년과 함께 할 수 없는 가장 큰 걸림돌인 것이다. 이러한 비판적, 방어주의 극복은 청소년문화에 한 걸음 다가서는 길이다. 2. 프로그램 기획

1) 프로그램의 이해 프로그램이란 집단이 합의한 목적에 따라 목적의 실현을 위해 순서를 고 예정계획을 수 립, 실행, 평가하는 과정이다. 집단 내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생성된 집단의 힘 (group emergy)을 목표 달성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수단이 프로그램인 것이 다.59) 결국 프로그램은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없음을 말하고 있다. 하지만 프로그램을 짜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47


목적을

위한 단순한 수단으로만 이 해해서는 안된다. 청소년지도와 관련 된 집단지도의 개념에서 프로그램은 집단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모든 활동, 상호작용, 역동성, 비공식적 행 동 등을 모두 포함하며 하나의 목적 과 일치해야 하는 중요한 의미를 갖 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 현장에서의 프로그램이라 하면 욕구나 문제를 가진 대상자(개인, 가족, 집단, 지역 사회 등)들에게 독립된 목적과 목표 를 가지고 사회복지사에 의해서 체계적으로 계획된 일련의 절차에 따라 수행되는 문제해 결의 과정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그 성격상 집단적이며, 시간적인 진행에 따라 다양한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역동적인 과정이라 하겠다.60) 이렇듯 우리가 풀어가야 할 프로그램은 집단안에서 이루어지며 집단의 변화과정을 중요시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평가에 있어서도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요시한다는 사실 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청소년의 변화와 성장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를 생각할 때 프로그램이란 ‘무엇을 할 것인가’에 해당될 것이다. 우리가 흔히 생각할 수 있는 단순한 프 로그램(일정표, 단위진행계획, 시간표)의 개념에서 벗어나야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61)

2) 기획이란? 전략 = headwork 전술 = footwork 기획 = handwork 계획 = 이들과 관계되는 스케줄을 짜는 절차 전략이 일종의 머리싸움이고, 전술이 구체적인 행동을 말한다면 기획은 구체적인 연구이 다.62) 기획을 쉽게 설명하면 집을 짓는 과정 속에서 집을 어떻게 지을 것인가를 구상해 내는 것 이다. 즉 기획이라 함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운영방식이라 할 수 있다. 무조건적인 행동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그 목표에 달성할 수 있지만 행동 전에 정보를 수 59) ‘청소년활동론’, 한국청소년개발원 1993, p44 60) 전덕근, ‘사회복지 프로그램 매니지먼트’, 홍익제. 1996, p17 61)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청소년자원활동 지도자 연수’, 1998, p34 62) 홍영의 역, ‘기획대사전’ 가림. 1995. p39 148


집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는 기획은 시행착오를 최소화한다는 것에서 그 의미 가 클 것이다. 기획은 어떤 분야에서도 적용되는 과학적, 합리적 운영패턴이다. ② 기획에는 과거의 재현이 아닌 새로움과 목표에 맞는 정확함과 실질적인 결과를 기대 할 수 있는 실현 가능한 방안이 제시 되야 한다. ③ 기획서는 타인을 논리로 설득하기 위한 방법이며, 다음 기획을 위한 훌륭한 자료이 다. ④ 기획은 사고의 기술이다. (사고의 논리가 정연하면 설득물로써의 기획서도 논리 정연하게 된다) ①

3) 기획의 기초 ①

왜(Why)의 중요성

청소년활동에 있어서 프로그램 기획의 질과 전문성을 결정하는 요소 중에 가장 중요한 것 은 지도자의 전문적 시각과 접근방식이다. 그 전문적 시각과 접근 방식의 시작은 ‘왜(why) 라는 질문으로 시작해야 한다. ’우리는 왜(why) 이 프로그램을 기획하는가?‘ ’그들은 왜 (why) 이러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가?‘ 어떠한 프로그램을 기획하든지 왜(why)라는 질문에 대한 합의된 대답이 있어야 한다. 그 러한 질문에 대한 실마리를 풀어가며 프로그램의 목적과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기획은 과학적, 합리적 운영패턴이라고 했다. 정확하게 왜(why)의 방향이 서있지 않으면 전체적인 논리가 빈약하게 되고 이러한 기획서를 보면 흐름이 안맞는 뒤죽박죽의 기획서 일 가능성이 높다. 왜(why)의 출발! 이것은 첫 단추를 잘 꿰는 시작인 것이다. ②

청소년(참가자)중심의

프로그램구성

문광부에서 발표한 청소년육성 5개년 계획을 보면 청소년의 참여가 중시되고 있다. 이는 청소년지도자들에게 많은 질문을 던지는 계기가 된 것은 틀림없다. 기존 청소년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지도자가 기획, 준비, 실행 단계를 모두 책임지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구성하는 과정을 생략한 잘못된 프로그램 접근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모든 것을 꼭 청소년과 함께 한다는 것은 불가능할 수도 있다.(현 교육정책 등의 사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49


회 제반적 문제로 인해) 하지만 청소년지도자는 최대한 청소년과 함께 여 스스로 변화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몫일 것이다. ③

프로그램을 준비하

소집단 활동의 중요성

집단지도에서 가장 효율적인 집단 구성인원을 8~12명으로 제시하고 있다. 청소년프로그램 의 변화 중에서 가장 큰 변화의 축중에 하나가 대집단 중심에서 소집단 중심으로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몇 백명에 이르는 대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한계는 일방적 커뮤 니케이션 방식을 택한 것으로 이것이 얼마나 비효율적인 방식이라는 것은 명백한 것이다. 소집단은 집단내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정확한 욕구와 의사 의 표시를 할 수 있고 지도자가 적절한 개입을 통해 올바른 가치형성 및 자아정체에 도움 을 줄 수 있다. ④

재미있는 프로그램으로의 구성

프로그램을 기획할 때 정확한 목적과 목표가 제시된다. 어떠한 과정을 거치더라도 지도자 가 청소년에게 주고자 하는 철학을 등한시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정 확한 목적과 목표를 주기 위한 프로그램의 구성에서 재미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같은 캠프화이어라도 어떠한 방식으로 흥미를 유발시킬 것인가! 전체적인 프로그램 구성에서 름의 곡을 어 게 결정하는 가는, 기획자가 주고 싶은 기 획의도와 흥미가 유발되어진 프로그램 구성이 정점에 이르 을 때 프로그램의 효과는 극 대화 될 것이다. 이는 전문적인 지도자의 몫인 것이다. 똑

자원지도자는 우리편

^^

사회복지 실무현장에서 일을 하다보면 자원지도자가 차지하는 위치는 아주 크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사회복지 실무자의 부족과 함께 자원지도자의 부족도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 다. 이러한 자원지도자를 어떻게 관리하고 함께 해 나갈 수 있느냐는 그 기관의 발전과도 큰 연관이 있다. 자원지도자가 기관에 가면 첫째, 편안하고 재미있어야 한다. 자원지도자는 함께 하는 동료이지 부릴 수 있는 하인이 아닌 것이다. 즉 수평적 구도에서 자원지도자를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수직적 구도에 서 명령 하달식의 관계는 자칫 관계를 그릇 칠 수 있다. 150


둘째, 지식을

가지고 갈 수 있어야 한다. 자원지도자들은 단순한 복사 등의 잡무를 하러 사회복지기관을 찾는 것은 아니다. 체계적인 계획 속에 그들이 요구하는 지식 또는 알지 못하는 지식을 얻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자원봉사를 하면서도 다시 찾고 싶은 기관이 있는 반면에 가고 싶지 않은 기 관이 있었다. 다시 가고 싶은 기관의 공통적 요소는 가면 편안하면서 즐겁고 자원봉사를 할 수 있었고, 이렇게 즐겁게 자원봉사를 하는 과정 속에서 무언가를 얻어갈 수 있는 기관 이었다. 다시 말하면 이 두 가지의 요소는 자원지도자와 함께 할 수 있는 가장 큰 요소라 할 수 있다. ⑥

지역사회(Network)의 중요성

지방자치제가 실시되고 시대가 변화할수록 지역사회의 중요성은 더욱더 커지고 있다. 특히 사회복지의 다양한 접근을 근거로 할 때 여러 자원들과 network를 구성해 지역사회의 기 반을 다지는 것은 아주 중요한 과제 중에 하나일 것이다. 특히 공공기관, 학교, 시민단체, 사회복지단체의 연결고리를 찾고 그 안에서 청소년들을 위 한 프로그램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⑦

계획된대로 이루어진다???

모든 기관, 모든 기획자는 당연히 철저한 계획 속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09시에 집결, 09시 30분 출발 등등... 하지만 프로그램을 진행하다보면 외부환경과 다른 상황들에 의해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때가 있다. 아니 거의 대부분의 상황이 사소한 시간의 어긋남이라도 생긴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이 발생할때면 모든 스탭들은 메인기획자에게 시선이 다가가고 메인기획자는 이러한 상황을 빨리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한다. 즉 융통성 있는 시 각으로 프로그램 전체를 바라보고 있어야 하고, 많은 경험을 바탕으로 그 문제를 대처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⑧ 한 걸음 더 앞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다보면 혼자 기획하고 준비하고 진행하는 과정보다 팀(직원 및 자원지도 자)작업 속에서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경우가 더 많다. 이때 역할분담이 이루어지고 그 역할분담에 맞는 세부계획서가 합쳐져서 하나의 기획서가 만들어진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51


기획자는 전체적인 부분에 코멘트를 해줘야 하고 팀회의를 주관하며 의견의 합의를 이끌 어야 한다.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회의를 이끌었을 때, 회의체계에서 적절한 의사 소통 수단을 찾을 수 없고, 팀웤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기획자는 팀원들보다 한 발더 앞서서 준비하고 연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즉 정당한 논리와 타당성으로 이끌기 위한 공 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⑨ 평가의 중요성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을 보면 항상 평가는 맨 마지막의 계획 속으로 짜여진 다. 전체적인 평가 한번으로 프로그램을 정확히 비판하고 다시 새로운 추스림을 할 수 있 을까? 평가는 수시로 진행되어야 한다. 프로그램 기획부터 답사, 정보수집, 팀회의 등 모든 단계 에서 평가를 거쳐 지속적인 수정작업을 거쳐야한다. 이러한 수정 작업속에서 보다 높은 질 의 프로그램이 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4) 기획의 단계 ①

단서찾기

여기서의 단서는 위에서 지적한 아이디어가 아니다. 각 기관의 외적, 내적 상황들을 전체 적으로 고려한 상황에서 청소년들의 욕구를 파악해내는 과정인 것이다. 이러한 단서를 찾 는 과정은 지속적인 연구속에서 찾아낼 수 있고, 문화생활(TV, 라디오, 잡지, 영화, 쇼핑 등)속에서도 찾아질 수 있을 것이다. 항상 열린 시각으로 청소년과 관련된 상황을 체크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②

정보수집

정보수집과정은 기획자가 기획한 프로그램의 정확하고 논리적인 받침이 되어줄 수 있는 근거를 찾는 것이다. 보통의 기획서들을 보면 정보의 분 이 없는 상황에서 머리 속에 있 는 사회적 일반적 통념으로 기획의 취지를 나열한다. 이것은 자칫 기획자의 개인적인 특수 성에 의해 전체적인 청소년문화를 내다보고 그러한 고정관념 속으로 아이들을 어들이는 오류를 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오류를 범하지 않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로(인터넷, 도서관, 기사, 타 기관의 유사한 프로그램 기획서 등)를 통한 정보수집 과정이 필요하다. 뒷

152


분석

정보 수집된 자료를 정확하게 분 해야 한다. 이는 당연한 것이며 정확한 분 속에서 제시 되는 기획의 근거는 아주 명료하고 타당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석

*

의사소통(팀웤, 주제 및 철학) 어떤 프로그램이든지 완벽한 확신은 ④

없다. 가능한한 최선의 합의와 선택이 있을 뿐이다.

위에서도 지적했듯이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진행하다 보면 기획자 혼자 진행하는 프로그램 보다는 자원지도자나 같은 팀(과)원과 함께 진행하는 경우가 더 많이 나타난다. 여기서 기 획자가 제시한 의도가 함께 진행하는 스텝들과 정확하게 공유가 안될 경우에는 프로그램 의 시작도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끝날 때까지 즐겁게 진행 할 수 없을 것이다. 기획자가 의도한 부분의 철학을 함께 공유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효율적인 팀웤 이 만들어질 것이다. 특히 사회과학분야의 특징중 하나는 1+1=2처럼 정확한 답이 없을때가 많다. 그렇기에 교묘 한 말재주를 통해 개인의 아집이 회의 속에 펼쳐지게 되면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회의에 참가할 때는 열린마음으로 임해야 하며 상대방의 의사를 수용하며 정확한 결론에 도달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⑤

목적, 목표, 하위목표의 설립

위의 과정들을 거쳐 합의된 주제와 철학이 만들어지면, 다음으로는 구체적인 목적과 목표 하위목표가 세워져야 한다. 목적은 그 활동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 도달하고자 하는 공통의 합의된 가치라고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목적은 가치 지향적이고 다소간 추상적이며 미래지향적이며 광범위한 영 역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한다. 목표는 광의의 합의되고 가치 지향적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계획된 구체적인 실행방 법이다. 이는 객관적이고 직접적이고, 대면적이며, 측정 가능한 지표를 사용하며, 기술적이 며, 이론적이며, 지식에 바탕을 둔 구체적 영역을 한정하는 개념으로 이해한다.63) 즉 어떠한 방향으로 추진할 것인가? 이러한 과정 속에서 다시 한번 왜(why)를 생각하며 팀(과)원 간의 지속적인 재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⑥

63)

구체적 계획수립

정덕근, 사회복지 프로그램 매니지

트,

홍익제. 1996. p118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53


why(왜 하는가?) ⇒ what(무엇을 해야 하는가?) ⇒ whom(누구를 위해 하는가?) ⇒ when(언제 하는가?) ⇒ where(어디서 하는가?) ⇒ who(누가 하는가?) ⇒ how(어떻게 진 행하는가?) ⑦

프로그램의 실행

지금까지의 과정이 모두 중요하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철학과 좋은 기획의도로 계획을 하 였더라도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올바르게 진행되어지지 않으면 모든 것은 수포로 돌아가 는 것이다.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프로그램의 완벽을 위해 기획자가 욕심을 부리면 안된다는 명제를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한국 청소년개발원에서 발간한 청소년활동론을 보면 아래와 같이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나열하고 있다. - 참가자들은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프로그램의 목표에 대한 공통의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참가자 전원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어느 누구도 소외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 참가자들 사이에 의견교환과 협력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 즐거운 분위기로 진행되도록 한다. - 역할분담을 정확히 하고, 효율적인 역할 분담을 위해 개인별 특징과 장점을 정확히 파 악하여 적재적소에 배치시킴으로써 효과를 극대화한다. -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전에 활동에 필요한 제반 준비물에 대한 점검을 마쳐둔다. - 계획했던 시간을 엄수해야 한다.

⑧ 평가 - 평가의 목적 / 참가자들의 변화과정, 경험의 질, 동기유발 등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 준비단계에서 종결까지 모든 과정의 효율성과 적합성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 평가과정 자체가 훌륭한 진행과정이 될 수 있어야 한다. / 평가자료는 발전과 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써의 기능을 해야 한다. - 평가의 기준 / 프로그램 평가 :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달성 여부, 프로그램의 적절성, 효율성 / 운영평가 : 기획, 예산, 조직, 시설, 교육 등 운영과정평가 (준비-과정까지) 154


/ 참가자 : 만족도, 성취도, 변화수준 (과정중심으로) - 평가의 단계 / 사전평가 : 준비과정의 적절성 평가 및 수정 / 과정평가 : 진행과정 중 수시 평가 및 다음 프로그램 활용 / 종결평가 : 전과정 평가 및 차후 프로그램 대비

⑨재

자의 과정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프로그램이 차후 진행될 때 아주 큰 밑거름이 된다. 어떠한 상황이든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것은 중요하며 실수를 최소화 시켜 하나의 모델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청소년복지 현장에서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과정은 매우 중 요한 것이다. 투

3. 나오면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과정은 쉽게 접근하면 없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물론 많은 비판을 감수해야 하지만), 반대로 체계적인 준비과정을 거치려면 많은 연구와 고민이 따르게 된다. 하지만 우리는 그 과정을 알고 있으면서도 실제로 적용시켜 진행하기란 운 과정이 아니다. 특히 청소년문화와 락을 함께 하면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진행하려면 급변하는 문화 를 이해해야 하고 그 속에서 아이들과 함께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이것은 부 단한 노력과 고민 속에서만 가능한 것이며, 이 부분을 놓치면 결국 낙오되는 청소년지도자 가 되고 말 것이다. 여기서 준비된 청소년문화복지 프로그램 기획과정의 내용들은 아주 작은 부분이고, 모 두 공감할 수 있고, 이미 알고 있는 부분이지만 이런 자그마한 정리의 과정부터 거치는 것 끝

이 중요할 것이다. 원고를 쓰면서 자료조사를 위해 서점을 여러 군데 둘러보았다. 역시 사회복지 프로그램 에 관한 서적은 턱없이 부족했고. 몇몇 있는 서적들은 사회복지 프로그램 접근 방식을 문 제적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소년문화복지의 새로운 도전은 우리에게 큰 방향을 제시해줄 수 있 을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같이 하는 여러 스탭들의 힘으로 새로운 청소년문화복지의 장 을 펼치며 보다 나은 청소년복지의 발전을 기대해본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55


우리 아이들이 기를 바라며....

좀더

맑은 가슴으로 이 세상을 바라보며 사랑하는 날이 될 수 있

□ 참고문헌 □ 한국청소년개발원(1993). 청소년활동론 홍영의 역(1995). 기획대사전. 가림 정덕근(1996). 사회복지 프로그램 매니지먼트. 홍익제 품 청소년문화공동체(1998). 청소년자원활동 지도자 연수

156


▶ 청소년 문화복지 프로그램 기획 단계도 ◀ 청소년들의

욕구파악, 문화연구, 기획자의 체험 등의 지속적 활동

단서발견

- TV, 라디오, 잡지, 인터넷 - 학교현실 - 거리 쇼핑(명동, 동대문등)

정보수집

- 스크랩 - 타 기관의 유사한 프로그램 - 인터넷, 서적, 신문기사등

타당성의 검증단계

기획서의

작성

- 회의 (지속적인 communication을 통 한 수정 및 보완) ․기관의 목적과 방향성에 맞는가? ․기관의 내적, 외적 환경에 맞는가? ․실현 가능한 것인가? ․참여자들의 욕구와 맞는가? 등 - 회의 (지속적인 communication을 통 한 수정 및 보완) - 목적, 목표, 하위목표, 기대효과 - 사업개요 (일시, 장소, 주최, 대상) - 세부진행내용 (진행일정, 자원지도자 활 용방안 등) - 지역사회 NETWORK 구성 방안 - 홍보 방안 - 평가 방안 - 예산 편성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57


기획서의 제시를 통한 검증

구체적인 계획(안) 작성

프로그램 준비단계

158

- 회의 (지속적인 communication을 통한 수정 및 보완) ․타당성의 논리제시 ․예산확보 가능성 타진 ․기관과의 방향성 협의 - 회의 (지속적인 communication을 통한 수정 및 보완) - 보다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계획 ․역할분담 ․자원지도자 확보 및 교육을 통한 관리 ․장소선정 ․예산편성 ․홍보계획 ․지역사회내의 연계성 방안 - 회의 (지속적인 communication을 통한 수정 및 보완) - 맡은 역할수행 ․자원지도자 확보 및 교육 ․장소선정을 위한 답사 후 확정 ․예산 배분 ․홍보실시(포스터,p.c,지역신문, 인터넷등)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meeting 협의 및 연계 - 평가준비 ․평가양식 (설문지, 소집단, 인터뷰등) ․일일 세부 일정안 작성 및 역할분담 - 리허설 - 프로그램 진행 장소 셋팅 ․무대, 조명, 음향, 공간배치, 숙식등 ․주변환경 데코레이션


프로그램 실행

평가

- 기획서에 근거한 역할에 맞는 임무수행 (즉 목적과 목표에 맞는 행동 숙지) ․기획자는 세부적인 역할을 맡는 것 보다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위치에 있어 야 한다. (나무와 숲을 동시에 볼 수 있어 야 한다) ․스탭들은 기획자의 지시에 따라주어 야 한다. (문제 발생시 평가시간을 이용하 는 것이 좋다) → 사공이 많으면 배는 산 으로 간다.

- 참가자 평가 ․설문지, 인터뷰, 집단평가 - 프로그램 평가 ․준비단계 -> 실행단계에까지 전체적 으로 평가한다. (평가양식 및 토론) ․스탭들의 역할평가 * 평가에 대한 자료들을 문서화하고 보관 한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59


청소년 프로그램 평가 우 수 명 (HS Center 소장)

1. 들어가며 사회복지 및 휴먼서비스(Human Services) 분야에서 책무성(Accountability), 전문성, 그리고 공공재원에 대한 투명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를 증명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평가(Evaluation)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최재성, 1999; 정무성, 2000). 서울특별시는 1996년부터 사회복지관 평가를 실시64)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타지방자치단 체로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1997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사회복지시설 평가 가 법제화되어 평가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현재까지 실시해온 사회복지기관의 평가는 총괄적인 평가방식으로 기관 전체를 평가하는 방식이 중심이 되기 때 문에, 사회복지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는 평가의 필요성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사회복지 현장에서 임상사회복지사들에 의한 과학적인 평가의 적용과 그것에 대한 성 과는 매우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김성천, 1995; 황성철, 1998; 최종혁, 2001 등).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평가의 중요성은 미국의 경우 실증주의적 경향이 강조되었던 1960년 64) 1996년 및 1997년에 실시된 서울특별시의 사회복지관 평가는 사회복지관의 재정운영의 투 명성 확보와 운영비 지원을 위한 정치적 목적을 이유로 회계감사 및 운영평가를 실시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현황 및 실적 파악 위주로 진행되어 향후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에 그 릇된 영향을 행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최일섭외, 1998). 1998년 이후로도 서울특별 시의 사회복지관 평가는 정량적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사회복지 분야에 적합하지 않은 평가방법이라는 비판과 함께 사회복지사들에 의한 평가거부라는 극단적 대립에까지 이르렀 다. 이는 평가가 가지고 있는 정치적 특성을 반영하는 한 사례로 볼 수 있다. 김형식(1999, p72)은 평가가 정치적 산물일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평가의 대상이 되는 정책이나 프로그램 그 자체가 바로 정치적 결정의 산물일수 있다는 것이다. 기관 상호간에 서로 유리 한 유치를 차지하려고 하는 등 경쟁적 요소로부터 완전한 보호를 받을 수 없다는 것을 현실 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서울특별시의 사회복지관 평가는 통제적 요소가 강하였으며, 평가방 식이 일방적이면서, 정량화된 것만을 측정하고자 시도하였기 때문에 사회복지-휴먼서비스의 평가에 부적절하므로, 사회복지사의 반발과 평가거부가 나타나게 된 것이다. 160


후반부터 공론화되었다(황성철, 1998). Ficher에 의하여 제기된 사회사업실천의 효과성 논 쟁은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사업이 책임성과 과학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안과 노력을 제고하는 데 도움을 제공하였다. 이는 사회복지계에 조사방법론의 교육 확대와 단일사례와 사전․사후 효과성 검증 등의 보다 객관적인 평가 방법들이 보급되는데 기여하였다. 197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프로그램 평가의 강조점은 통제연구의 기술적 정(technical measurement)으로부터 현장 평가의 운영 락(operational context)으로 이동하였다(정선욱․ 김진숙, 2000). 1975년 이전에는 실험․통제집단의 설계와 같은 실험평가의 방법론적 엄격성 이 평가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가장 우선적인 기준이었지만, 방법론적 엄격함이 평가 결과의 활용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발견되면서 현재는 “평가 결과의 활용”을 강조하는 추세로 변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uechler, et al., 1988). 우리나라는 이에 비하여 비록 늦은 감은 있으나 1990년대 후반부터 프로그램 평가의 중요 성이 공론화되기 시작하면서, 정부기관 등의 외부뿐만 아니라 사회복지계 내부적으로도 사회 복지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요구하는 분위기가 보다 확대되는 등 평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점차 지고 있다. 그동안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사용되어 온 프로그램 평가는 임상영역이 중심이 된 단일사 례설계(Single Case Design)나 집단활동의 실험․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증이 주로 사용되 어 왔다. 최근에는 만족도 조사가 자주 시도되고 있으나 이 또한 성과평가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아 제대로 된 평가의 모형이라고 할 수 없다(우수명, 2001). 또한 지금까지 사용된 사회복지 기관․시설평가 중 프로그램 평가에 적용된 정량적 평가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질적인 영역 을 충분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최종혁, 2001: 최재성, 2000). 사회복지 학계에서는 프로그램 평가를 이론적으로 조명하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정무성, 2000: 최재성, 1999: 황성철, 1998: 최종혁, 2001 등), 그러나 사회복지 현장에 적 용할 수 있는 이론에 기반한 실천적 평가모 의 개발과 활용, 그리고 재검증을 통한 일반화 작업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충분하게 진행되어진 것이 없는 형편이다.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모 개발이 미진한 이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화가 어려운 프로그램의 다양성이 존재한다. 사회복지 서비스는 대상분야별, 프로 그램 유형별로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일관된 평가의 틀을 갖추기가 쉽지 않다. 이에 따라 각 대상별, 유형별로 프로그램 평가모 이 새로 개발․적용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둘째, 프로그램 평가 전문가가 부족하다. 프로그램 평가는 그 분야에 충분한 경험과 전문 지식이 없다면 적합한 평가모 을 만들기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각 대상분야․유형별로 해당분야 또는 관련유사 분야별로 프로그램 평가 전문가가 필요하다 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후반 이후로 평가에 대한 관심이 졌기 때문에 이제 막 기초연구 단계의 수준이라 충분한 프로그램 평가 전문가가 양성되지 못하였다. 대

K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61


셋째, 사회복지 현장의 준비가 부족하다. 현장의 사회복지사들은 프로그램 평가에 대해 이 론적으로 충분하게 훈련받지 못하였다. 또한 평가 수행 중 계량적 분 을 위한 중․고급 통계 기술도 대다수가 충분하게 습득하지 못한 상황이다. 위에서 제기된 세 가지 문제들로 인해 사회복지 현장에서의 프로그램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는 매우 어려운 상황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어렵다. 우선 기존의 프로그램 평가 이론을 검 한 후 사회복지 대상분야별, 프 로그램 유형별로 실천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프로그램 평가 모 을 개발한다. 이를 현장 사회 복지사들이 직접 프로그램에 적용한 후, 이를 통해 발견되는 문제들을 개선함과 동시에 유사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이를 일반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프로그램 평가의 모 화는 물론 이론 구축도 장기적으로 가능하게 될 것이다. 석

2. 평가의 개념과 과정 1) 평가의 중요성

⑴ 평가의 개념

J.R.Schuerman(1986)은 ‘평가는 원래 어떤 활동이 성공적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했었다. 지금은 평가란 용어가 보다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가끔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되는 모든 조사를 포괄하고 있는 듯하다. 전문적 활동에 대한 서술, 전문적 활동결과에 대한 조사, 새로운 치 료 개입 형태에 관한 실험 및 보다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설계된 조사를 의미한 다.’고 하였다. 최재성(1999)은 평가란 행정관리의 수단, 서비스의 욕구를 가지고 있는 대상에게 정확하게 서비스 가 전달되는 지, 적절한 서비스인지, 효과적, 혹은 효율적인지를 사정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평가란 하나의 프로그램이 거쳐야 하는 각 발달과정에서 성취하게 되는 결과를 자원 입, 효과, 효 율, 책무성, 이용자의 만족도 등을 기준으로 하여 체계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분 하는 모든 행위 로, 프로그램 전반에 걸친 결정을 하기 위한 총괄적인 정보수집과정이다. 이는 프로그램의 가치, 장점, 단점 등에 대한 체계적이고도 분 적인 연구이며, 프로그램의 가치, 질, 중요성, 타당성, 업무 수행에 관한 효과, 효율 및 책무성에 관한 채계적으로 분 하는데 필요하다(김형식, 1999). 프로그램 평가는 프로그램 발전을 위하여 프로그램의 기획 및 진행의 과정, 종결에서 나타나는 긍 정적․부정적 요인의 원인을 총체적․체계적인 탐색의 과정을 통하여 진단하는 것이다. 이 진단을 통하여 새로운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거나 기존의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정보를 얻 투

162


게 될 수 있으며, 이는 프로그램이 기관과 프로그램 자체의 목적에 보다 충실 할 수 있게 하는 역 할을 수행해야 하며, 내부적으로는 성장과 학습의 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우수명, 2001).

⑵ 평가의 중요성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사회복지의 전문가적 필요도 중요한 요인 이다. 전문가적 필요는 클라이언트 중심의 사고, 역할 및 업무의 책무성accountability(책임과 의무, 우선순위, 자원배분 등), 과학화(체계화, 객관화, 실증화 등), 성찰과 발전의 요구 등 4가지 영역의 요구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클라이언트를 더 잘 이해하고, 가까 워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며, 미래를 준비하고 선도할 수 있는 정보와 기화를 제공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구체적인 평가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⑴ 정보의 획득과 축적 ⑵ 전문성․대표성의 증명 ⑶ 효과적 프로그램 개발 및 개입을 통한 책무성 증진 ⑷ 클라이언트의 능력강화와 참여민주주의적 실천연구(Marloiw, 1998) ⑸ 평가와 발전 그리고 이론형성 ⑹ 정보의 공유와 네트워크로서의 기능 ⑺ 시대적 요구에 부응 ⑻ 홍보와 참여증진의 기회 2) 앞으로의 과제

⑴ 사회조사․분 에의 전문적 역량 강화 ⑵ 표준화된 정도구와 개별화된 정도구의 개발 ⑶ 정보의 개방과 공유 ⑷ 사회복지 네트워크의 확대를 통한 사회복지 운동의 모색 ⑸ 라이언트의 능력강화(empowerment) 석

3) 평가의 과제

⑴ 평가를 위한 WOR ROUP의 구성 - 프로그램의 계획이전에 평가를 진행하고 책임성있게 평 가 업무를 수행하는 작업집단을 구성해야 한다. 실무자와 책임과 권한이 있는 관리자, 외부전문가 등 이론가 실무를 겸할 수 있는 구성이 되면 좋다. ⑵ 평가할 프로그램 선정 - 프로그램 평가에서 정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 평가의 목적과 구체 적인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작업그 은 충분한 이론적 검 를 시작해야 하며, 프로그 램의 목적과 목표, 가치, 타당성․실현가능성, 평가방법 및 방향 등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 K G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63


⑶ 평가기준(평가목표)의 설정 - 이는 프로그램의 계획단계에서부터 평가목적 및 대상자 수, 실시 기간, 달성 폭표 등을 대로 평가해야 할 기준들이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때는 가급적 계량화 시키는 것이 평가에 유리하며, 처음 의도했던 사업의 목표가 평가의 기준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 토

다. 평가를 위한 판단기준으로 계량적 접근을 중심으로 할 것인가? 아니면 관찰과 질적 결과물을 얻는 데 주력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이 둘은 결과에서 두가지 반대의 평가, 또는 일치하지 않는 평 가가 나올 수 있다. 이 때는 프로그램의 (구체적) 목표를 확인하며, 조사대상에 적용될 변수, 평가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 등을 검증해야 한다. ① 양적 접근 - 통계처리가 가능한 자료를 중심으로 효과성(유의미성)을 검증한다. ② 질적 접근 - 실재 프로그램의 내포된 사회적 가치나 의미를 중심으로 하거나, 담당자의 관찰 등의 기준으로 평가를 하게 된다. ⑷ 프로그램 평가 모형 작성 - 프로그램의 목표를 어느정도까지 달성하였나를 실증적으로 분석하 기 위한 모형을 작성한다. 이는 프로그램의 계획단계의 목표와 현재의 조건과 상황에 따른 실현성 의 간격을 줄이기 위한 전략들을 설정하여, 그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는지 또는 좀더 광 범위한 규모로 그 효과를 가져오게 되었는가 등에 대한 기초자료가 된다. 만약 사회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일 경우 사회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토대로 구성하여 야 한다. 여기서는 실험설계방식을 적용할 것인가? 인과관계분석을 적용할 것인가? 등을 고려해야 한다. ⑸ 연구설계 - 프로그램의 평가 모형이 작성되면 평가자는 자료수집, 측정, 분석, 해성의 일련의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하는데 이는 연구설계의 목표이다. 즉 평가단계에 대한 연구지 침이 되는 것이다. 연구설계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토, 연구방법의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⑹ 측정 - 프로그램의 목표를 비롯하여 각종 변수들이 측정가능한 대상으로 전환시키는 작업(조작 적 정의)이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경우 대부분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실 행되며, 정보나 자료의 부족으로 인하여 독자적인 측정도구를 개발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평가의 이론화와 관련되어 중요한 부분이다. ① 프로그램 평가의 대상 - 프로그램의 참가자 개인 또는 서비스 전달체계의 운영에의 변화 ⓐ 프로그램 참가자의 경우 ct의 인지적 또는 감정적 상태의 변화, 행동 또는 건강상태 등의 변화, 지역사회내 서비스 대상자 전체의 변화 등의 목표에 입각한 평가가 진행되어야 한다. ⓑ 서비스 전달체계의 운영상에서의 변화의 경우 서비스의 접근성, 계속성, 단편성/통합성, ct에 대 한 책임성에 관련되는 사항의 변화정도를 직접관찰, 기록자료, ct의 주관적 느낌, 욕구 조사 등을 토대로 측정되어 질 수 있다. ② 평가측정의 기준 - 절대적 기준과 상대적 기준이 있다. ⓐ 절대적 기준 - 규범적인 것으로 미리 정해놓은 일정한 수준의 결과를 측정, 예로 참가자 100명 을 목표로 하는 경우에 실재 참가자의 인원비율로 목표달성도를 측정할 수 있다. 164


ⓑ 상대적 기준 - 평가대상 프로그램과 타기관 또는 동기관의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평가 를 한다. 타 프로그램과의 예산, 인적․물적 자원 입 비율 등 정자료의 출처 - ct, 프로그램 담당자, 자원봉사자, ct 주변의 사람, 기록자료, (외부)판정자 투

③ 측

⑺ 자료분

및 해석 - 다양한 통계기법의 응용이 필요하다. 이때는 프로그램 평가모형에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목적과 목표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평가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 다. ⑻ 문제점 규정 및 대안 제시, 실무적 적용 - 평가결과를 활용하는 것이다. 평가를 통하여 얻게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을 하거나, 기존의 프로그램을 조정하는데 활용한다. 석

4) 프로그램 평가시 유의점

⑴ 개입 - 변화의 인과관계를 추론하는 것을 두에 다. 특히 효과성 검증시에 더 주의한다 ⑵ 기준 - 효과평가에 대한 논의와 기준이 명확히 되어야 한다 ⑶ 우선순위 - 핵심평가와 우선평가의 영역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요 평가영역을 어디에 둘 것인가? ⑷ 중심가치 - 담당자 중심의 평가가 아닌 ct중심의 평가자료의 중요성 및 조사의 필요성 증가 - 객관화 강화 ⑸ 변수 - 설문문항을 만드는데 있어서 변수의 개념 설정과 하위변수의 선택이 중요 ⑹ 모 화 - 복지관 프로그램 내용, 상황적 여건에 따라 적절하고 유효한 평가모 을 개발하는 염

것이 필요 ⑺ 지향점 - 사회복지 실무 프로그램의 평가는 궁극적으로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찾고, 개선안 및 대안을 제시하며, 종합적으로 프로그램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여야 한다. ⑻ 전문성축척 - 단일프로그램의 평가시 일반화의 문제가 될 수 있으나, 사례 및 이론적 평가 등 의 중요한 자료가 되므로 사례를 통한 성과 축적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⑼ 영역 - 현상과 사실에 대한 파악도 중요하나, 목적과 목표에 따라 기준되는 영역에 대한 평 가이므로 이에 대하여 크게 벗어나거나 과도한 욕심은 버린다. ⑽ 비교조사 - 비교조사가 매우 중요할 수 있으므로 타기관의 동일 프로그램 또는 유사 프로그 램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궁극적으로 양적 축척을 통하여 질적 축척을 이루어내며, 이론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3. 평가이론65) 65) 평가이론 중 본 평가에 적용된 이론만을 설명하였음.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65


1) 성과측정66)

성과주의 예산제도는 예산집행의 결과 어떠한 산출물을 생산했고, 어떤 성과를 냈는가를 측정해, 이를 기초로 다음해 예산에 차별을 두는 결과중심의 예산체계이다. 이제도에서 각 부서는 사업목 표 및 계획에 따른 예산을 편성한 뒤 사업시행 결과의 평가를 통해 예산을 배분 받게 된다. 각 부 처들은 성과를 고려해 예산을 합리적으로 요구할 뿐만 아니라 차년도 예산편성에 연계된 책임있는 예산집행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서 목표를 달성했느냐에 대한 성과는 인사 및 보수책정의 기준 으로도 활용한다. 성과측정은 휴먼서비스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품질, 그리고 효과성에 대한 정보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모아 보고하는 것이다. 성과측정은 단지 프로그램 책임성에 대한 여러 최상의 접근방법 중 하나일 뿐이다. 성과측정은 포괄적인 특징으로 효율성 관점, 품질관점, 효과성 관점의 주요 관점을 포함하고 있다.

프로그램 성과 정의 방법이 성과 정의 여러 방법들 사이에 특별히 구별되는 어난 것은 아니 다. 많은 경우에 이러한 구별은 중요한데, 단지 참여자들을 위해 하나로 구해지는 성과라기 보다 는, 오히려 프로그램이 참여자들을 위하여 달성하고자 희망하는 극적인 성과에 근접하는 것을 이 기 위한 각각 서로 다른 이익이나 변화를 위하여 계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성과 수준들의 다양함과 그런 차이나는 용어들에 의하여 그들을 부를 때 다양한 자원들이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진다. 물론 진정한 이 는 용어가 아니라, 바로 변화나 이익과 논리적으로 연결된 조 직 체계의 개념이다. 이 매 얼은 성과의 세가지 수준과 이들을 표현하기 위한 다음의 용어들을 명확하게 할 것이다. 측

■ 단기의 성과들은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첫 번째 이익들 또는 변화들과 프로그램의 산출에 의하 여 결정적으로 영향받거나 관련되어진 것들이다. 이러한 최초의 성과는 참여자들의 지식, 태도 또 는 기술의 변화이다. 이것은 그들 자신에게 최종적인 결과들이 아니라, 참여자들의 생활의 질을 향 상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특별한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구하는 성과를 향하여 한 발자국씩 내딛 는 것을 필요로 할 것이며, 따라서 그들의 성과를 향하는 참여자들의 과정을 정하는 척도는 중 측

요하다.

■ 중기적 성과들은 프로그램의 단기의 성과들과 연결되어 있다. (더 장기적 성과들이 참여자들을 위하여 구해지지만). 그들은 종종 새로운 지식과 태도 또는 기술로부터 나오는 행동을 변화시킨다. ■ 장기적 성과들은 프로그램이 그것의 참여자들을 위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정하는 극 측

66) 166

정무성역, 프로그램 성과평가, 나

의 집, 2000의 내용임.


적인 의미의 성과라고 볼 수 있다. 그것들은 참여자들이나 그들의 상태나 상황이 의미 있게 변화 했다는 것을 뜻한다. 비록 프로그램이 참여자들이 그들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그것의 변화와 유사 한 더 큰 지역사회에서의 지속적인 변화가 발생되는 것으로 더 나아가기를 희망할지라도, 프로그 램의 장기적 성과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어지는 영향들은 반드시 제거해야 한 다. 성과는 본질적으로 단기나, 중기나 장기간이 아니다. 중기적 성과는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다른 이 에게 장기적 성과가 될 수 있다. 그러한 지정(지시, 명명)은 특별한 프로그램의 효과들의 연속성 사이에 연결된 논리적 관계에 의하여 측정되어진다. 이러한 관계는 “만약 a라면, b가 될 것이다”는 영향과 이익의 연결고리로 생각되어질 수 있다. 만약-그렇다면의 기본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만약 금연집단이 건강에 유해하고 효과적인 금연기술(산출)을 훈련시킨다면, 그렇다면 흡연자들 은 지식을 습득하고, 그들의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과 흡연을 멈추는 기술을 얻는 것(단기성과)들을 배우게 될 것이다. 만약 흡연자들이 흡연은 유해하고, 금연하기를 원하고, 그리고 금단증상을 최소 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갖게 된다는 것을 알게된다면(단기성과), 그렇다면 그들은 프로그램 이후에도 금연할 것이다-또는 시도하게 될 것이다(중기 성과). 만약 그들이 금연하게 된다면, 그들 중 더 적 은 수만이 흡연과 관련된 질병과 관련되어질 것이다(장기 성과). ■ 만약 청소년들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에 의하여 교육받았다면(산출), 그렇다면 그들은 교육을 중요하게 볼 것이다(단기 성과). 만약 청소년들이 교육을 중요하게 보았다면, 그렇다면 그 들은 학교를 더 정규적으로 출 할 것이다(중기 성과). 만약 청소년들이 학교를 더 정규적으로 출 하였다면, 그렇다면 그들은 더 졸업을 많이 할 것이다(중기 성과). 만약 그들이 졸업하였다면, 그 렇다면 그들은 더 고용될 것이다(장기 성과). 석

■ 만약 여성들을 위한 고용상담이 최종적으로 직장 면접 기술을 포함한 자급자족이 되기 위하여 시도하는 것이라면, 여성들은 직장면접을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단기 성과). 만약 그들 이 더 좋은 인터뷰를 받게 되면(단기성과), 그들은 직업을 찾을 확률이 더 높아진다(중기 성과). 만 약 그들이 직업을 찾는다면, 그렇다면 그들은 재정적으로 자급자족에 더 가까워질 것이다(장기 성 과).

성과의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수준들의 이해와 함께, 명확하게 하는 것을 시작할 준비를 해야 한다. ⑤

당신의 작업 집단은 당신의 프로그램 성과를

성과의 주요개념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67


■ Input은 프로그램에 의하여 입되어지거나 소모되어진 자원을 포함한다. 예들은 예산, 직원과 직원의 활동시간, 자원봉사자와 활동시간, 재정, 장비, 그리고 공급품 등이다. 이를테면, 입은 부 모교육반을 디자인하고, 프로그램을 강연하는데 소요되는 직원의 활동시간들을 포함한다. 입은 또한 법률, 규칙, 재정사용 영수증을 요구하는 것 등과 같은 것이 프로그램에 강제적으로 포함되어 투

야 한다. ■ Activities는 투입을 완벽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다. 활동은 프로그램의 제공 방법을 이루는 전략, 기술, 그리고 치료의 유형을 포함한다. 이를테면, 부랑인 가족을 보호하 는 것과, 먹이는 것이 프로그램 활동이다. 그리고 그것은 성인 부랑인을 훈련시키고, 상담하여 그 들이 직업을 준비하며 찾는 것을 돕는 것이다. ■ Output은 프로그램 활동의 직접적인 결과물과 통상적으로 일정기간동안 작업이 완성시킨 용량 이 측정되어진 것이다. 예로, 가르쳤던 학급 학생의 수, 실행된 상담 세션, 이용된 교육적으로 공헌 한 재료들, 그리고 소요된 서비스이다. 산출은 그 자체로 약간의 고유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산출 은 참여한 또는 표적 집단의 이익을 얻으려는 것으로 이끌어 가기 위하여 계획된 것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만약 충분한 자원이 제공되었더라도, 관리자는 산출의 수준들을 통제하여야 한다. 예로, 부모 교육 반에서 유지된 학급학생의 수와 서비스 받은 부모의 수가 산출이다. 이와 함께 충분한 직원과 공 급물, 프로그램은 이중으로 그들의 반 학생과 참여자들의 산출이 될 수 있다.

■ Outcomes는 개인이나 대상들이 프로그램 활동 안에서 그 과정동안 또는 참여 이후의 이동, 기 술, 지식, 태도, 가치, 상황 또는 다른 원인들과 관련되어 있다. 그것들은 개입지식, 생각, 또는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냐이다; 또는 어 게 그들이 행동하느냐; 또는 그들의 상황이 어떠했는냐이다. 이것들은 프로그램을 이어 이루어지는 것과는 다르다. 예로, 가족상담을 위한 프로그램에서 재정적 관리, 산출-생산된 서비스가 무엇인지-은 재정적인 세션 계획과 가족들의 수가 보여지는 것을 포함한다. 성과를 원하는 것 -변화는 참여 행동이나 상 황속에서 보여진다-은 그들의 발전과 예산안을 가지고 생활하는 것, 매달 저축하기 위하여 부가하 는 것, 재정적 안정감을 증가시키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산출은 이웃을 깨끗하게 하기 캠페인에서의 만나는 것이 유지되는 조직원의 수와 주말 에 깨끗하게 하기 위한 노력에 시간을 바친 사람들의 수가 될 수 있다. 성과는-표적대상의 이익을 위한- 위험을 안전하게 하는 것으로 드러내게 하고, 이웃에의 가치를 느 는 것을 증진시키는 것 을 포함한다. 떻

168


투입 프로그램에

의 하여 투입되거 나 소요된 자 원 예: 예산, 스탭 과 자원봉사자 및 그들의 투 입시간, 재정, 장비, 공급품

프로그램에서

강제되는 것 예: 법, 규칙, 재정에서 요구 하는 거

활동 입을 환

하게 수행하는 것과 함 께 프로그램을 하 는 것이 무엇인가 투

예: 부랑인 가족을 먹

이고, 쉬게하는 것, 직 업훈련을 제공하는 것, 아동학대의 징후 에 대하여 일반에게 교육하는 것, 임산한 여성을 상담하는 것, 청소년에 대한 지도교 사의 관계를 만들어내 는것

산출 성과 프로그램 활동 프로그램 활동과 의 직접적인 성 정과 그 후에 참 과물 여한 이들을 위 한 이익

예: 가르친

학 생들의 수, 실 행한 상담세션 의 수, 이용된 교육적으로 공 헌한 재료들, 서비스를 전달 하는데 소요된 시간, 서비스를 받은 참여자의 수

<그림 2> 프로그램 성과모델의 요약(United

예: 새로운 지식, 기술의 증가, 가 치나 태도의 변 화→행동을 정형 화하기→상황을 증진시키기, 상태 를 증진시키기

Way of America, 1996)

2) 과정분석 Process Analysis : 질적 연구방법임을 강조 보강하도록

과정․성과평가는 기존의 성과평가의 개념에 과정의 중요성을 접목시킨 새로운 평가의 틀이다. 성 과평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정무성 역, 프로그램 성과평가, 나눔의 집, 2000의 것을 참고하면 도 움이 될 것이다. 성과평가는 성과(Outcome), 산출(Output), 품질(Quality)의 영역을 평가하는 것이다. 성과평가가 가 지는 장점은 휴먼서비스(Human Services)에 적합하도록 질적 부분에 대한 평가를 강조하면서, 대 부분의 평가지표를 구체적이고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게 함으로 대부분 측정가능하거나 계량화하도 록 유도한다. 이는 기존의 계량주의적 평가에서 무조건 수식화된 결과를 추구하는 것과는 매우 다 른 측면을 가지고 있다. 즉, 프로그램 달성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과 목표를 달성했는가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므로, 평가의 중심도 목적과 목표의 달성에 초점이 맞추어지게 된다. 이는 책임성 을 더 강조하게 되므로 기존의 ‘무조건 많은 실적’이 좋은 것이라는 고정관점을 벗어나도록 도움을 제공한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69


성과평가는 목적과 목표의 달성에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에 과정부분이 매우 취약하다. 사회복지 를 비롯한 휴먼서비스는 과정을 통하여 결과가 산출된다. 일반 기업처럼 결과가 좋으면 다 좋은 것이 아니다. 사회복지 서비스의 진행(전달) 과정에서도 여전히 클라이언트의 권리와 역량이 강화 되어야 하며,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지속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적절 한 방법으로 사회복지 서비스는 제공되어야 한다. 과정평가는 관찰기록을 중요시하는 질적 평가방법으로, 상호작용과 성장, 진행과 연계, 장점과 단 점의 영역에 중점을 두게 된다. 첫째,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의 상호작용, 그리고 이를 통한 성장과 발전이 고루 분배되는가에 관심을 가진다. 둘째, 연구의 각 단계별로 구조화하고, 구조화된 단계별로 각기 또는 서로 어떻게 진행되거나 영향 을 미치는지에 관심을 가진다. 셋째, 사회복지 연구가 가지는 총체적인 장점과 효과는 무엇이며, 단점과 어려운 점은 무엇인지 구 체적으로 고찰하는데 관심을 가진다. 연구의 과정에서 나타난 예상하지 못한 돌발상황이나 시행착 오, 특수요인에 대한 고찰도 포함한다. 성과평가와 과정평가는 각기 강조점이 다르긴 하지만, 마치 동전의 양면과 같이 서로 보완적인 특 징을 가지고 있다. 일반 프로그램 평가에서도 이런 과정․성과평가 모델을 적용해보는 것도 의미 가 있다. 3. 사회복지 연구의 평가 기준에서는 과정․성과평가의 모델을 가지고 설문조사를 실시한 사회복지연구를 어떻게 평가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다루게 될 것이다.

3) 자기분석 - 강점약점Swat/ 메타평가

경영기법의 하나로 조직내의 경영능력과 환경변화를 동시에 고려하여 적절한 대응 전 을 구사하 는 것으로 기관의 능력을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eat) 등의 4 가지 요소의 규명을 통한 진단 방법이다. 이 분 은 강점과 기회는 무엇이고, 어 게 최대한 활용 하고 있으며, 약점과 위협에 대해서는 어 게 대응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략

⑴ 강점(Strength) - 기관의 내부에 초점을 맞추며, 기관의 장점이 되는 요소, 활동 등으로 기관의 전통, 직원의 응집력, 직원전문화 등이 있다. ⑵ 약점(Weakness) - 기관내의 업무를 제한하거나 방해하는 요소로 직원의 노령화, 고질화된 사 기저하, 프로그램의 비 전문성과 낙후성 등이 있다. ⑶ 기회(Opportunity) - 외부와의 환경적, 조직적 요인이 잘 규합되면 기관의 목적달성에 상당한 혜택을 줄 수 있는 요소들로, 지명도, 입지적 조건, 자원봉사 확보 등. ⑷ 위협(Theat) - 발생 가능한 외부의 여건과 상황으로 실제로 발생시 기관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요소들이다. 상부기관과의 갈등, 모금활동 실패, 경제적 여파 등. 170


4) 가치평가

청소년들에 대한 가치, 사회복지학적 가치, 기관의 비전과 전망, 사회복지사의 비전과 가치, 실무자 와 기관, 지역사회, 그리고 사회복지적 가치에 대한 검토.

4. 평가도구의 구성 1) 성과측정

성과평가는 앞서 살펴본 성과평가이론을 토대로 성과를 구성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중 프로 그램이 달성해야 할 성과(outcomes)에 대한 영역을 성과평가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산출영역은 관 찰기록이나 이용자만족도 조사, 그리고 자기기입식 평가도구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품질영역은 이 용자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분석되어지기 때문에서 여기서는 프로그램의 고유성과를 중심으로 다루 게 된다. 사업수행에 있어서 그 사업의 목적과 목표를 구체적으로 명확하게 설정해야만 달성하고자 하는 성과를 구체적으로 규정지을 수 있다. 목적과 목표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J. 데이비드 프레임의 글 에서 잘 나타나있다.

프로젝트(사업, 프로그램) 관리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은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성취할 수 있도 록 하는 방법을 지난 수십년에 걸쳐 발전시켜왔다. 이 방법론은 목표관리(MBO)라고 불리는데, 이것의 발전은 프로젝트 관리의 성장과는 독립적으로 나타났다. 목표관리의 기본원리를 철저하게 파악하는 것은 프로젝트 관리를 좀더 쉽게 만든다. 목표관리는 그것 중심부에 명확한 목표설정(또는 목적, 요구사항, 이정표)과 그것들의 성취가능성을 보증하는 것에 관심을 둔다. 명확한 목표의 필요 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만약 목표에 명확성이 결여되어 있다면 그것을 다섯명에 게 보여줄 경우, 해석이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다. 하지만 목표가 명확하다면 이것을 다섯 사 람에게 검토케 한 후 의견취합을 해도 단일한 견해가 나올 것이다. 목표를 명확하게 하는 최선 의 방법은, 그것을 검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진술하는 것이다(J. Davidson Frame, 1995: p 24).

프로그램이 전문성을 대로 체계적으로 수행되어, 그 프로그램이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이루었음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목표가 명확해야 한다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는 프로포 절(Proposal)에서 구체화되어야 한다. 결국,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71


성과도구의 개발은 프로포절에서 제시된 목적과 목표를 검증할 수 있는 척도로 만드는 작업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목적과 목표의 구체성과 측정가능성, 그리고 성과로의 수행가능성 등이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성과가 무엇인가는 각 사업의 프로포절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프로포절을 중심으로 하 여 연구자들간의 많은 토론과 점검이 있은 후에 구체화되어졌다. 본 사업들의 경우 프로포절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담을 수 있는 수준으로 구체화되어있지 못하였기 때문에 성과 자체가 추상적이고 구체적이지 못하게 구성되어 있는 문제들이 부분의 프로포절에서 노출되었다. 다음은 이러한 문제로 볼 수 있는 한 프로포절의 사업목적이 사업1예)이다. 이 경우는 가족참여 프로그램이라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쉽게 사업의 성과를 판단하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는 부적합한 프로포절의 예이다. 다른 프로포절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인데, 위의 프로포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 들의 설정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목적은 그 자체로 지향적, 추상적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 체적인 성과를 달성하는데 기준이 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며, 통상 중장기적 성과로 볼 수 있는 영역이 많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성과를 제대로 측정할 수 없는 한계를 초래한다.

사업1예) ○ 사업목적 청소년들의 예술적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올바른 청소년 문화예술 을 장려하고 정서를 함양함으로써 건전 청소년 육성에 기여 하고자 함. ○ 추진방향 ○ 청소년들의 문화적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및 주제를 제공 ○ 건전한 청소년 여가선용의 장 제공 ○ 서울시내 초증, 중등, 고등학생 및 일반청소년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함 ○ 단순 미술제보다는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도록 가족참여 프로그램 진행 올바른 청소년 문화예술을 장려하고, 정서함양을 어 게 달성할 수 있는 것인가? 만약 달성할 수 없다면, 그 사업이 필요한 사업인가? 달성하더라도 사회공공의 재원을 사용하는 민간지원사업에서 그 효과성을 증명하지 못한다면 어 게 되는가? 성과 정도구를 만드는데 있어서 목적과 목표의 추상적이고 구체적이지 못한다면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청소년 건전 육성이나 교화선도와 같은 목적도 많이 사용되는 것이다. 이 경우도 청소년 건전 육 성을 위한 문제 청소년 교화선도 교육이 목적이라면, 교화선도 교육을 통하여 청소년 건전 육성이 떻

172


이루어져야 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그 범위를 어디까지 할 수 있으며, 사업의 효과를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교화선도란 어디까지가 교화선도이며, 어디까지거 건전한 청소년 육성인지에 대하여 불명확하기 때문에 이 사업이 과연 교화선도를 제대로 하였으 며, 청소년 건전 육성에 기여하는가를 명확하게 평가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이와 같이 목적과 목표가 막연하고 추상적인 경우 성과평가도구의 개발은 실제로 성과를 달성하였 는가를 측정하는 기본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성과평가도구는 이 프로그램의 성 과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근거가 무엇인가에 중심을 두고 개발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프로그램을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다소의 논란이 발생하기 때문에 관찰평가자는 반드시 충분하게 훈련된 연구자로, 2인 이상의 다수로 하여야 한다. 그래야만 주관적인 판단을 배제할 수 있으며, 여건이 허락된다면 3인 이상의 홀수인원이 관찰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더 유용할 것이다.

참가자들의 예술적 재능을 발휘한 기회가 되는가? 어떤 점에서 그러하며, 그 근거는 무엇인가? □② 청소년문화예술을 장려하는데 적합한가? 어떤 점에서 그러하며, 그 근거는 무 엇인가? * 문화예술을 장려한다는 의미는 보상성보다는 자발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③ 건전한 청소년 여가선용의 장을 제공하는가? 어떤 점에서 그러하며, 여가선용 의 지속성은 어떻게 확보될 수 있는가? 여가선용이라는 의미는 일시성이라기보다 는 지속성과 일상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④ 가족들이 함께 참여하는가? 비율은 어느정도이며, 참여태도는 어떠한가? □⑤ 다양한 프로그램에의 가족들의 참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는가? □⑥ 다양한 프로그램 및 주제를 제공하는가? - 이하 생략 ①

위의 Box는 앞에 제시된 사업에 대하여 구성한 성과의 내용 예이다. 성과는 44개 프로그램별로 각 각 사업목적과 추진방향, 사업내용을 토대로 다르게 구성되었으며, 그에 따라 연구자의 완전관찰자 입장에서 바라본 관찰과 토론을 중심으로 평가되어졌다. 따라서 모든 프로그램의 성과는 모두 다 르게 구성되어졌다. 그 예는 각 프로그램의 평가결과를 참고하기 바란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73


사업2 예)

1) 사업 목적 1. 학교 부적응 유형에 따른 전문적 개입, 부적응 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통해 학 교 부적응 청소년의 실질적 자기 변화를 유도한다. 2. 진로 탐색 및 진로 결정의 기회를 통해 학교 적응의 결정적 동기를 형성한다. 3. 사례관리 및 긍정적 자조모임 등의 지속적 관리 체계를 통해 부적응 청소년들의 변 화요인을 유지, 발전시킨다. 2) 사업 목표

목표 1. 전문적인 개입을 통해 학교 부적응 청소년들의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킨다. 하위목표 하위목표 하위목표 하위목표

1. 2. 3. 4.

학습부진 행동을 개선한다.(학습자아개념, 학업성취도) 약물오남용 행동을 감소시킨다. (청소년약물인식도 향상) 성인식 및 성태도를 개선한다. (성행동 및 성의식 척도)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개선한다. (대인관계 척도)

목표 2. 진로 탐색의 기회와 현실적인 진로 결정의 기회를 통해 학교 적응의 동기를 강화시킨다. 하위목표 1. 부적응 청소년들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킨다. 하위목표 2. 현장체험 및 전문인 만나기를 통해 진로결정의 동기를 부여한다.

목표 3. 긍정적인 자기개발을 통해 청소년들의 자조모임을 구성하고, 지속적인 관리 체계를 형성한다. 하위목표 1. 부적응 청소년들의 자기긍정성을 향상시킨다. 하위목표 2. 상호관리 및 기타 욕구 실현을 위한 자조모임을 형성한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목적 및 목표의 제안은 사업의 성과나 효과를 평가하고, 발전시키는데 유리한 전문적인 체계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사업2예)의 프로포절은 (사)한국청소년재단의 프로포절이 다. 이 경우 목적의 내용을 달성하기 위하여 목표와 구체적인 하위목표들이 자세하게 구성되어 있 다. 따라서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목표가 달성되었는 가? 그렇지 않는가?만 판단하더라도 성과달성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포절의 목 적과 목표의 수준은 이정도 수준으로 구체화되어야 전문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번 성과평가에 있어서 한계점이 있는데, 이는 가치영역에 대한 평가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예 를 들면, 병영체험과 같은 경우 군사문화의 잔재라는 평가와 인내와 단체질서를 배울수 있는 소중 한 시간이라는 의견대립이 연구원들간에서도 큰 논란거리가 되었으나, 이를 평가에 전혀 반영하지 174


는 않았다. 이는 평가가 가치지향적이지 않다는 것이며, 중립지향적임을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이 다. 실제로 평가에 있어서 가치영역의 판단은 매우 중요하다라고 할 수 있으나, 이는 논란의 소지 가 많으며, 올바른 가치의 결정은 결국 권력이동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본 평가에서는 바람 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⑵ 이용자만족도 이용자만족도는 질적관찰에 의하여 구성된 반구조화된 측정도구를 완전구조화한 것으로 볼 수 있 다. 다만, 질적관찰은 평가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대신, 이용자 만족도는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 는 청소년들에 의하여 평가되어진다는 측면이 크게 다르다. 이용자만족도의 장점은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스스로 느끼고 경험한 것들을 측정함으로 보다 생생 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용자 중심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용자만족도 의 경우 이용자들이 프로그램 진행의 폭넓은 과정과 전문성의 영역에 대한 인지의 수준이 떨어지 며, 이용자의 기호에 맞거나 재미있을 경우 그 프로그램의 가치나 의미와는 상관없이 높은 만족도 가 나올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용자만족도를 프로그램 평가의 전체영역으로 활용하기보 다는 이용자 중심의 정보를 획득하는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프로그램진행환경 참여의 적극성

프로그램내용

프로그램만족도

개인특성(연령) 지도력수준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

그림 이용자 만족도 구성틀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75


이용자 만족도 조사는 참여의 적극성, 참가자의 개인적 특성, 프로그램 진행환경, 프로그램의 내용, 지도자의 지도력 수준, 그리고 프로그램 만족도의 6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독립변 수, 매개변수, 종속변수의 인과관계에 의하여 구성되어졌다. 이러한 형태의 구성을 구조방정식모형 의 경로분석(path Analysis)를 통하여 분석하게 되므로, 서로간의 영향력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 다. 일반적인 프로그램 만족도에 사용하는 분석틀은 서울특별시 시민만족도 조사 등에서 보는 바와 같 이 매개변수 영역과 종속변수 영역으로만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며, 참가자의 특성이나 적극성 등 이 고려되지 않는 측면이 강하다. 그러나 청소년 프로그램의 경우 청소년들의 자발성이 존중되어 야 하며, 휴먼서비스(Human Service)의 경우 이는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강조되 었다(우수명, 2002). 일반 행사형 프로그램, 캠프교류형 프로그램, 소집단활동(Group Work) 프로그램 형의 3가지 유형 에 따라 내용이 다소 다르게 구성되어져 있다(부록의 설문지 샘플 참조). <표 8> 이용자 만족도 조사 평가내용 영 역

이용자

일반적 특성 참여 특성 프로그램 평가

이용자 지도자평가 만족도 진행과정평가 평가 만족도

성, 연령, 학력, 지역

참여이유 및 경로, 이용자 태도와 적극성, 제언․의견 참여 프로그램 만족도, 등, 진행과정

프로그램의

진행능력, 준비상황, 성실성.

진행과정의 적절성,

안전대책 등

적절성, 필요성,

효과성

성, 친절성, 배려성

전반적 만족도, 재참여의사, 도움정도, 필요정도, 권유의사

일반 행사형 프로그램의 경우 번잡하고 유동이 많은 행사장소의 특성상 많은 양의 질문이 포함된 설문지를 사용할 경우 조사 자체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행사 참가자들이 손쉽게 반응하고, 설문에 응할 수 있도록 1장짜리로 구성되어진 설문지를 활용한다. 물론 이 1장의 설문지에도 6개 영역을 측정할 수 있는 항목이 고루 분포되어져 있는 것은 당연하다. 캠프 교류형 프로그램과 소 집단 활동 프로그램의 경우 밀도 깊은 관계형성을 전제로 한 프로그램의 특성 상 참가자간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얻게 된 만족도, 즉 Group Dynamics를 통한 친밀감 형성 만족도가 만족도 영역에 포함되며, 각 6개 영역별 질문도 1-2문항씩 추가되어 내용타당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176


프로그램별 사회복지 서비스 만족도의 상위 요인 구성 라이언트의 프로그램에의 참여(이용)정도, 프로그램의 내용과 특성, 진행 사회복 지사나 자원봉사자 또는 기타 인력, 시설 및 이용 환경, 클라이언트의 만족도(또는 변 화정도)의 5가지 요인은 사회복지 서비스의 만족도조사에서 반드시 들어가야 할 공통 요인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그렇다면 프로그램별 개별요인으로는 어떤 것들이 고려되 어야 하는가? 이는 프로그램이 어떤 것인가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공 통요인이라 하더라도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또는 특성에 따라 하위문항의 구성 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방향에 대하여 한번 살펴보도록 하자. 만약 소집단 상담프로그램이라면 어떤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하는가? 공통요인 의 5가지는 큰 차이가 없겠을 것이다. 그렇다면 집단상담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성을 반영하는 부분이 만족도 영역에 포함되어야 타당할 것이다. 그렇다면 집 단상담의 독특한 특성-다른 프로그램과 구별되는 특성이 무엇이 있는가? 바로 집단의 응집력이다. 집단 구성원간의 관계와 협력성, 공동체성의 형성과 서로간 의 상호작용 등이 집단상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프로그램 과정이다. 이것이 프 로그램과 구별되는 것은 프로그램은 구체적으로 계획되고, 가시화되어 사회복지 사에 의하여 진행되는 것인 반면, 집단의 응집력은 집단 구성원의 긍정적 상호작 용에 의하여 강화되어진다. 그리고 집단응집력은 물리치료나 사회교육 프로그램 이용자 만족도에서는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없다. 클라이언트의 참여정도도 결석횟수나, 클라이언트의 의지 등 좀더 세심하게 다루어져야 하며, 사회복지사와 의 관계에서도 상호작용에 관한 부분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통제변수로는 문제유형과 욕구 , 기존의 유사 프로그램 참여경험 등이 더 고려되어야 할 것이 다. 사회교육 프로그램 이용자 만족도라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할 것인가? 사회교육 의 특성은 행정절차가 중요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즉, 다양한 프로그램 중에 서 선택해야 하고(이것은 전문프로그램의 선택폭과 비교하면 매우 넓으면서도, 중요하다), 일정기간내에, 선착순으로 접수해야 하는 것이 통상적으로 대두되는 문제이다. 또한 부득이한 경우 환불이나 강좌변경 등이 자주 발생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행정절차와 관련된 부분이 강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각 프로그램들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은 그 프로그램의 담당자가 역시 가장 잘 알 것이다. 이 역시 경험적 상상력을 통하여 체계화되어야만 할 것이다. 그렇다면 더욱 유용하고, 실용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이용자 만족도 조사가 될 것이 다. 출처 : 우수명(2002), TP 사회복지조사, 인간과복지. 클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77


2) 과정분석 Process Analysis

환경, 이미지, 인력, 준비 프로그램 자원봉사, 참가자, 운영(진행)능력 -> 사전준비, 진행, 종결과정 상의 각각에 대하여 적정한 영역으로 배분한 후, 분 한다 석

사업수행평가는 과정평가분석(Analysis of Processing Evaluation)을 위한 것으로 성과평가에서 흔 히 놓치기 쉬운 프로그램의 준비, 진행, 종결 및 그와 상호작용하는 인적, 환경적 요인과의 관련성 을 프로그램의 과정에 따라 분석해 가는 기법이다. 따라서 질적관찰연구가 중심기법이며, 충분하게 훈련된 연구원이 완전관찰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필요한 것이 질적 관찰에 있어서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평가틀의 개발과 적용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질적 관찰이 전체적인 연구목적에 적합하도록 해야 함과 어느 수준의 일관성을 갖기 위해서는 사업수행과정을 보다 세분화하여 반구조화 수준으로 질적관찰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의 관건은 질적평가도구의 내용을 프로그램 평가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는가의 문제이며, 이는 이용자만족도 조사와 PASSING의 내용을 응용하여 구성한 프로그램의 구조분석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프로그램의 구조분석은 PASSING의 이미지 영역과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을 구체화한 내용을 토대 로 프로그램의 구성요인을 분석한 뒤, 반구조화시킨 것이다.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되는 현장 환경의 이미지와 묘사, 프로그램 적합성의 이미지, 프로그램과 프 로그램간의 병력이미지 등은 PASSING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그램의 실행의 장(setting) 환경을 둘러싸고 있는 영역에 대한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참가자들의 특징은 프로그램의 대상이 되는 청소년들로 일반청소년과 자원봉사청소년들로 구성되 어 있다. 만약 자원봉사 청소년이 없는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이 영역에 대한 분석은 제외된다. 참 가자들의 특징은 외형적 특징, 표정 등도 PASSING의 이미지분석을 토대로 구성한 것이며, 인터뷰 나 면접 기록 등을 통하여 이를 보완하도록 구성하였다.

178


<표 7> 반구조화된 질적평가도구

Ⅰ. 방문개요

Ⅱ. 방문기록

방문일자, 방문장소, 수행단체명, 담당자명, 방문자, 특기사항 캠프 및 야외활동의 경우 안전점검 체크리스트(7개 영역 22개 안전점검 인 문항) 추가

1. 현장 상황에 대한 묘사 1) 현장의 전경, 일반적 특성, 상황 2) 현장이 주는 프로그램 적합성/안전에 대한 이미지 3) 기타 현장 상황 2. 참가 청소년의 특징 1) 참가자 현황 : 학력, 성별, 참여인원수, 단체소속여부 등 2) 참가자들의 외형적 특징, 이미지 3) 참자가들 인터뷰 또는 면접기록 4) 기타 참가자와 관련된 사항 3. 자원봉사자의 특징 1) 자원봉사자 현황 : 학력, 성별, 참여인원수, 연령 등 2) 자원봉사자의 외형적 특징, 이미지 3) 자원봉사자와의 인터뷰 또는 면접기록 4) 기타 자원봉사자와 관련된 사항 4. 사업수행 직원의 특징 1) 사회복지사 및 직원 현황 : 직위 및 인원현황 2) 직원 외형적 특징, 이미지 3) 직원의 태도/전문성 4) 기타 직원의 특징 5. 프로그램 진행과정 1) 프로그램 준비과정 2) 프로그램 진행 및 종결과정 3) 기타 프로그램 진행과정에 대한 특징 4) 성과 달성에 미치는 프로그램 진행의 유효성 6. 기타 현장방문활동 특징 7. 의견 및 제언

사업수행 직원의 특징은 실제로 사업을 수행하는 지도력에 대한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이 역시 직 원들이 보여주는 전문가적 이미지와 실제 사업수행의 태도나 진행능력에 대한 관찰기록을 평가하 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진행과정은 실제로 프로그램이 준비되고, 진행되고, 종결되는 과정에 대한 관찰로 본 사 업수행평가의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각 단계별로의 유기적 연계와 사업성 과와의 연계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 외의 것으로는 현장방문활동의 특징과 기타 의견 및 관찰자 제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 그램의 구조분석의 구체적 내용은 <표>와 같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79


사업수행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관찰평가활동을 수행한 연구자들간의 의견일치라고 할 수 있 다. 본 평가에서는 연구자간 의견 일사원칙을 적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동일한 시점에서 관찰평가 를 수행한 연구원의 평가결과가 일치되는 경우 그 의견을 반영하였다. 그러나 한 연구원이 우수라 는 평가를 내렸으나, 다른 연구원이 동의하지 않는다면 이에 대한 관련자료나 내용으로 전체토론 을 통하여 최종결론을 내렸다. 전체토론에서도 어떤 특별한 결과가 반영되지 않았을 경우 더 높은 점수를 준 연구원의 의견에 따라 높은 점수를 주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전체토론을 통하여 결 정되지 않을 만큼 대부분의 사업들에 대한 평가연구원의 의견은 거의 일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 다.

3) 자기분석 - 강점약점Swat/ 메타평가

자기기입식 평가 자기기입식 평가는 성과, 산출, 그리고 SWOT 분석에 기반하여 구성되었다. 특히, 자기기입식 평 가에서는 단체 스스로 자신들의 사업수행 결과를 분석해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SWOT 분석의 관점의 중요성이 특별히 강조된다. 이는 자기 스스로 평가하는데 있어서 강점과 약점을 얼마나 잘 분석하고, 이에 따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증대시키고, 위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각 을 얼마나 객관적으로 견지하는가가 중요한 판단의 근거가 된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2가지 기준 이 평가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한다. 첫째는 객관성의 견지이다. 자기기입식 평가에서는 장점만을 나열하게나 약점만을 나열하여 객관 적 시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부정적인 평가를 받게 되는 반면에 강점, 약점, 기회, 위협 등을 적 절하게 분석하여 객관성을 유지할 경우에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게 된다. 특히, 이 4가지 영역의 평 가가 평가단 평가와 일치할 때 더욱 그러하다. 둘째는 신뢰성의 견지이다. 평가단 평가와 자기기입식 평가간의 괴리가 크게 날 경우에는 그 평가 는 평가단에서 잘못된 평가를 하였거나 사업수행단체에서 잘못된 평가를 하였거나 둘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이 경우 서로간의 신뢰성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때 타당하고 명확하고 구체적인 근거자료를 얼마나 정확하게 제시되는가에 따라 평가결과가 달라지게 될 것이다. 만약 그 근거를 명확하게 찾지 못한다면, 자기기입식 평가결과에 대하여 신뢰할 수 없다는 판정을 내리게 될 것이 다.

180


<표 9> 자기기입식 평가내용 평가 항목

평가기준 (점수)

평가 내용

실인원 및 연인원의 달성 비율로 4대 영역에 따라 표준화 상대적 중요성 낮음.

목표인원 달성 한 후, 가중치 부여 후 분석.

긍정적, 부정적 변화 및 변화 요인에 대한 분석으로, 대상자의 변화정도 대상자의 경험적 관찰자료와 계량적 자료를 근거로 평가

합목적성 사업계획서의 목표에 따른 사업의 수행 과정의 적절성에 /효과성 /충분성 목표 달성 수행과정 대한 평가 활동 실적 모두 포함

에 제시된 목표중심으로 목표달성의 경험적 관찰자 목표달성 평가 Proposal 료와 계량적 통계자료의 제시 파급효과 파급효과의 경험적 관찰자료와 계량적 통계자료의 제시 예산의 프로그램 집행비 지원비 대비 순수 프로그램 집행비 평가 효율성 예산관리 예산 사용의 적절성 및 관리평가 투입시간 및 인력 프로그램에 투입된 인력 및 시간에 대한 평가 합리성 /노력성 진행일정 관리 프로그램 계획 및 실제 진행 과정에 대한 평가 진행개선 방안 프로그램 원할 진행을 위한 개선마련 4) 가치평가 -> 청소년의 주체적 성장 : 중장기적 성과에 반영 청소년의 자치모임 등을 기준으로 내부 토론을 실시함.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81


미디어와 청소년 춘 아 (보라매청소년수련관 상담팀장/프로 트 팀 헤모 supervisor) 김

1. 문화의 흐름과 communication의 변화

혼자라 해도 의사소통을 한다. 어린아이는 곰돌이 인형을 바라보면서 중얼중얼, 가끔씩 혼자 웃기도 한다. 청소년들은 컴퓨터 앞에 앉아서 름, 열을 다. 아무것도 가지 고 있지 않은 홀로된 노인은 젊은 날의 자신을 불러내어 이야기하고 혼자 운다. 우리는 누군가와 만나고 이야기하고 사랑하고 아가고 그리고 그 대상을 조종하고 싶 어한다. 이리 와 주겠니? 로 돌아 . 이것이 진실이야, 등등... 서로 코드가 맞으면 행복 한 만남을, 전 다르면 상처가 남는다. 때로는 중요한 가치를 교환하기도 한다. 의사소통 은 시지를 주고 받는 것이다. 그리고 보내는 이는 받는 이가 그로 인해 변화되기를 바란 다. 그래서 미디어를 발달시키고자하는 욕구는 다른 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통제하고자하 는 욕구와 같다 할 수 있다. 초기 인류는 의사소통을 위해 다리 품을 팔았다. 일단 같은 공간에 동일한 시간에 만나 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전달 수단은 온몸과 갖가지 상징과 기호들로 풍성했으며 이를 전 달받고 이해하고 숙지하는 데는 일정 시간이 필요했다. 특별히 소리는 문자 언어가 빈약했 고 제한 적이었으므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다. 따라서 수용자는 잘 고 깨달아야 했으며 자연스럽게 지혜로운 어른들에 의해 의사소통은 주도되었고 장소는 가정이나 부락의 범위 를 넘지 않았다. 지혜로운 이들의 직관과 감성은 오 세월에 걸쳐 서서히 전수되었다. 전통과 풍습등 오 시간을 르면서 여진 다양한 의미들은 주로 말(oral language)을 통해 전달되었다. 천천히 큰 강물처럼 아래로 아래로 흘러 다. 사람은

15세기 구텐베르그에 의한 인쇄복제술은 의사소통의 혁명을 가지고 왔다. 문자라는 간단 하고 정밀한 기호로 사람들의 생각과 살아가는 방법들이 쓰여지고 인쇄되어 대량으로 만 182


들어 접근이 용이해졌다. 사람들은 지혜를 책에서 찾았고 어른들의 자리는 지식인들이 자 리 잡았다. 아이들은 학교로 보내졌고 전통에 의해 누리던 권위는 새로운 지식 앞에 힘을 잃었다. 문자를 해독하는 능력이 필요했고 더 많은 문자를 해독할수록 힘이 세어졌다. 감 성적인 능력보다 이성과 논리가 중요했으며 사람들은 논리와 설득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 했다. 오랫동안 문자가 의사소통의 우위를 차지하고 있으면서 사람들은 문자에 중독 되었다. 글로 쓰여진 것은 강력한 힘을 가지고 사회를 유지해갔으며 놀라운 학문적 업적들이 학교 를 통해 쉼없이 전달되었으나 문자형이 아닌 사람들, 감성적이고 즉흥적이며 느낌을 중요 시하는 사람들은 점점 열세로 밀려났다. 20세기 등장한 전기 에너지는 폭풍처럼 세상을 흔들었다. 쉬지않고 일하는 기계가 생겼 고 대량생산된 물건들은 팔릴 곳을 찾아 시장전쟁을 불가피하게 했으며 전파는 학교 담 장은 물론 국경을 넘었고 지구는 village가 되었다. 국가가 전략적으로 의사소통을 조종하 기 위해 언론은 대형화 첨단화되었으며 정보를 걸러내는 다양한 장치들이 생겨났다. 사람 들은 방에 앉아패스트푸드를 먹으면서 TV수상기를 가족처럼 여기게 되었다. 감각은 깨어 나고 이성이 둔감해지는 현상들이 생겨나고 대량메시지에 대한 분별과 통제를 상실하기도 한다. 21세기는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의 시대로서 고도로 발달된 연결망을 구축할 것이며 그 중심에 컴퓨터가 자리하고 전기(자)는 인간을 통제하는 실질적인 힘이 될 것이라고 한 다. 이제는 공급자와 수용자가 쌍방에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전자문화의 코드에 익숙하 고 빠른 사람이나 집단에 의해 정보가 통제되는 가상현실의 세계로 들어섰다. media의 진화(?)를 가속시킨 디지털은 정보가 ‘생존’의 조건으로서가 아닌 ‘생활’의 조건으 로 다가오게 된다.

2. ground 와 figure 21세기 전자 미디어 시대에 의사소통하는 청소년들과 문자문화적인 어른들과 차이는 무 엇일까? 현장에서 청소년들을 만나야하는 지도자들로서 이것은 중요한 영역일 것이다. 디 지털로 진화를 거듭하는 미디어시대에 각종 전자매체에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식은 연상 언어라는 조금 다른 코드로 표현된다. 영상언어는 설명과 논리적인 일관성과 흐름의 언어 가 아니라 보다 감각적이고 회화적이며 통합적이다. 어떤 대상을 표현할 때 설명보다는 느 낌을 말함으로써 전달하고자 한다. 가장 쉽게 만나는 영상언어의 진수를 광고를 통해 자주 만날 수 있다. 광고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하며 짧은 시간에 제품의 이미지를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83


각인시키고 구매하는 행동으로 연결시키는데 효과적인 고도로 계산된 언어를 조합하여 만 든다. 전자매체에서 사용되는 언어 대부분 광고형식을 따르고 있다. 사실이나 내용보다 그 것을 표현하거나 전달하는 방법에 주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교실에서 교사가 전달하고 자 하는 것은 지식이다 . 우리는 이것을 figure 라고 부른다. 그런데 는 청소년들은 어 게 표현하는가 혹은 전달하는 교사에게 저 주목한다. 교사의 교수법이나 심지어 그의 인격등을 자신이 배우는 학문과 비중을 같이 다. 이때 교사는 figure 를 만들어주는 ground 라고 한다.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시점에서 팔고 있는 물건의 기능은 figure 라 할 수 있고 시점은 ground 다. 전달하고자하는 시지가 figure 이고 그것을 전달하는 다 양한 매체나 방법은 ground 라 할 수 있다. 전자매체시대에 사용하는 언어의 기본은 figure 보다 ground 우선이다. 유아동기 교육은 ground 중심인 반면 학령이 올라갈수록 figure 중심으로 변화하는 데 실생활은 도처에서 ground 중심으로 자극하고 있다. 전통적인 교육방법을 고수하는 세대들은 정돈되고, 반듯하고, 강의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일체의 것들을 사용하지 않는다. 언어로 전달하는 강의나 수업내 용이 가장 핵심적인 것이고 다른 것들은 사실상 도움이 되지않고 오히려 산만해질 것이라 고 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학교는 건물에서부터 설득적이다. 그곳을 바라보며 감동하는 사람들은 아미 지극히 특별한 소수일 것이다. 듣

미디어교육에서 강조하는 ground 는figure 를 둘러싸고 있는 분위기만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우선적으로 그렇게 접근하겠지만 좀더 세련되어지면 두 가지는 일치되어 구별이 불분명하다. 예를 들어 경지에 오른 장인이나 영적지도자는 그 자신과 그의 언어와 행동이 전체적으로 메시지화 된다. 그의 삶이 바로 전달하고자하는 것이 되는 것이다. 아름다운 영상작품에 메시지는 영상언어와 따로 돌지 않는다. 현실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그것은 이상이다. 그러나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교육과 훈련을 통해 어느정도 일치를 이루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리적인 환경, 시각적인 이미지, 태도, 전달방법, 내용을 싸는 포장에서부터 대상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좋은 환경은 상상에 있지 않고, 말 속에 있지 않고 보이고 느끼고,만져지 고 호흡하는 것이다.그리고 내가 하고싶은, 주장하고 싶은, 반드시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 를 담는다.

184


“아버지, 맥루한 교수는 말이죠, 인 간이 창조하는 환경이 오히려 인간 의 역할을 한정시키는 미디어가 된 대요. 문자의 발명이 행동으로부터 사상을 분리시켜 수직적 사고(思考) 내지 인과적(因果的)사고를 창출해 낸다는 군요. 이제 TV와 포크송으 로 사고와 행동의 거리는 좁혀지고 사회적 몰입은 더욱 높아진답니다. 우리는 다시 옛날과 같은 마을에 살 수 있게 되는 거죠. 아시겠어요?”

드로잉 - 알랜 던, 뉴요커지 1996년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85


미디어집단상담 프로그램 김 태 황 (서울청소년문화교류센터 미지 프로그램 팀장)

1. 탈출하자

탈출이란 단어에 집중해 본다. 탈출...구속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해, 위험과 위기감으로 벗어나 안전하기위해...억 무언가로부터 다른 대안을 찾아 떠나는...이런 의미가 있지 않을까?

하는

아이들은 왜 탈출하려 하는가? 그렇다면 그러한 탈출은 아이들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사회를 경험해 보기 위한 수단으로 탈출을 선택할 정도로 우리의 아이들이 진지하지 못 함을 탄복하기 전에 벼랑 끝에 내어몰린 우리 아이들의 현실을 직시하자. 혹시 어른들은 청소년을 바라보는 관점이 늘 언제터질지 모르는 불발지뢰로 보호하려 하 는 것은 아닐까. 청소년문제가 마치 청소년문화의 전부인양 떠들어대야 사회적으로 집중받고, 학자로서 연 구성과가 늘어난다고 생각하는 일부 지식인들의 말빨(?)로 아이들의 탈출문화를 해석해 냈 을 때 우리 아이들이 받을 상처가 얼마나 큰지 생각해 보자.

탈출하자. 불발지 로 보이는 고정관념으로부터 탈출하자. 어른들의 이유없는 감금으로부터 탈출하자. 새 세상을 만날 수 있다면 탈출에 큰 의미를 실어보자. 그 탈출이 시작이 되어 삶의 새로운 미래를 발견할 수 있다면 맘 탈출하자. 뢰

186


2. 청소년문화 만들기

― 청소년문화의 중요성과 미디어 1) 청소년문화활동의 중요성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문화와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생산력의 소유유무, 정보사회의 의사소통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생산성 확보에 의해 개인의 삶과 복지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른바 청소년문화는 청소년개인과 집단에게 자의식과 청소년의 인권, 복지와 밀접한 연관 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즉 새로운 문화의 생성과 급진적 변화의 경향을 발전으로 볼것인가, 반작용으로 볼 것인가 에 따라 그 본질과 무관하게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으며, 정보의 통제(정보의 통제는 인 권과도 연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과거 우리사회에서도 정보를 쥐고 있는 것은 곧 권력과 직결되는 역사적 사건을 무수히 겪어왔고 현재 역시 그와 크게 다르지 않다)와 무관한 막 대한 정보의 스크리닝과 필터링의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 청소년문화를 기성문화의 시각에서 바라보게 되는 정체감없는 미숙한 문화로 바라보는 시각이나, 비행문화와 동급으로 바라보는 시각, 기성문화에 반(反)하는 저항문화 혹은 터질 듯 부풀어오른 풍선처럼 이미 그 문화적 한계나 포화상태처럼 보는 시각등은 청소년 문화 의 이해와 그 서비스에서 왜곡된 경험과 이론을 흡수하기 쉽다. 문화는 어른들이 만들어놓 은 것은 집어먹는 것이 아니며 그 주체로서 청소년이 존재하기에 그 문화만이 가지는 특 질과 철학을 갖게된다. - 지금 우린 청소년문화를 미덥지못한 시각과 저항적 성격으로만

까?

파악하고 있는 것은 아

- 기성문화가 청소년을 신뢰하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 그 불신의 싹이 청소년문화를 젖먹이에게 미음 떠먹이듯이 수동적으로 만들어가는 것은 아닐까? 이러한 의문은 청소년 문화의 해석과 그 서비스 전달체계, 문화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한 현 장중심적 접근과 그 서비스전달체계, 문화서비스 프로그램등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이고 대안적 접근이 필요하다. 문화란 무엇이며 청소년문화는 존재하는가에 대한 질문은 지금껏 여러 논문과 저널에서 다루었다. 정리하면 문화는 그 문화를 향유하고 있는 구성원이 공유하며 역사성을 기반으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87


로 통합된 형태로 구현된다. 청소년문화는 이러한 문화의 정의에서 볼 수 있듯이 청소년기의 인격체들이 자기들의 방 식으로 사회화되는 삶의 과정이다. 이것은 마치 거미줄처럼 얼기설기 얽혀서 전체를 구성 하는 형태를 띤 양상이며 청소년의 삶을 투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이 건강한 문 화를 가지는 것이 청소년의 삶이 투영된 내적, 외적 삶의 건강을 재어 볼 수 있는 가늠이 가능한 척도임에 더욱 그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즉 청소년문화는 청소년(개인과 집단)을 비추어 보여주는 거울이다. 모든 세대가 그러하듯 그 세대가 가지는 독특한 문화형태가 있다. 청소년기에 청소년이 가 지는 문화형태가 청소년의 삶을 조망하는데 가장 두두러진 외적 형태를 가지게 되는 것이 며 그것은 그 문화를 구성하고 있는 청소년 개인의 빈곤/풍요한 인간적 삶을 보여준다고도 할 수 있다. 사회로부터 분리되어 살 수 없듯이 사회구성원은 그 문화권에서 분리되어 살 수 없다. 바꿔 말한다면 문화는 인간적인 생존방식의 또 다른 구체적 표현방법이며 이는 청소년복지의 과제이다. 청소년복지에서의 문화적 접근, 문화적 서비스는 청소년의 요구와 교육, 성장발달에 따른 치료와 적응훈련등을 포괄하는 거시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문화서비스는 이런 특질을 가지는 청소년문화를 전달체계로서 엮어주는 역할을 한다. 더욱 이 청소년복지가 청소년의 삶을 보다 풍요롭고 인간답게 하는 역할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 이 청소년 삶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그들의 문화'라고 본다면 더욱 중요하다. 문화가 삶을 투영하고 있다면 문화서비스는 청소년 개개인의 삶이 자아를 찾아가는 막대한 인생 과업에서 다양한 선택적 권한을 갖게 해준다. 여기에서 문화서비스가 청소년복지의 실천분 야인 것은 두말할 나위 없다. 문화서비스의 실천방법은 청소년과 서비스 전달체계안에서 정체감과 의식적 자아성취, 청 소년개인이 가지는 특질에 대한이해, 심미적 자아발견, 공동체에 대한 이해이다. 정리해 본다면, 청소년에게는 서로 다른 정보로 가득한 자기만의 세계관이 있다. 이것이 너무도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워커는 이미 그것을 알고 있다. 최소한 청소년복지 실천 현장에서는 알고 있다. 즉, 청소년복지에서 집단의 이해 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개별화의 원리이다. 이 이론에 대한 몰이해는 마치 청소년복지에서 주장이, 몇몇의 돈 많고 시간남는 재력가가 청소년을 돈을 발라 예쁘게 포장하는 것이라는 왜곡된 시각을 갖게 한다. 청소년기와 그들 의 문화는 시시각각 변화한다. 청소년복지의 현장에서 우리는 이러한 변화를 따라가려 한 다. 문화서비스는 그렇게 청소년문화를 따라가거나 앞질러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실 패는 불보듯 뻔하다. 중요한 것은 그 문화의 코드를 읽어내는 작업이다. 우리는 이미 문화 서비스 체계안에 발을 담구고 서있다. 188


2) 청소년복지의 화두는 '문제'여야 하는가?

<청소년>하면 떠오르는 단어를 이야기 하면 빠짐없이 '젊음과 희망'에 대한 이야기와 한 켠에 움켜쥐고 있는 '비행과 일탈'이 동시에 나온다. 하지만 <청소년복지서비스>라는 어감으로 출발하면 비행과 일탈, 그에 따른 치료와 보호 서비스에서 맴돌게 된다. 청소년복지=문제의 해결이라는 일차원적 등식으로만 접근할 수 없다. 청소년을 만나면 먼저 '인격체'로서 청소년을 만나지 '잠재적 문제아'로서 청소년을 만날 수 없다. (이것을 왜곡해석해서는 안된다. 현재 청소년을 만나는 사람들이나 프로그램 이 그렇다는 의미가 아니다) 가출과 비행으로 표현되는 문제청소년도 환경등의 어떤 영향으로든 자기표현방식의 역기 능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오히려 그 문제 불거져 나와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문제를 치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 하지만 그것조차 함부로 내어놓기 힘든 청소년은 어디에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 그 대 답은 침묵이거나 또 다른 양태를 띠는데 그것이 외적으로 드러나는 청소년문화의 단면이 다. 하지만 문화적 생산양식에 있어 청소년이 문화산업 또는 상업적 성공여하를 결정할 만큼 청소년은 문화적 욕구를 보여주고 있지만 자기문화의 생산공정을 청소년의 의지로 주류화 시킬 만큼 영악하지도 않고 청소년문화서비스의 다양한 메뉴는 고갈되어 있다. 제도교육에 서 우리는 이미 그것을 기대하기 힘들다. 청소년문화를 지적생산공정을 거친 통조림으로 제조된 상품이 아니라 경험에서 체득하게 되는 삶과 사람냄새가 묻어나야 한다면... 그것으로 청소년이 미래의 자기를 만나고 문화적으로 살쪄야 한다면 더욱 그러하다. 제도교육안의 목표가 청소년문화의 본질적 특성을 경험할 수 없게 하는 것이라면 지금까 지는 매우 성공적이었다. 그 문화적 해소방식의 오류중 하나로, 혹은 일탈의 수단으로 아 이들은 편애하는 몇 명의 스타에게 매달리는 대안적 자기표현수단인 문화적 아이콘을 숭 배하며 일련(一連)의 자기표현도 거부한다. 다른 측면으로 보면 청소년은 자기표현을 어른들로부터 거부되어 온것이기도 하다. 청소년 문화는 청소년은 고정된 세팅으로 끼워넣을 수 없음을 인식하고 있지만 실천이 힘든이유 는 다른곳에 존재한다. 실천적 결함은 지금껏 문제아의 치유에만 몰두하여 언제 터질지 모 르는 활화산같은 잠재적 문제아를 만나왔기 때문이다. 그것이 청소년문화가 가질 수 있는 발전적인 경향성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청소년문화를 성인문화의 아류로 취급하는 통념이 가진 한계안에서 해석하 려고 하는 것은 지금 의 청소년문화 서비스 체계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프로그램의 양적, 질적 내용으로 본다면 기우로 그치지 않는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89


3) <미디어활동>은 청소년복지와 문화서비스의 영역이다.

청소년문화서비스에서 미디어의 접근은 매우 구체적 방법론에 해당된다. 미디어는 인간의 확장이며 동시에 의사소통의 열쇠이다. 매스 미디어의 영향력과 디지털 미디어의 변화추이와 그 문화를 낯설고 어눌한 방식이 아 닌 매우 적극적으로 자기 문화화 시키는 청소년문화에서 그 코드를 읽어내고 청소년문화 를 건강한 문화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접근방법이다. 청소년과의 의사소통에서 미디어로의 접근은 청소년의 언어를 이해하는 것이며 청소년복 지의 워커가 미디어언어를 이해하는 것은 청소년과의 의사소통방식을 배우는 것이다. 이것 은 언론학의 접근과 영상학의 접근이 아니라 의사소통을 다루는 청소년복지의 영역이다. 집단의 역학을 이해하고 다루지 못하는 미디어(=워커)는 아이들의 문화안에 침전할 수 없 다. 즉 대화가 단절될 것이다. 임상으로 다루어지는 집단역시 이러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우리가 청소년상담의 성 장집단에서 아이들이 사용하는 언어의 사용을 택하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최고이자 최초의 미디어는 ‘자아’로부터 출발한다. 미디어집단상담은 건강한 매체체험을 통 하여 미디어인 ‘나’를 발견하고, 가치로운 미디어인 ‘자아’의 성숙을 도모하는 집단상담이라 할 수 있다.

3. 미디어 집단상담 프로그램 1) 미디어집단이란

미디어집단은 기존 예술치료에서 사용하는 도구를 사용하는 접근법이 아니라 매체체험을 통한 자아성장을 돕고 자아존중감과 미래의 비전을 찾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다. 즉 프로 그램 참가자가 건강한 ‘미디어’임을 인식하는 임상적 접근이다. 그 미디어가 가지고 있는 특성과 철학이 있기에 가능한 영역을 발견해 내는 작업이다. 최 고의 미디어는 인간이며 모든 미디어는 인간으로부터 연장되어 생명력을 가지게 된다. 즉, 기계적이지 않다. 인간으로부터 생명력을 부여받고 메시지를 가지고 의미가 된다. 미디어 집단은 최고의 미디어인 ‘자아’를 발견해내는 집단상담이다. 미디어인 ‘나’를 발견하고 ‘나’ 의 중요성과 존중감을 느끼고 실천해 가는 집단과정안에서 청소년문제의 해결점을 스스로 찾아내게 한다. 그것은 일종의 놀이로 진행되지만 실제로 쉽고 편하고 자신있게 미디어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자아’에 다다를 수 있고 표현의 다양성으로 인한 자신감을 190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집단을 다루면서 가장 많이 느끼게 되는 것은 과연 청소년에게 ‘자아’에 대한 성찰과 탐 구가 어느정도 있는가...에 대한 회의다. 하지만 청소년기는 발달과제를 가지고 있으며 발 달단계상 혼란을 겪는 시기임을 인식하고 있다면 이것은 표현과 사용하는 미디어(말, 글, 몸짓을 포함한 미디어)의 어눌한 사용임을 알 수 있다. 문제를 가지지 않고 사는 인간은 없다. 그 정도의 차이와 경중에서 오는 상대적 빈곤감등 이 더욱 문제가 된다. 더구나 흔히 말하는 문제를 포함하고 있는 청소년은 자신의 미래에 대한 설계를 유보하고 있기 쉽다. 기회를 박탈당하고, 경제적 빈곤을 겪고, 문화로부터 결 핍되기 쉽다는 것이다. 미디어 집단은 청소년이 사용하는 언어체계에서 가장 적확한 것을 찾아내어 흥미롭지만 진지하고, 어눌하지만 정곡을 찌르는 자아확립의 여건을 조성해 주기 위한 집단상담작업이 다. 2) 미디어 집단상담 사례 1.

67)

◑대상 : 청소년쉼터 보호청소년 ◑호소문제 : 가출로 인한 자아존중감 결여, 진로탐색 의욕상실 ◑상담목표 : - 매체로 객체화시켜 자아를 발견한다. - 진로와 그에 따르는 고민을 현실로 구체화시켜보고 자신의 미래를 준비할 수 있게 한다. - 매체체험을 통한 집단내에서의 자기역할 및 자아존중감을 갖게 한다. ◑한계 : - 단기보호서비스여서 집단 구성이 원활하지 못하다. - pre-work을 포함한 총 6개의 session으로 진행되므로 프로그램적용의 한계를 갖는다. 낸

67) 이

프로그램은 2001년에 청소년쉼터 우리세상에서 주최하고 미지센터와 프로

관한 집단상담이다.

팀 헤모가 주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91


개 요 ❶ 진행일정

Pre-work : 개별 인터뷰 : MMTIC검사 - 검사결과 총 7명중 5명이 SP 기질을 가지고 있으며 2명은 NF. session1. 명동의 사람만나기 Warm - up 1분경험하기 : 1분간 알고 있는 연예인 이름 많이 : 1분간 눈을 감고 시간맞추기 ①

( 시간은 어떻게 사용하는가... )

: : : :

명동에서 만난 사람 명동에는 어떤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있을까? 영상으로 직업을 담아온다. 20년후 이 장소에서 나를 찍는 사람이 있다면 나는 어떤 사람으로 보일까? 무엇을 해야 할까?

준비물 : 워크시트, 비디오 카

session2. 영상에 담는 “나의 다큐멘터리” Warm - up 들리는 소리 : 종이에 지금 현재 들리는 소리를 적는다. : 남들이 들은 소리와 내가 들은 소리를 비교한다. ( 노력하지 않으면 보이지도 들리지도 않는세계... ) ①

30초 인터뷰 만들기 : 10년후에 "우리세상"에 : 메시지 영상으로 담기 : 상호 촬영해주기

192

오는 청소년인 후배에게 전하는

시지 만들기


준비물 : 워크시트, 비디오 카

session3. 이름이 갖는 의미 Warm - up 내 이름의 의미 : 이름을 생각해보자 어떤 의미가 있을까? : 그렇게 불리워지게 된 것에는 이유가 있는 법. ( 이 이름에 이 얼 을 가진 사람은 세상에 단 하나 ‘나’ ) ①

: : : : :

인터넷검색 인터넷에서 내 이름과 같은 사람들을 찾아보자 엠파스, 구글 어떤 사람들이 있을까? 인쇄할 주소를 알아내고 인쇄한다 나와 같은 이름의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가?

준비물 : 워크시트, 인터넷 사용가능한 컴퓨터와 프린터 session4. 프레젠테이션과 피이드백 Warm - up 프레젠테이션 : 촬영한 비디오의 편집본을 보고 느 ①

나누기

풀이 - 공연장에서 만난 아이들 : 연극공연관람 : 왜 아이들이 연극을 할까?

② 뒤

준비물 : 비디오편집기, 비디오 데크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93


❷ 집단활동기록

집단명 일 시

보호청소년 2001년 11월 21일 14시00분~16시00분 7명

프로그램명 미디어집단상담 장 소

미지센터

집단구성원 활동진행자 김태황, 최지선 활동목표 타인의 직업에 대한 간접경험으로 자아 탐색 ①

활동내용

Warm-UP

시간의 사용 : 1분간의 경험 우리는 이 시간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생각하기 ② 매체적응하기 비디오카메라 : 주제를 가진 마구찍기 ③ 매체사용하기/ 매체로 바라본 직업에 대한 이해, 명동거리에 있는 직업세계촬영 ④ Role Reversal 내가 누군가에게 촬영된다면 나는 어떤 모습 일까

참가자 평가

시간이 너무 빨리 지나간다. ② 조금 더 했으면 좋겠다. ③ 평소 보지 못했던 직업에 대해 알게 되었다. ④ 불투명한 내 미래에 대한 약간의 투정(자신에 대한) 이 있음. ①

평 가

194

전체평가

- 매체에는 비교적 빨리 적응하고 쉽게 사용함 - 카메라와 사람들 간에 ‘거리두기’를 통하여 진행되었으며 평소 쉽 게 지나칠 수 있는 다양한 시선들에 대한 고민거리가 생김. - 오리엔테이션 이후 자신을 드러내기에는 미숙함 - 미래에 대한 상이 불분명하고 어떻게든 살겠지...등의 의견이 나옴.


집단명 일 시

보호청소년 2001년 11월 22일 14시00분~16시00분 5명

프로그램명 미디어집단상담 장 소

미지센터

집단구성원 활동진행자 김태황, 최지선 활동목표 미래의 내 모습 만들기 ①

활동내용

Warm-UP

들리는 소리 : 1분간 들리는 소리 적기 보이는 사물 : 2분간 보이는 사물 적기 - 보려고 하지 않으면 보이지 않고 들으려고 하지 않으면 보이지 않는다. ② 인터뷰 콘티 쓰기 10년후 우리세상에 오는 후배들에게 주는 다큐필름 만들기 콘티 작성 ③ 매체사용하기 인터뷰 : 찍는 사람이 선정한 한명이 촬영하고 어떻게 찍을 것인 지 앵글 설정해줌 ④ Preview 화면으로 드러난 나의 모습보기

참가자 평가

① ② ③

평 가

재미있는 것만 했음 좋겠다. 평소 보지 못했던 직업에 대해 알게 되었다. 불 명한 내 미래에 대한 아규가 있었음... 투

전체평가

- 워밍업시간에 단기적인 집중력이 강한 것을 알게됨. - ‘가출’에 대한 문제를 직면하게 함 - 직면한 문제를 회피하고자 하는 아이는 끝내 인터뷰를 거부하였으 나 친구들이 촬영하는 동안 계속 옆에서 지켜보면서 관심을 가지게 됨. - 프리뷰가 끝난뒤 2차 촬영에 대한 의견이 있었으나 몇 명의 거부 로 무산됨.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95


집단명 일 시

프로그램명 미디어집단상담

보호청소년 2001년 11월 23일 14시00분~16시00분

장 소

미지센터

집단구성원 5명 활동진행자 김태황, 최지선 활동목표

‘나’는 어떤 의미를 소중한 ‘나’ 경험 ①

활동내용

갖는 사람인가

Warm-UP 이름의 의미 : ‘여름’은 왜 여름일까? 내 이름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생각하고 이야기 하기 매체적응하기 디지털매체 사용 : 인터넷검색엔진 소개(야후/구 /엠파스등) 매체사용하기/ 나와 동명이인 검색하기 인터넷 검색엔진에 나와 있는 ‘나’와 동명이인 검색하기 Interview 인터넷에 등록된 내이름을 가진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인터뷰 글

참가자 평가 ① ②

평 가

196

공부가 된다. 이름에 대한 새로운 생각이

전체평가

든다.

- 인터넷을 자연스럽게 자주 이용하지만 <정보>가 아니라 <자료>나 <단순 소일거리>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 내 이름검색에는 매우 진지함. - 검색엔진에 걸리지 않을 경우 게시판등에 자기 이름을 걸고 자기 소개를 하게 하고 나는 어떤 인물로 인터넷에 검색될 수 있을것인가를 느낌 .


집단명 일 시

프로그램명 미디어집단상담

보호청소년 2001년 11월 24일 14시00분~17 시00분

집단구성원

5명

활동진행자

김태황, 최지선

활동목표

미지센터

미래의 내 모습 만들기 ①

활동내용

장 소

Warm-UP 완성된 영상물 보기 어떤 느 이었나? 내가 나오는 비디오테 을 보면서 하고 싶은만 자유롭게 진행 우리와 비 한 나이또래의 아이들이 만든 연극을 보자. 피이드백 4일간 진행된 내용과 무엇을 생각했는지 점검하기 연극공연 관람 낌

③ ④

참가자 평가

재미있는 경험이었다. 다음에 참가하게 되면 더 많은 이야기를 하고 싶다. 컴퓨터 공 로 쓸 수 있어서 좋았다.

① ② ③

평 가

전체평가 ①

다.

일종의

롤 레잉으로 매체의 눈으로 타인에 대한 객관성을 담아 플

내가 아닌 지켜보기로서 비디오 카메라와 적응하는 과정에서 참가 자는 평소 그냥 지나가던 사람들에 대한 관찰을 시도하게 됨. ③종결로 매체와 동일시된 나의 "훔쳐보기" -> "매체에 담긴 나"를 생각하게 된다. 즉. 비디오카메라의 시선이 있음을 의식하게 되고 나 는 객관적으로 어떤 인물인가를 미디어경험으로 돌아보게 한다. ②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97


쉼터 청소년의 특성상 이 프로그램은 상황중심적으로 이루어 졌으며, 동일한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나’ → 비디오 카 라 촬영(찍기) → 인터뷰(찍히기) → 디지털→ 바디랭귀지(연극)로 옮겨가는 다양한 미디어를 사용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다.

비디오카메라라는 매체는 아이들이 쉽게 적응하고 호기심이 많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검색과 프레젠테이션도 흥미를 유발하는데는 적절한 매체임에 분명하다. 미디어 안에 어떤 메시지를 담을 것인가를 생각하면서 ‘자아개념’과 ‘미래설계’에 대한 동기를 던져줄 수 있다. 특히 역할이 바뀌면서 동일경험과 상호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진행되는 동안 참가자 2명이 나가게 되어 모둠이 흩어진 것은 집단활동에있어 아주 큰 저해 요소가 되지만 이미 구성되어 있는 쉼터내의 집단이었으므로 진행상에 무리를 주지는 않았다.

평 가

198


<참고자료> 집단활동 워크시트 이름 :

안녕하세요.

미지센터입니다. 지금 현재 시각은?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시간은 흘러가고 있답니다. 자...1분을 사용해

잡아두거나 다시 쓸 수 없습니다.

봅시다.

무엇을 할 것인가?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199


이름 :

어때요? 많은 사람들을 만나보았는가요

이제 상상을 해봅시다.

상상 1. 명동에서 만나 사람들은 어떤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있었습니까? 써보세요.

상상2. 20년이 지난후 내가 명동거리에 서 있습니다. 여러분이 오늘 촬영한 것처럼 나를 찍는 사람이 있다고 상상해 나는 어떤 모습일까요?

봅시다.

그리고 그 상상하는 것처럼 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해야 하나요 (인터뷰는 상호간 해줍니다)

※ 참고자료 : 미디어집단상담 프로그램 결과 비디오 테

200

1.


2) 미디어 집단상담 사례 2.

68)

◑대상 : 소명여고 1학년 25명 ◑상담목표 : - 영상언어로 전달되는 매체의 인식과정에서 각자가 가지고 있는 기질별 특성에 따라 표 현하는 방법이 달라 을 체험하고 ‘틀림’ 이 아닌 ‘다름’의 수용 - 동일한 주제에 적응(대응)하고 표현하는 방법의 차이를 인식하고 자기가 속한 집단의 구 성원들과의 원활한 대화를 통하여 강점과 단점을 발견해 다. - 매체로 표현하는 일상의 이야기로 평범한 일상의 가치를 발견한다. 짐

◑한계 : - 기존집단에 참여하고 있었던 청소년과 새로 구성원이 된 청소년이 체적응력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이게

됨으로서 매

◑개요 - MBTI 검사로 청소년의 기질적 특성을 파악하고 자기이해와 타인수용을 바탕으로 즐거운 학교생활이 될수 있게 돕기위한 프로그램이다. - 기질별로 학교생활을 보는 관점과, 학교를 표현하는 내용이 어떻게 다른가를 살펴보고 사진작업과 믹싱이라는 새로운 언어로 청소년의 이야기를 담는다. - 모든 작업은 팀웍을 기초로 시작하였으며 SJ 1그룹, SP2그룹, NF1그룹(1명만 NT)로 나 뉘었다. - 시나리오 및 콘티, 촬영등 작업과정에서 드러나는 기질별 특성을 관찰하고 다른그룹의 과정과 작업결과를 통하여 상호 피이드백을 교환한다. - S와 N이 사진 및 영상물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를 설명하고, 보는것과 만드는 것에 편 차가 생기는 것을 통해 사물을 인식하는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한다.

worker worker

김태황/ co-worker

안혜경

68) 이 프로그램은 2000년 부천소명여고 미디어집단상담 프로그램에서 적용한 사례이다. MBTI 검사의 결과를 통해서 기질별로 집단을 분류하고 영상의 인식과정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 는 S와 N그룹을 중심으로 동일한 주제인 [학교생활]로 미디어제작을 통한 집단상담을 실시 했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01


검사결과 ISTJ

ISFJ

INFJ

INTJ

ISTP

ISFP

INFP

INTP

ESTP

ESFP

ENFP

ENTP

ESTJ

ESFJ

ENFJ

ENTJ

1명

4명

5명

3명

2명

3명

1명

4명

1명

1명

SJ그룹 : 유은선,최지혜,신지희,이선희,강예리,김은경,고은지 SP1그룹 : 김효진,이윤주,최문희,김균화,권은미 SP2그룹 : 김은아,김지혜,염혜민,강유란,한송이,이정미 NF(NT) : 엄지원,염정현,장영,김진아,권민지,반수진,김지영(NT)

202


Process Recording Session1 : 일시 : 장소 : Intake 내용 : 일시 : 장소 : Session2. 내용 : 일시 장소 Session 3. 내용

Session4. Session5. Session6. Session7. Session8. Session9.

Session10.

일시 장소 내용 일시 장소 내용 일시 장소 내용 일시 장소 내용 일시 장소 내용 일시 장소 내용 일시 장소 내용

2000년 5월 17일(수) 4:00-6:00 소명여고 특기적성실 MBTI오리엔테이션 및 검사실시 2000년 5월 22일(월) 4:00-6:00 소명여고 특기적성실 MBTI 지표설명 및 그룹작업 / 기질별 팀형성 활동내용 오리엔테이션 역할분담 및 촬영계획세우기. : 2000년 5월24일 (수) 4:00-6:00 : 소명여고 특기적성실 : 시나리오 작업 주제 - 학교생활 : 2000년 5월 29일 (월) 4:00-6:00 : 팀별 촬영장소 : 사진촬영 : 2000년 5월 31일 (수) 4:00-6:00 : 팀별 촬영장소 : 보충촬영 : 2000년 6월 5일 (월) 4:00-6:00 : 소명여고 특기적성실 : 콘티작성 : 2000년 6월 7일 (수) 4:00-6:00 : 인천가톨릭청소년회 미디어센터 間실 : 인화된 필름을 디지털편집 / 오디오 믹싱 : 2000년 6월 12일 (월) 4:00-6:00 : 인천가톨릭청소년회 미디어센터 間실 : 인화된 필름을 디지털편집 / 오디오 믹싱 : 2000년 6월 14일 (수) 4:00-6:00 : 소명여고 특기적성실 : 프레젠테이션 : 2000년 6월 19일 (월) 4:00-6:00 : 소명여고 특기적성실 : 평가 및 느낌나누기 / 상호 FeedBack 나누기 - 영상물에 나타난 기질별 특성에 대한 소감나누기. - MBTI를 통해 알게된 나의 성격에 대한 질의 응답 - 기질별로 표현하고 있는 영상언어의 특징은?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03


◑프로그램평가

- 기질별로 본 학교생활

SJ : 세

에 적응하는데 크게 무리가 없는 학교생활의 모습을 시나리오와 콘티에 적용하 였다. 학교에 대해 큰 거부감 없이 지내고 있으며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학교붕괴라든가 하는 일련의 문제를 확대해석하지 않는다. 토론과정에서 학교에 대한 생각을 나누는데도 친구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교운영시스템에 도 크게 불만을 보이지 않는다. 팅

SP : 학교라는 고정된 공간이 주는 박감이 모든 과정에서 드러났다. 압

시나리오와 콘티회의를 하는데 있어서도 학교내의 특기적성실이라는 공간이 주는 부담감 을 느끼고 있었으며 학교에서 자신의 이상과 꿈을 펼칠 수 있을까 하는 공동의 의견이 모 아졌다. 또한 가치충족이 학교에서 되고 있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라는 이야기가 계속 거 론되었으나 그에 대한 대안이라기 보다는 불만의 소리가 나왔다. 그래도 자신들이 학교를 다니고 있는 이유는 이곳이 나의 미래를 위한 발판구실을 한다는 위안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모든 작업내용과 토론과정에서도 항상 내적으로는 허무하다는 표현을 했으며, 학교 생활에 적응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라는 질문을 계속 던지고 있었다.

NF : 학교생활은

만과 즐거움의 연속이며 관계지향적으로 학교를 일종의 놀이터나 활 력으로 삼았다. 학교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 하면 교실에서 있었던 에피소드, 선생님 과의 자잘한 일상에서의 사건들이 나열되었으며 토론과 콘티작업시간에도 가장 많은 대화 를 나누고 시끌벅적한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태도가 이들의 학교생활을 비언어적으로 보 여주고 있었다. 낭

- 작업결과를 통해본 기질별 특성과 평가

SJ : 동일한 주제로 “학교생활”을 주었을 때 SJ그

은 학교생활에 대한 묘사가 매우 정돈 되어 있었다. 더구나 카메라의 앵글로 세상을 보는 관점도 매우 객관적이고 정돈된 묘사가 많았다. 소명인의 하루생활을 묘사하는 과정에서 아침에 일어나서 일찍 학교에 오고 책상 에 앉아서 열심히 수업에 참여하며, 식사시간도 정직하게 지키는 묘사가 많았으며, 결론을 맺는 과정에서도 반복되는 일상에 대한 거부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토론과정에서도 매우진지하고 콘티제출시기도 정확히 지켰다. 더구나 사진촬영이후 보충촬 영된 필름이 없을 정도로 매우 고정적인 Shot에 계산된 콘티로 필름의 낭비가 없었다. 이들의 생활태도를 그대로 작업과정에서 보여준 것이다. 룹

204


믹싱과정에서는 조용한 피아노 연주곡으로 서정적인 감정상태를 드러내려 하였다.

SP : 학교생활이라는 주제자체가 이들에게 흥미와 자극이 되지 못하였다.

SP는 2개의 그룹이었는데 특히 1그룹에서의 역동이 크지 않았다.(작품명 : 교실이데아) 하지만 2그룹은 I형들이 많이 모여있었는데도 내부역동이 생기는 것을 감지 할 수 있었다. 촬영 및 인화, 콘티작성 과정에서 매우 흥미로와 하였으며 주제에 대한 강박 보다는 자신 들의 작업내용에 대한 호기심으로 참여하였다. 학교생활에 대한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믹싱에서 이들이 사용한 음악은 강한 Rock이 나 HipHop을 사용하였으며 두그룹이 서로 커뮤니케이션이 없는 상태에서 나온 두 개의 영 상물은 거의 동일한 주제, 유사한 Shot으로 처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에 대한 이미지의 세계가 이들에게는 답답함을 유발하고 있다는 시각적 표현으로 창 문을 열고 뛰쳐나가는 학생등을 묘사하였다. Shot은 SJ의 Shot과 같이 고정되지 않았으며 매우 역동적으로 움직였고, 다양한 앵글을 구사하여 사물을 묘사하였다. 마지막날 느낌 나누기 시간에 MBTI를 통해 본 영상물의 해석에 SP1그룹의 반응이 눈에 띄었다. 지금까지의 과정에서 크게 흥미를 갖지 못하던 1그룹은 적극적인 모습으로 바뀌어 있었고, 다른 기질의 작업에 대해 “답답해요”라는 표현을 서슴지 않고 했지만 다른 작업내 용에 대해 매우 흥미있어하며 역동을 보였다.

NF : 가장 활발하게 움직이는 그 이었지만 이들에게는 활동이외의 시간이 더욱 즐거운 룹

시간이었다고 표현했다. 늘 “빨리끝내고 놀자...”라든가 하는 표현은 특히 NF들이 많은 이 그룹에서 나온 표현이었다. 그렇지만 작업시간이 늘 풍족하게 확보되지 못한 관계로 이들 은 작업에 열심히 참여하였다. 카메라를 다루는 것도 좋아했고, 지도자가 권유한 Shot과 앵글을 구성하였다. 주제에 대한 이해도 다른 기질의 아이들과는 달리 일상에서 상상해봄 직한 느낌을 표현하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더구나 이들의 그룹작업은 매우 활기를 띠고 있 었으며 믹싱과정에서도 콘티와 전혀다른 이야기가 구성되었다. 예정된 컷의 숫자보다 훨씬 많이 작업이 되었다. 이중에 INTP가 한명 같이 있었는데 발표시간이 되면 대다수의 ENFP아이들에게 등떠밀려 발표하러 나오는 I의 모습이 폭소를 자아내기도 했다. 학교생활은 이들에게 있어 공부를 하는곳 이외의 곳으로 비추어지고 있으며 생활안에서의 소소한 감동을 자주 느낀다.

※ 참고자료 제작계획 / 티 / 밀착현상후 완성 티 / 비디오자료 콘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05


3) 미디어 집단 단위 프로그램

69)

◑프로그램의 목표 ‘나’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나’와 나를 둘러 고 있는 환경을 다큐멘터리사진으로 기록하여 자기에 대한 이해를 돕고 미래와 자기생활, 인간관계등을 설계한다. ▶ 객체화되어 있던 사진과 주체인 나의 사진을 연결하여 표현한다. ▶ 다큐멘터리의 기법을 이해하고, 미디어의 주인공을 ‘나’로 설정하여 가치있는 자아를 발견한다. 싸

◑개요

소요시간 : 90분 장소 : 탁자가 있는 상담실 준비물 : 자기사진1장/ 잡지나 사진으로된 스케치북이나 포트폴리오 바인더

엽서 개인당 7장씩/

◑프로그램 사진! 탐색전 - 서로의 생각맞추기 게임 / 자기인상 남기기 여러장의 사진을 펼쳐놓고 마음을 움직이는 사진을 라 다. 사진이 내 마음을 왜 움직였는지 점착식 모지에 써서 사진 며 발표한다. ①

장에

가장 인상에 남는 발표는 무엇이었는지 이야기 해본다. ③ 사진7장(잡지에서 골라낼 수 있다)을 나누어 가지고 자신의 사진을 의 이야기를 다큐멘터리로 꾸민다. ④ ※ 실천교육 미디어제작의 실제 중 “사진뜨개질”참조 ⑤ 프레젠테이션 ②

놓고 돌아가

포함한 8장으로 나

69) 다큐멘터리 ‘나’는 미디어집단 상담에서 사용하는 매체중 사진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프로그 램이다. 이는 한국청소년학회 인성교육개발팀으로부터 프로그램 개발의뢰로 집필된 내용이 며, [미디어제작의 실제]에서 다루어지는 “사진뜨개질”의 아이디어로 완성된 프로그램이다. 완성원고는 NEW3R 인성교육프로그램자료집에 실려있다. 206


4. 사 족 미디어집단상담을 진행하면서 참가한 청소년은 이것이 ‘상담’이라는 것을 잘 모른다. 단지 참여와 놀이를 통해서 내가 많은 것을 느끼고 있음을 깨닫게 하는 것이 핵심이다. 미디어집단상담으로 청소년을 만나는 이유는 이미 서두에서 밝혔듯이 건강한 매체체험을 통하여 가치 있는 미디어로 성장하게 하기 위함이다. 아이들은 아이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있다. 그렇기에 그 언어를 통하면 자신의 진동에 의해 다양한 표현의 수단을 찾게 되고 마음의 문을 연다. 아이들이 선택한 미디어는 아이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지만 미디어집단상담을 통해 기계와 친해지기보다는 내면의 자아를 만나게 해 주는 것이야말로 미디어집단상담의 실제 목표라 할 수 있다. 가장 익숙하고...편하고...몰입할 수 있는 아이들의 언어로 만나자. 그 안에서 아이들이 가치 있는 인간임을 발견하게 해야 한다. 이제 우리는 아이들의

언어로 접근해야 한다.

□ 참고문헌 Marinne Schneider Corey 저․김명권 외 역(2000). 집단상담과정과 실제. 서울:시그마프레스 마 루한․ 피오르 공저(2001). 미디어는 사지다. 김진홍역. 서울: 니케이션 북스 선우복희(2001).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의 효과성연구. 가톨릭대학교사회복지대학원 샬 맥

꽹땡

커뮤

이부영(2000). 분석심리학. 서울:일조각 프로젝트 팀 헤모(2000). 미디어워크샵 자료집 한국심리검사연구소. 16가지 성격유형의 이해. 서울:MBTI유형자료집

사논문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07


청소년복지관련 실무자 및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을 위한

청소년 문화복지 아카데미

사 례 연 구

208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09


< 따로활동1 - 미디어 >

청소년과 함께 하는 미디어제작의 실제 【영상언어와 미디어 활용】 안혜경(프로 김예선(프로

트 젝트 젝

팀 헤모 4섹터 trainer) 팀 헤모 2섹터 trianer)

1. 미디어제작활동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지금의 아이들에게 미디어제작활동은 어떤 의미가 있으며 무엇을 교육하려 하는 것일까 생각해 보자. 미디어제작 활동에 아이들이 참가하면 문화적으로 성숙하고 건강한 청소년으 로 다시 태어날 수 있는가? 하는 물음에 대한 답을 달라고 하면 대답은 No! 이다. 문화란 그렇게 단순한 논리의 교육으로 성과가 거두어 지는 것이 아님을 알고 있어야 한 다. 미디어제작 활동으로 만나는 아이들의 살아있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면서 얻게 된 노 하우는 크게 두 가지 정도로 집약된다. 하나는 이것이 직업교육이 아니라 보다 나은 의사소통통로를 얻게 한다는 것이다. 직업으로 미디어제작을 하게 한다면 이러한 청소년문화활동의 영역에서 실패할 우려가 많 다. 직업으로 배우려면 조금 더 전문적인 영역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보이기 위함"과 "포장하기 위함"이 많은 것이 상업미디어가 가지고 속성이라면 이 것을 거부할 수 있는 진실성을 나누는 것이 제작활동이라 할 수있다. 미디어교육은 미디어제작활동을 경험하고 21세기 새로운 의사소통 코드라 불리우는 이미 지와 영상화법을 배우는 것이며 좀더 진실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통로를 개척하기 위함 이어야 한다.

번째는 세상을 보는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함이다. 죽은 시인의 사회라는 영화가 있다. 키 선생님은 교사로서 아이들에게 새로운 세계에 입문하는 새로운 도전을 일깨우는 영화이다. "교탁위에 올라서서 교실을 보자. 새로운 세계가 눈에 들어올 것이다" 미디어제작을 통하여 아이들은 세상을 새롭게 보는 눈 을 갖게 된다. 평소에 그냥 스쳐지나가던 학교안의 작은 철문과 은 책상이 의미가 되어 다가온다. 세상은 고정적 시선으로 바라보기에는 아름 고 상징적이다. 두

210


2. 광고로 문화읽기 몇 가지 작업을 통하여 이미지의 언어인 영상언어를 엿보자. 텔레비젼을 보면 광고들이 굉장히 재미있다. 사실 많은 패션과 유행의 문화는 광고에서 나 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30초 정도 되는 시간에 사람들의 시선을 놓치지 않으려고 고 도의 심리전을 펼치게 된다. 몇 편의 광고를 보자. 꺼리 - 광고비교

상품을 설명하는 광고와 이미지화 시켜놓은 광고를 두세편씩 골라 본다. 광고를 보고 이야기 나눈다. 어떤 느낌이었는지, 어떤 광고가 제일 마음에 유는 무엇인지 등

드는지, 그 이

각각 광고가 보여주려고 하고 상품을 팔려고 하는 것임에 분명하지만 세대에 따라 그 방 법을 달리하는 이유가 있다. 상품설명광고는 주부들이 주로 보는 아침프로 광고에 주로 방 영되고 이미지 광고는 든타임에 방영되는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에 따라 다르기도 하다. 이미지 광고는 주로 쇼프로그램에 설명광고는 드라마 등의 프로그램 시작전에 주로 방영 된다. 주 시청시간의 연령층을 생각해 보면된다. 예를 들어 텔레 비나 유야프로그램의 광 고는 그 타겟이 유아가 아님을 알수 있다. 그 프로그램을 시청하게끔 하는 것은 엄마의 역 할이므로 유아프로그램의 광고는 유아를 가진 엄마의 구미를 당기는 광고로 채워진다. 자 기도 모르는 사이 우리는 이미지의 언어에 익숙해져 가고 설득이나 설명이 아닌 이미지를 선택하게 되는 것을 알게 된다. 골

영상언어는 설명보다 더 강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이미지이 다. 이미지는 설명되는 것이 아니다. 코카콜라를 상점에서 구매하게 하는 힘은 코카콜라광 고에 매료된 행동이다. 머리보다는 가슴으로 의사소통하는 것. 이것이 이미지의 의사소통 인 것이다.

TV에서 광고를 통해 사람들의 눈과 귀를 즐 게 하며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내기도 한 다. 무엇으로 의사소통communication하는가? 영상언어이다. 그것도 최첨단 영상언어. 과감 한 생 과 이미지 만들기에 주력하고 있다. 20-30초 되는 시간동안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 이려면 오감을 자극하여야 하며 사람들 머리속에 강 한 이미지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 다. 영상언어라는 말이 생기기도 전 영화를 통해 의사소통하려는 노력에서 우리는 타주 니 점프컷이니 하는 영화작법이 만들어지고 이론화되었다. 우리는 그런 기법을 총망라한 TV광고를 매일 보고 있다. 어렵게 접근하면 점점 어려워지지만 영상언어는 우리생활 주변 에 항상 함께 생활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찾아보면 그야말로 자료의 보물창고가 될 것 겁

이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11


청소년과 함께 하는 광고이야기

몇 년전 선배의 놀이방에 가서 있었던 재미있는 경험이 있다. 네다섯살 박이 아이들이 옹 기종기 앉아서 선생님의 동화를 고 있었다. 정말 아이들의 눈망울이란 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을 만 맑다. 맑은 밤하늘의 별 이 저만 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하 고 있었는데 동화가 났다. 생각보다 일찍 동화가 났는지 그 선배는 “오늘은 우리 친구들이 알고 있는 재미있는 기를 해볼까? 누가 저 할래요?” 뚱 뚱 눈치를 좀 보더니 한 명이 조그만 주먹을 위로 올리며 “저요”라고 한다. 그리고는 일어나서 한마디를 던졌다. “똥!” 그 아이는 자기가 한 기가 얼마나 웃겼는지 자기 손으로 입을 막고 대고 웃기 시작 했고 앉아 있던 친구들도 모두 큰소리로 웃기 시작했다. 그때부터였다. 봇물터지듯 아이들이 “저요” “저요”를 외치기 시작했다. 그리고는 한마디씩 한다. “방구” “코딱지”를 하며 아이들은 몇 개의 단어에 배를 움켜쥐고 눈물이 쏙 빠지도록 즐거 워했다. 지금 을 읽고 있는 분은 방구라는 단어를 들으면 웃음이 저 나오는 사람인가? 그외의 다른 연상작용(?)으로 인상을 리는가? 모든 웃음,유머와 문화의 상호작용은 또래에서 형성되고 그 안에서 교환되어지며 가치를 가진다. 이게 무 남의 다리 긁는 소리냐고? 현재의 청소년들은 전자의사소통을 한다. TV와 컴퓨터로 대표되는 전자의사소통에서 TV가 차지하는 비중은 우리의 상상 이상이다. 아이들이 방구와 코딱지에 민감하듯 TV에 민감한 청소년들. 이 의사소통방식은 매우 편리 한 방식이지만 아무도 순차적이고 체계적인 접근방식으로 청소년들을 이 어주고 함께 하 려고 하지 않았다. 지금부터 해보는 것이다. TV는 놀이방의 어린이들이 향유하고 있는 그 고유한 문화와 대화의 질 처럼 시청시간대 에 따라 드라마, 종합구성물, 다큐멘터리, 애니 이션(만화영화)등의 편성이 된다. 그 중 가 장 민감한 것이 무엇일까? 그렇다. 광고이다. 광고를 방영시간대에 따라 분류해 볼 수 있다. 청소년들과 혹은 어린이 들과 함께 TV를 보면서 모니터 해보면 재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TV가 사람을 멍하게 만드는 구실도 하지만 우리는 생활에서 TV와 떨어져서 살수 없으 므로(정보의 통제는 사람을 더욱 무력하게 한다) TV도 재미있고 유익하게 보는 것이 중요 듣

큼 밝

킥킥

찌푸

하다.

광고를 우리 아이들과 함께 모니터 해보자.

1. 광고모니터 양식을 만들어 본다. 교사에 따라 조금씩 그 양식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 토론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양식을 개발하는 것이 좋다. 고정된 틀은 존재하지 않는다. 2. 광고시간대에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어 본다. 청소년들이 가장많이 시청하는 시간대와 주부의 시청시간, 어린이의 시청시간은 어떤 시간일까를 생각해 본다. 3. 텔레토비는 어린이프로그램이고 영,유아를 위한 프로그램이지만 주부를 위한 광고가 나 212


온다. 그 이유는 무엇일지 이야기 나누어 본다. 4. 광고의 유형에 따라 분류해 본다.

1) 설명광고와 이미지 광고로 분류해 보는 방법이 있다. 현재 우리가 보는 99%의 광고 는 이미지를 활용한 광고이다. 하지만 이미지를 이용한 광고에서도 설명형태의 광고가 있 다. 상품의 형태나 효능 등을 설명한 광고가 있는 반면 코카콜라나 나이키 등 상품과는 무관하게 이미지를 형성해나가는 광고가 있다. 2) 또 하나의 분류방법은 입증식 광고, 증언식 광고, 제시자식광고, 토막극광고, 애니메이션광고, 비교광고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입증식광고는 상품의 성능을 화면으로 보여주는 방법이며 증언식 광고는 같은 소비자가 증언하는 것이다. 제시자식광고는 전통적인 광고형태로 상품을 나레이터가 설명한다. 토막극광고는 간단한 에피소드로 엮은 광고이며, 에니메이션 광고는 그 상품의 명쾌한 설명이 어렵거나 표현하기 힘든 것을 광고로 만들 때 사용하는 기법이다.

※ 두 번째 분류방식 안에도 항상 설명과 이미지가 혼재되어 있다. 청소년들이 가장 선호 하는 광고형태는 어떤 것인가, 왜 이 광고가 나의 마음을 움직였는가를 느 보는 것이 이 모니터의 목표임을 지말자. 껴

광고는 소비자에게 구매할 수 있는 행동을 유발하기 위해 유료로 제작되는 것이므로 TV 광고는 유행이나 새로운 문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그래서 광고를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지금 우리시대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그렇다면 광고가 무엇인지 청소년들과 함께 생각해 보자. TV에서 광고를 통해 사람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하며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내기도 한 다. 무엇으로 의사소통communication하는가? 영상언어이다. 그것도 최첨단 영상언어. 과감 한 생략과 이미지 만들기에 주력하고 있다. 20-30초 되는 시간동안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 이려면 오감을 자극하여야 하며 사람들 머리속에 강렬한 이미지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 다. 영상언어라는 말이 생기기도 전 영화를 통해 의사소통하려는 노력에서 우리는 몽타주 니 점프컷이니 하는 영화작법이 만들어지고 이론화되었다. 우리는 그런 기법을 총망라한 TV광고를 매일 보고 있다. 어렵게 접근하면 점점 어려워지지만 영상언어는 우리생활 주변 에 항상 함께 생활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찾아보면 수두룩하다. TV광고는 어떤 속성을 가지고 있을까?

첫째. 광고의 최종 목표는 무엇일까?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13


광고의 최종목표는 구매행동을 유발하는 것이다. 청소년들에게 이야기할 때는 물론 좀더 쉽고 구체적으로 하자. 광고주는 상품판매자의 의뢰를 받아 상품을 더 많이 팔 수 있도록 광고를 만들어 사람들이 사게 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물건을 많이 팔기 위한 수단이다.

둘째. 광고는 소비자를 설득하려는 것이다. 어떤 상품을 팔기 위해서 그 상품이 다른 것보다 우세하다고 사람들을 설득해야 하고 새 로운 상품이 나오면 생활의 편리와 고급스런 문화를 누릴 수 있다고 설득해야 한다. 셋째. TV광고는 유료이다. 모든 상품을 살 때는 그 상품에 광고료를 함께 지불하는 셈이다. 광고에 사람들이 노출되면 어떤 과정으로 구매를 할까? 즉 메시지 설득의 기본과정은 다 음과 같다. 이 수용과정의 모델은 학자에 따라 다른 이견이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모델로

는 AIDMA모델이 있다.

A attention 주의 -

태어난지 몇 개월 안되는 어린아이도 TV앞에 앉아서 넋놓고 보 는 것이 무엇인지 우리는 알고 있다. 수많은 광고중에서 30초 동안 순간적으로 소비자의 눈을 사로잡기 위한 방법은 주의를 끄는 것이다. 그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소리와 영 상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다.

I interest 흥미 -

아무리 주의가 집중되어도 자기의 관심사 혹은 문화적 관심사가 동 일시되지 못하면 흥미를 얻기 힘들다 흥미가 있어야 그 광고를 끝까지 볼 수 있다.

D desire 욕망 -

싶다는 생각이 들어야 한다. 광고를 표현되는 언어는 상품에 대 한 의구심보다 확신에 확신에 차있다. 소비자들이 구매하고 싶은 욕망을 유도한다. 늘 한 모 이 나와서 화장품을 광고하면 마치 나의 피부도 광고처럼 될 것 같은 느 으로 사람 들의 욕망을 자극한다. 사고

M memory 기억 -

광고에 노출되고 난 후에도 그 상품을 기억할 수 없다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다양한 유행어나 상품을 부각시킬 수 있는 무언 가가 항상 광고언어안에 들어 있다. 그런 이미지들이 머리속에 남아있고 상품의 이름은 모 르더라도 그 형상이나 이미지를 통해 사람들은 상품을 사고 싶어한다. 사실 나이키의 매장 에 가면 한글이든 영문이든 나이키 혹은 NIKE라는 구체적인 단어가 별로 없다. 매장의 간 판도 나이키의 아이콘(icon)으로 모든 사람들은 나이키의 이미지를 기억한다.

A action 구매 광고는 우리가

214

살고 있는 지금의 사회․경제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상


품을 판매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무한경쟁사회라고 말하는 지금은 경쟁을 부추기고 보 다나은 생산을 종용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상품에 대한 혹은 문화에 대한 정보의 창구 로써 기능하고 있다. 하지만 이면을 보면 광고는 무조건 좋다고만 설득하므로 상품구매에 있어서 객관성을 놓치기 쉽다. 그리고 광고료를 많이 내고 만드는 광고와 그렇지 못한 광 고를 통해 구매의욕 수치가 큰 편차를 나타내므로 실제 상품의 질과는 무관하게 상품이 많이 팔리는 것이 반드시 높은 질의 상품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것은 광고를 하지 못하는 기업의 상품은 그만큼 광고를 통해 득하는 재생산의 토대를 만들지 못하게 된다. 더구나 광고는 유료 커뮤니케이션이 관계로 상품을 사는 것 자체가 광고료를 부담하게 되는 측면 이 있다. 이 정도 이론적으로(하지만 우린 늘 광고와 함께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그리 어렵지 않게 느낄 수 있다) 정리를 해두고 청소년과 함께 모니터를 통해 작업을 해본다. 모니터 후 아이들과 함께 마음을 움직이는 광고는 무엇이었는가? 혹은 가장 맘에 드는 광고는 무엇이었는가를 선택하게 하면 거의 이미지를 만드는 광고를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상제작을 할 때 광고를 만들어 보는 것도 청소년들이 흥미를 느끼는 작업중에 하나이 다. 구체적인 상품이나 특정 상품이 아니고도 광고는 제작해 볼 수 있다. 흉내를 내는 것 보다 이미지의 언어를 표현하게 해보는 것이 어떨까?

3. 왜 이미지와 영상언어 인가? 문자로 의사소통하면서부터 그림으로 표현되는 이미지들은 의사소통에서 뒷전에 밀려나 게 되었다. 그리고 문자는 복잡한 생각을 전달하는데 효과적으로 쓰이게 된다. 그러나 지금은 어떠한가? 컴퓨터와 TV등의 등장으로 이제까지 이야기한 많은 이야기들 을 종합해본 결과 이미지인 영상언어가 의사소통에서 아주 중요한 수단으로 쓰이게 된다. 이미지와 영상언어를 강조하는 것은 문자의 중요성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다. 유의미하고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사소통은 문자와 그림이 결합한 형태이며, 의사소통에서 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생각해보아야 한다. 만화, 사진, 영화, 컴퓨터 이미지가 생성되는 과정을 알고 매체자체가 가지는 의미를 파악해 보자. 그리고 영상제작과정을 통해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미지의 언어와 신문화의 생산 에 참여해 보자. 이 과정은 감성채널을 건드리는 것으로 이해와 참여가 아닌 신문화에 깊 히 빠져 들어가보는 경험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15


4. Image를 다루기 - 사진 영상제작의 기초 -

프레임을 알자 ⇒ 언어로써 영상을 접근하려면 프레임(사각형)안에 어 게 배치해야 하는지 알아야 한다. ⇒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을 확실히 보여주기 위한 근접촬영을 시도해 보자. 떻

즉, 편안하고 안정적인 구도를 익숙하게 하여 캠코더를 들었을 때

이다

진 구도를 잡기 위한 훈련

말에 ‘추억을 먹고산다.’ 라는 말이 있다. 엄밀히 따지면 우리는 사진 을 보면서 살아가는 것이 아 까? 수많은 사진들을 보면서 사진 에 어있는 기 과 때로는 서 을 다 느 수 있지 있다. ‘미술관 옆 동물원’이라는 영화. 조금은 어벙하고 덜렁거리는 심은하 가 손가락으로 네모를 만들고 세상을 바라보는 장면이 나온다. 다르 닐

글픔

게 보인다면서..... 자~ 우리도 한번 손가락으로 사각형을 만들어 주위를 살펴보자. 그럼 새로운 세상을 보게 하는 프레임 즉, 사진에 대해 알아보자. 프레임이란?

프레임은 사진의 사각형을 말한다. 이 사각형안에서 사진이 어 게 놓여져 있어야 하는 가? 특히 인물 사진에서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피사체가 돋보여야 하는 것이 작품의 관건이므로 구도의 문제는 촬영자에게 있어서 영원한 하나의 도전이요. 즐거움이 될 것이 떻

다. 우선 주의할 점은 대상이 되는 피사체를 결정한 후 바로 렌즈를 들이대지 말라는 것이다. 어떤 구도가 가장 효과적인가는 대상을 관찰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는 안목과 깊이 있는 이해가 선행되지 않고는 결코 풀리지 않는 숙제와 같기 때문이다. 그렇게 피사체를 충분히 관찰하여 이해한 다음에는 배경 선택이나 부제의 유무와 역할, 그리고 배치 문제 등을 결정해야 한다.(다음 장에서 논의할 배경 처리나 광선 문제도 이 과정에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216


1) 2/3 구도로 찍어보자.

네 개의 교차점들이 그 사진 프레임 내에서 주요 영역이 됩니다. 또한 프레임을 가로지르 는 1/3지점에 주 피사체를 배치함으로써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흥미의 요소가 한가지뿐인 사진에서는 '황금분할'의 원리가 더욱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 다. 비율을 좌우하는 이 원리에 따라 피사체를 좀더 중앙에 가까이 배치시켜서 찍어보자70)

2) 수평적 대상은 수평구도로, 수직적 대상은 수직적 구도로 찍어보자. 당장 앨범을

내놓고 사진들을 보자. 아마 대부분이 세로보다는 가로 사진이 많을 것이 다. 이는 사진기가 수평으로 찍게끔 되어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로사진은 불필요한 배경이 많이 들어가게 되므로 사람을 길게 찍어보면 다른 느낌이 든 다. 특히 독사진으로 클로즈업 해보고 싶을 때 새로운 느낌의 사진이 될 것이다. 피사체를 볼 때 그 피사체의 형태에 따르는 프레임의 조화를 생각해보시면 더욱 재미있 는 사진촬영이 된다. 또한 한컷의 사진으로 피사체를 다시보게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꺼

3) 롱다리로 찍어보자 (하이 앵글과 로우 앵글) 앵

의 위치는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하이앵글은 초라해 보이고, 작게 보이는 효과 가 있다. 반대로 로우앵글은 사람이 위대해 보이고, 웅장해 보이는 효과와 다리가 길~어 보이는 효과가 있다. 글

70) www.neocam.co.kr 에서

온 자료입니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17


218


(하이

)

(로우

)

위의 사항들을 염두하고 자주․많이․무엇이든 찍어보자... 잘 찍은 사진들을 보면서 어떻게 하면 저렇게 찍을 수 있지? 라는 생각 많이 하게될 것 이다. 물론 위의 사항들을 고려하여 자~알 찍으면 좋겠지만,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 잘 찍은 사진이란 찍은 사람의 감정이 담겨져 있고, 보기 좋게~ 편안하게 찍으면 장땡(?)이다.

▶▷ 친절하게 정리를 하자면 ( . . ) 사진을

찍기 전에 우리는 ( . . )

1) 무엇을 전하고자 하는지 결정해야 합니다. - 정보 또는 사실을 전달하고자 하는가? - 정서적 충격을 주고자 하는가? - 미적 만족을 제공하고자 하는가? 2) 이미지의 필수요건(위에서

말한 구도겠죠?)들을 미리 마음속에 그려두어야 합니다.

3) 보는 모든 이미지들(사진들)을 공부해야 합니다. 이 말은 자주 찍어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세히 보고 느낌을 가져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즉 찍기 전에 피사체와 Communication을 해보십시오. 4) 여러분 주변에 세계를 발견해야 합니다. 상 속에 우리의 멋진 모델들이 있답니다.

흔히 지나칠 수 있는 사물, 거리, 사람들 그 일

5) 카메라가 보는 방법에 따라 사물을 보도록 노력하여야 합니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19


다음은 영상제작의 기초인 사진뜨개질71)에 대해 알아보자. 사진 뜨개질은 이야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자신의 이야기를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대한 물음에서 시작된다. 그러면 사진뜨개질에서의 기본적인 전개방식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 자.

<사진1> 캡션: 카피,느낌적기:

<사진1>에 해당하는 자신의 느낌이나 카피를 달아보 자. 그리고 그 카피가 수용자에게 어떻게 전달될 것인지 에 대해 예측해보자. <사진1>은 피사체를 통하여 무언 가를 이야기 하고자 한다.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 보는 사람에게 어떤 물음을 던질 수도 있고 그 물음을 통해 사람들과의 관계증진을 하려는 의도가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그러면 위의 사진을 보고 작가는 무엇을 나타내고자 했는지 아주 쪼금만 고민을 해 보고, 여러분이 느끼는 카피를 달아보자.

작가는 어떤 카피를 썼을까?

“ 망보기 ”

물론 작가와 여러분의 의도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앞으로의 작업에 있어서는 작가 의 의도보다는 여러분들의 느 과 감동이 중요하다. 이 작업을 통해서 알아야 하는 것은 사진을 찍은 작가의 의도와 보는 사람의 의도가 다 를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셔야 한다는 것이다. 낌

훨씬

71) 사진 뜨개질은 만들어낸 단어다. 날실과 씨실이 서로 맞물려서 전체를 어우러지게 한다는 의미에서 사용하였다. 즉, 날실은 필자의 몫이고 씨실은 수용자가 어떻게 이해하고 조합하는 가에 달려있다. 또한 약간은 더디지만 하나하나 기초부터 배워가면서 전체를 완결할 수 있다 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220


5. 사진 뜨개질 카피를 써본다. 자신의 느낌을 솔직하고 과감 하게 적는다.

주제를 가지고 다양한 이미지를 이어 나간다.

이야기로 구성해본다.

이미지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첨가한다.

★A B C 개인적으로 느 을 받은 하나 하나의 이미지가 합쳐지게 되면 이야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제는 좀 더 여러분의 느 들을 이야기로 구체화 시켜 보는 작업을 해본다. 물론 느 는 사진들 각각의 이미지를 활용해서 스스로 구성하는 소중한 개인적 이야기이다. +

=

일단은 <사진 2>와 <사진 5>의 이미지가 결합되어서 운 상상을 했는지? 간단한 글로 표현해 보자.

당신은 어떤 즐거운 혹은 무서운, 경이로

이단은 사진 6장을 당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방식으로 배열했다면 그 ( )▶( )▶( )▶( )▶( )

삼단은 이제는

순서를 번호로 적어보자.

마지막으로 순서에 따라 줄거리를 작성

사단은 이미지 6개를 이용한 이야기를 만들기(시놉시스

작성)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21


222


★A B +

+

α

=

Super

C

그냥 사진만 붙여 놓으면 뭔가 어색하다.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해보자. 이야기 전개 및 이미지 전달에 있어서 다양한 요소가 첨가되면 더욱더 효과 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야기 순서와 줄거리에 알맞을 것 같은 음악을 선정하고 음악과 나레이션 등을 첨가하 여 사진말 뜨개질을 완성하면...하나의 아트가 탄생한다. 음... 처음에 골랐던 이미지와 정반대되는 이미지의 음악을 골라보자. 전혀 다른 느낌이 나는 또 하나의 작품이 탄생할 것이다.

참고 : 미장센과 편집(몽타주)에 관해서 1. 미장센

영화의 형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서술되는 체계인 형식체계와 실제 촬영과 관련된 스타일 체계가 바로 그것입니다. 두 번째 요소인 스타일 체계는 영화화면 속에 드러나는 촬영, 편집, 사운드, 미장센의 공통된 특징을 일컫는 것이지요. 영화의 여러 테크닉가운데 관객들에게 가장 인상적인 것이 바로 미장센입니다. 미장센(Mise-en-Scene)은 프랑스 말로서 '장면 구성의 요소'라는 뜻이며 처음에는 무대 지시용으로 쓰이다가 영화 학자들에 의해 영화 연출의 개념으로까지 확장되어 필름 프레임 속에 나타나는 요소 들에 대한 감독의 지시를 의미하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미장센의 대상이 되는 요소는 세팅, 의상과 분장, 조명, 피사체의 조형과 움직임등이고, 이를 통해서 미장센은 영화의 극적맥락에 필요한 적절한 공간을 만드는 초보적 역할부터 극적 분위기를 고조시키 고 심지어 영화전체의 이미지를 창출하는 역할까지 책임지고 있답니다. 영화화면은 무대처럼 고정된 것이 아니라 클로즈업에서 롱샷까지 감독이 택할 수 있는 화면 크기는 다양합니다. 카메라 움직임으로 클로즈업에서 롱 샷까지 화면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영화 에서 미장센이라 할 때는 소도구의 배치와 인물 동선은 물론 카메라 움직임까지 그 범위에 포함시킵 니다.

프랑스의 영화비평가 앙드레 바쟁은 소이 미장센 예술영화를 옹호했습니다. 미장센의 의미를 강조하 려면 아무래도 롱샷이나 풀 샷의 하면으로 ‘길게 기’ 스타일이 필요해지죠. 그래서 바쟁은 편집에 비중을 두는 러시아 감독 세르게이 에이젠 테인의 영화보다는 ‘길게 찍기’로 화면을 연출하는 오 웰스 같은 감독의 작품을 옹호했습니다. 50년대 중반 영화이론 진영은 앙드레 바쟁의 길게 찍기에 기반한 미장센 영화예술과 세르게이 에이젠 타인의 타주 이론으로 양분돼 있기도 했습니다. 찌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23


2. 편집(몽타주)

19세기말 무렵만해도 대부분의 영화들은 간단한 씬을 롱 샷을 이용해 촬영한 짧은 일화로 되어있었 다. 필름이 거의 다 돌아갔을 무렵 극중의 사건은 갑작스럽게 끝나곤 했다. 이러던 것이 미국의 애드 윈 포터 Edwin s. Porter 나 영국의 스미스 G.A. Smith 에 의해 동일한 씬 속에서 커트를 나누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리피스(D.W. Griffith) ,푸도브킨 (V.I. Pudovkin) ,에이젠스타인 (Eisenstein, Sergei) 에 이르러 편 집이라는 개념이 자리잡게된다. 편집이 영화에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 그전까지는 연극의 관람석에서 카메라가 고정된 것처럼 롱샷 으로 촬영된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편집으로 인해서 영화에서 시점의 전환이 가능해 졌다. 시간이라는 개념이 영화 속에서 자유로워진 것도 중요한 것이다. 그전까지는 영화속의 시간들은 현실의 시간과 동일했으나 편집의 개념이 도입된 이후로는 시간이 샷을 사이에 경과된 시간이라는 의미를 갖게된다. 즉, 편집에 따라 실제에선 10분인 것이 영화 속에 서 10초로 표현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짧은 시간을 늘일 수 도 있다. 실제 대부분의 극영화에선 시 간의 조작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극영화의 시간이 실제의 시간과 일치하는 영화는 극히 일부분이다. 그리피스는 초창기의 영화기술들을 정리, 심화했으며 새로운 기술들을 개발한 까닭에 영화의 아버지 라 불리운다. 그리피스는 주제와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연속 커팅, 고전적 커팅, 주 제별커팅 등 편집의 세 가지 유형을 정리했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주제적 커팅. 즉, 몽타주 기법이다. 몽타주 기법은 현실적인 시간, 공간의 연속성을 무시하고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관념들 사이의 결합을 강조한다. 인간의 비인간성을 다룬 영화 < 인툴러런스 Intolerance >는 몽타주기법에 있어서 기념비적인 작품 이다. 이 영화는 고대 바빌론의 이야기와 예수의 십자가 처형, 16세기 프랑스의 위그노 대학살을 서로 결 합시키고 있다. 수천년 또는 수만 마일의 간격이 있는 영상들은 시간적, 공간적 동일성을 무시하고 씬과 씬사이에 삽입시켰다. 푸도브킨 V.I. Pudovkin은 그리피스의 작업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해석을 시도했다. 샷shot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샷과 결합되었을 때 의미가 생겨난다 고 보았다. 푸도브킨은 그리피드와는 달리 클로즈업의 사용을 더 확대하였다. 롱샷을 사용하는 사실주의기법은 너무 현실세계에 가깝기 때문에 그것은 영화이기 보다 연극에 가깝다고 할 수 있는 주장이었다. 영화라는 것은 대상물들의 클로즈업을 결합시켜 현실의 삶 속에서 드러나지 않은 진실을 표현해내 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앙드레 바쟁 등의 이론가들은 표현주의적 성향의 도브킨의 이론이 관객들에게 선택의 여지를 주 지 않는 다고 비판한다. 관객들은 단지 수동적으로 앉아서 화면을 보기만 할 뿐이라는 주장이다. 1920년대 러시아의 영화감독들은 그리피스가 고안했던 샷 결합의 원리를 더욱 확대하였고, 타주 이론을 확립시킨다. 푸

224


에이젠스타인Eisenstein, Sergei 은 영화의 편집기술을 중요시했다. 푸도브킨과 마찬가지로 몽타주가 영화의 기초라고 믿었다. 에이젠스타인은 변증법적인 편집론을 주장한다. A샷과 B샷과의 갈등은 C라는 의미를 창조해 낸다는 것이다. 샷사이의 이행은 푸도브킨의 방식처럼 흐르는 것이 아니라, 거친 충돌이라고 생각하였다. 에이젠스타인은 다양한 은유로 영화에서의 비유가 자유로운 문학과 같이 유연해지기를 원했다. 푸도브킨 V.I. Pudovkin에서 에이젠스타인으로 이어지면서 몽타주이론은 정립된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25


사진뜨개질의 예 맘보...

내 강아지를 보고

음식이라 부르지 않는다.

꼭 꼭 버린 자기만의 이기심에 무엇이 문화인지 모르고 사는 사람들이 있다. 갇혀

문화의 다양함을 이해하지 못하는 건방진 여배우는 뒤에서 달팽이를 구워먹고, 매추라기의 골을 빨아먹 으면서도 ‘나만 문화인’이라고 이야기 하더군. 우리는 서로 다른 표정을 하고 서로 다른 생각을 하며 산다. 문화는 인간의 역사와 함께 있다. 관심없는 사람들... 표정이 사라진 문화인...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지구촌은 작은 관심에서부터 출발한 ‘참여’와 ‘수용’의 집합체이다.

226


6. cartoon & animation 이야기 영상제작의 기초 - 시나리오와

티를 만화로/ 영상제작의 원리를 애니 이션으로 ⇒ 만화의 한 컷은 영화에서의 한컷(샷)과 같다. ⇒ 만화를 읽을 때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는 것은 시간의 름이다. ⇒ 영상에서는 없는 만화의 ‘사이’의 개념을 알아보고 영상에서 “사이”에 해당하는 시간의 름이 나 장면의 전환 등을 알아본다. ⇒ 만화를 한편 일고 나면 기억에 남는 컷이 있다. 이것을 티에 적용해 본다. ⇒ 필름으로 제작된 영화는 각기 다른 컷의 사진을 빨리 움직이는 것과 같다. 콘

음... 만화는 간단하고 재미있기도 하고, 가끔은 허무하기도 하다. 이런 만화를 예전의 부모님들은 왜 그리 나쁜(?) 문화로 치부해버렸는지? 하지만 인터넷의 영향으로 컴을 이용해 만화를 보는 것은 더 이상 창피하고 어색한 일이 아니되 어버렸다. 가끔은 우리가 하고싶은 말을 단 한 컷 으로 속시원히 표현하기도 하고, 상상 속의 일들을

마치 꿈을 꾸듯 그려내기도 한다. 그럼 미디어의 한 장르인 만화를 살펴보자. 만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카툰(cartoon)이라는 단어를 빼먹을 수가 없다. 카툰의 의미는 원래 예술가들이 예술작품을 만들기 전에 종이에 크게 그리거나 스케치한 한 컷그림을 말한다. 그러나 인 술의 발달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스케치를 통틀어 카툰이 라 부르게 되었고 서양에서는 만화를 총칭해서 말하기도 하나 만화의 장르 구분상 한컷 쇄

만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주로 시사만평 등) 카툰과 이야기 만화(comicstrip)의 차이를 보면 이야기 만화는 누가 무엇을 어디서 어떻게 하였느냐 하는 주인공의 행위에 중점을 둔 반면 카툰은 정확한 주제로 메시지나 감정을 전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차이가 있다. 카툰은 일상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일들이 소재로 다뤄지며 시사, 환경, 자유, 평화 등에 대한 주제들 같은 수많은 아이디어들과 소재들로 타 예술분야의 창작활동에 근원이 되어주기도 한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27


카툰은 한 컷으로 의미를 전달하므로 주변에 대한 세심한 관찰력, 기발한 발상, 사상의 함축성, 직관력과 함께 재치까지도 요구하며 이야기만화를 소설에 비유한다면 카툰은 시에 비유되기도 한다.

위의 아스키 아트인 ‘마음의 사막’은 아스키 문자만을 이용한 그림으로 카툰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리1 : 아이들과 아스키 문자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의미를

N

S

내용:

원래 작가의 의도는 “서로가 원하면서 등돌린 세상... 우리가 원하는 것은 그대는 어떤 의미를...?

228

표현할 수 있다.

리 있지

않습니다.”

니다.


만화의 약속! 누구랑?

만화에는 누구와의 약속인지는 모르지만 우리가 다 아는 약속들이 있다. 사진이나 회화, 사실화가 인물의 모습과 가장 닮은 상징이라는 것은 상식이며, 사진을 계 속해서 더 단순하게 만들면 사진의 ‘실제’얼굴과 점점 더 멀어지게 된다.

하지만 마지막의 그림이 사람이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가장 단순화시킨 것은 모든 얼굴의 공통점으로 공감할 수가 있다. 순정만화의 주인공들이 머리스타일만 다를 뿐 얼굴 이 똑같다는걸 아는 사람은 다 안다. 이것이 흔히 카툰이라고 하는 상징적인 그림의 비밀이다. 만화는 사진이나, 회화보다 훨 씬 단순화, 상징화의 작업이 수월하고 또 그렇게 함으로써 객관적 시각을 갖게 하기보다 는, 단순화된 캐릭터 안에 들어있고 수용자는 보다 쉽게 캐릭터와의 감정이입을 시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것을 이용해 대부분의 인물들은 독자가 일치감을 느낄 수 있도록 단 순하게 처리하고 다른 몇몇 인물들은 좀더 사실적으로 그려서 ‘다른 사람’이라는 걸 보여 주는 것이다. 만화 안에는 수도 없이 많은 기호와 상징이 쓰인다. 누구에게 배우지 않았어도 그 언어를 익숙하게 읽어 내릴 수 있다. 만화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기호를 통해 그 언어를 익혀보 자. 꺼리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29


그림은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똥‘이지요? 옆에다가 연기가 나는 것과 같은 표시를 해보자. 처음에는 그냥 변이었던 것이 다른 무엇인가를 첨가하면서 냄새가 나는 것도 같고, 방금 해결을 한 것과 같은 느낌? 이건 설명하지 않아도 안다. 만화책을 보면 우리는 칸과 칸 사이에 자기 도 모르는 새 “사이”에서 흐르고 있는 시간의 흐름을 알고 있습니다 누가 가르쳐 준 곳도 아니고 훈련을 받은 적도 없는데 말이다.

옆의 만화를 보아도 주가 가르쳐주지 안아도 시간의 름을 알 수 있고, 어떠한 상황이 일어난 것인지 이해하고 웃을 수 있는 것이 다. 이것이 약속하지 않은 만화의 약속이다 ; 과 기호 그리고 다양한 상징으로 표현되는 만화의 세계는 수용자가 자기의 감정을 만화 의 지면에 던져 넣지 않으면 그 어떤 소리도 움직임도 느 지지 않는다. 만화의 언어는 수용자의 매우 적극적인 참여로 이루어지고 있 흐

^ ^ 글

는 것이다.

모든 미디어는 인간으로부터 출발하고, 만화 역시 인간으로부터 나와 생명력을 부여받고 있다. 모든 사람은 기본적으로 보고 듣고 느끼는 것을 사람에 기초해 연상하는데 만화는 그것을 이용해 마음을 움직이게 하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발하게 한다. 다음의 그림에 어디든지 눈동자를 그려보자. 면 재미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꺼리

230

◉이런 형태의 눈동자를 그림에 첨가시켜보


자기의 마음가짐에 따라 사물은 다른 각도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만화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징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 만화의 기본적 언어의 습관중 하나는 만화에서 표현하고 있는 말풍선이다. 말풍선은 그 종류에 따라 소리를 표현하기도 하고 느낌과 기분을 보여주기도 하는 만화의 대표적인 상 징이다. 만화의 상징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만화의 상황을 자신이 선택해 볼 수 있 다. 이것은 마치 영상제작에 있어 스토리 보드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만화라는 매체가 가지는 특수성과 철학이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애니메이션) 역시 마찬가지이다. 단순화된 상징이야말로 자기와의 동일시를 가장 빨리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이들은 애니메이 션 속의 주인공을 나와는 다른 어떤 객관적 인물이라기 보다 자기 자신, 혹은 아주 가까운 누군가와 연결시키게 되는 것이다. 사실화에 가깝게 정교한 애니메이션도 있다. 하지만 그 안에서도 감정의 기복의 표현하는 방법을 잘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예전에 방영했던 슬램덩크의 경우 강백호나 서태웅은 절묘한 패스와 그 특유의 운동신경으로 농구장을 휩쓸 때 그 진지한 얼굴과 미세한 땀방 울까지 포착한 그림으로 보여지지만, 둘이 신경전을 벌일 때는 갑자기 백호의 다리가 짧아 지면서 얼굴이 갑자기 납작해진다. 아마 백호의 이런 점이 인간적인 정서에 가깝게 다가가 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멋진 모습으로 변하면 그 어떤 선수보다 역동적이고 사실적 으로 농구를 묘사한다. 애니메이션이 아이들을 매료시키는 첫 번째 이유는 이런 단순화의 원리에 있다.

7. 함께 해보는 애니메이션의 원리 플립북 (flip book)

책 속에는 중요한 단어에 밑줄은 없어도, 책장 한 귀퉁이에 화살표는 몇 십 쪽에 걸쳐서 그려져 있는 그 무언가가... 아마 화살표가 아니었는지? 이렇게 작업해보는 것이 바로 애니 메이션이다. 이런 것을 플립북이라고 한다. 지금 보고 있는 책에다 화살표를 직접 그려보자. 첫 페이지부터 화살표를 아래에서부터 ↑이렇게 그려 보자. 조금씩 위치를 달리하여 30페 이지 정도 너머까지 그려 넣고는 책장을 넘기는 작업이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31


좀 더 여유가 있다면 그림을 그려보는 것 도 해볼 만 하다. 움직이지 않는 것을 움직이게 하는 모든 것을 애니 이션이라고 부른다. 우린 가장 쉽게 로판지에 그림을 그려서 만들어진 애니 이션(만화영화)을 지칭 해서 부르기도 하지만 애니 이션은 여러 종류 가 있다. 점 로 만들어진 레이 이션이나 이스 리 같은 컴퓨터 애니 이 션까지... 에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메

하자. 어릴 때 그려보았던 플립북에서 살아서 날아가는 화살표가 넓게 애니메이션과 관계 있었다는 사실을 몰랐겠지만 이렇게 친한

존재였다. 잔상개비72)

애니메이션이란 단어는 라틴어 아니마(ANIMA, 혼, 정신, 영혼, 생명)에서 유래되었다. “애니메이션이란 생명이 없는 사물을 움직여 보이게 하는 영상물”이라는 정의를 내려 볼 수 있다. 우리는 흔히 애니메이션 영화를 애니메이션, 만화, 만화영화 등의 용어와 같이 쓰기도 하 는데 엄밀하게 이야기하면 이들 서로간에는 차이가 있다. 만화영화는 애니메이션의 한 부 분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애니메이션의 장르 중에서 가장 상업화되고 대중화된 장르가 만 화영화(만화영화는 움직이지 않는 것들을 살아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도록 만드는 영화 제작기법이며 동화(動畵)라고도 한다)라서 애니메이션보다 친숙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참고자료 만화평론가 박인화씨는 인간의 욕망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인간은 창조 성과 목적성, 자주성을 근본적으로 가지고 살아간다. 이 세 가지 고유한 특성이 다른 동물 들과 달리 문화를 건설하고 사회를 만들고, 역사를 존재하게 한다. 인간의 창조성은 눈앞 에 살아 움직이는 세계를 자신의 힘으로 재현해 보고자 하는 욕망을 만들어 냈다. 그 욕망 은 오랜 옛날부터 차츰차츰 발전되고 실현되어졌다. 원시인들은 자신들이 사냥하는 동물을 자신들의 손에 의해 재현해 보고자 했다. 유명한 알타미라 동굴의 벽화나 우리 나라 청동

a ma r p

72) 원래의 명칭은 th u t o e(토마트로프)이다. 망막에 투영된 잔상이 남는 효과를 설명하 기 위해 바람개비처럼 돌려서 실험해 보는 것. 잔상의 효과+바람개비 를 합성해 만들어낸 단 어 232


기 시대의 유적인 ‘울주군 반구대 암각화’를 보면, 인간의 그러한 욕망을 읽을 수 있다. 하 여튼 울주군 반구대 암각화에 그려진 옆으로 크고 작은 고기들이 일률적인 것이 아닌 다 양한 크기의 그림들로 그려진 것과 애니메이션의 최초 모델로 자주 소개되는 스페인 북부 알타미라 동굴 벽화에 나타나는 멧돼지의 다리가 8개로 그려진 사실을 보면서 우리는 대 상물을 단순히 ‘그림’으로서 ‘표현’되는 대상이 아니라 ‘살아서 움직’이게 하고픈 욕망이 있 었다고 추측한다. 그림뿐만이 아니라 그림과 얽혀 전하는 전설이나 민담 등을 보면 '살아있는 그림'에 대한 우리 조상들의 끈질긴 욕망을 읽어 낼 수 있다. 삼국시대 화가 '솔거'가 황룡사 벽에 소나 무 그림을 그렸더니 새들이 진짜 나무인줄 알고 날아와 부딪혔다는 이야기 등 일직이 '움 직이는 그림', '살아있는 그림', '생동감 있는 그림' 등에 대한 전설이 있었다. 화룡점정(畵 龍點睛)이라는 고사성어에 얽힌 전설은 '살아있는 그림'에 대한 정수이다. 중국의 장승유라 는 화가가 안락사 사찰의 벽에 용의 그림을 그렸다. 그런데 눈만 빼놓은 채 완성했다고 하 는 것이 아닌가, 눈을 그리지 않았다는 성화에 결국 눈을 그리고 나니 용이 벽에서 하늘로 올라갔다는 이야기다. 이렇듯 '움직이는 그림', '살아있는 그림'에 대한 욕망은 우리 선조 때부터 전해내려 오 던 인간의 근원적인 욕망이었던 것이다. 잔상개비 만들기

하드보드를 사용해서 동그랗게 오려낸다. ② 하드보드에다 펀치로 양쪽 끝에 구멍을 뚫는다. ③ 하드보드 한 쪽 면에는 배경그림(가급적 흰 바탕에 그린다)을 그리고 다른 그리고 싶은 것을 그린다. ④ 뚫린 구멍에 실이나 고무줄을 끼워서 완성. ⑤ 완성이 다 되었으면 실이나 고무줄을 팽팽하게 감은 뒤 돌린다. ①

면에는

막잔상의 원리 - 프레임이 24개?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33


애니메이션은 ‘움직이는 그림’이고 ‘살아있는 그림’이라 말할 수 있다. 우선 애니메이션 영상을 눈으로 받아들이기에도 실제적으로 그려진 사물이 움직이는 것 처럼 보인다. 이 원리를 알고 싶다면 지금 당장 시험해 보자. 창문을 보고 있다가 갑자기 눈을 감아 보자. 그러면 창문의 잔상이 어느 정도 시간동안 남아 있게 된다. 우리 눈은 약 1/8초 동안 망막에 맺힌 이미지들을 기억하고 있다. 곧 빛이 사라진다고 해서 망막에 투여 된 이미지가 바로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점을 이용한 것이 그 동안 해온 작업의 열쇠이다. 영화나 TV도 차이가 있겠지만 이러한 인간의 망막잔상을 이용한 것이다. 만약 우리 눈에 이런 한계가 없었다면 시각을 이용한 영상이 있었을까? 애니메이션은 기본적으로 1초에 24장의 그림을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다. 앞서 이야기했듯 이 8장의 그림을 빨리 움직여도 그렇게 보이지만 약간 투박한 느낌이 든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1초에 약24개의 그림들이 조금씩 변화한다면 우리는 그 그림들을 보며 ‘움직임’을 느끼는 것이다. 1초에 24프레임의 그림을 움직인다는 원리는 영화와 애 니메이션이 동일하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은 영화에 비해 24프레임이라 는 영역 속에 감독이 개입할 여지가 많이 있다. 영화가 실제사물을 찍 을 수밖에 없다면, 애니메이션은 24프레임 속에 영화에서 불가능한 부 분까지 모두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애니메이션의 가장 커다란 장점이다. 영화촬영용 카메라와 영화영사기는 이전의 매초 16프레임보다 더 많은 24프레임을 촬영 하고 보여줌으로써 더 부드러운 동작의 연결의 흐름을 추구한다. 매 프레임을 그리거나 복 잡한 과정을 통해 촬영되는 애니메이션 같은 그림을 3프레임씩 반복 촬영함으로써 초당 24프레임의 표준 매수를 맞춘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영화영사기는 매초 24프레임의 표준 투사속도에 맞추어져 있어 속도의 조절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렇게 반복 프레임을 사용함 으로써 동작의 부드러움을 희생하는 대신 작업의 노동량을 줄일 수 있다. TV․비디오 상 영을 전제로 한 작업은 TV․비디오의 투사표준인 매초 30프레임을 기준으로 작업한다. TV나 비디오는 이것과 발상은 같지만 플래시의 조합이므로 1초에 30번에 가까운 플래시 가 터지는 것을 조합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정확하게는 29.97프레임이다)

★참고자료 : 이 시대에 애니 이션과 분리될 수 없는 메

릭터

우리는 어느새 애니메이션하면 캐릭터를 떠올리게 된다. 마치 캐릭터가 애니메이션 속에 서 창출되는 줄기이고 얼굴 인양 말이다. 그래서 애니메이션을 배우면서 캐릭터의 개념을 어느 정도 생각해 봤으면 한다. 왜냐하면 캐릭터라 하면 일상적으로 애니메이션과 함께 따 234


라 다니는 실과 바늘이기 때문이라고나 할까? 그것도 느낌으로 호감이 많이 가는 이미지 말이다. 캐릭터는 스타시스템 개념과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캐릭터는 ‘연상이 강한 이미지물’이라고 정의 할 수 있는데 이것이 상품 또는 커뮤니케이 션 매체에 적용되었을 때 캐릭터라 하고 대중화 단계를 캐릭터 산업이라 한다.<강우현 글 인용> 곧, ‘만화적인 형상’을 지칭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긴 하지만 만화라고 해서 모두 캐릭터가 될 수 없듯이 조건이 따른다. 그것은 개성의 산물이되 대중적 관심과 인기가 동 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러스트레이션 분야에서의 캐릭터 개념은 어떠한 대상이 흥미로운 이미지와 일관성 있 는 이미지를 전달하는 특정한 주인공을 말하는 것으로 호돌이, 꿈돌이 등 국가적 행사에서 부터 작게는 광고, 애니메이션, 동화책, 문구, 팬시용품, 전자오락 등 그 사용범위가 대단히 넓다고 한다. 주로 동물들을 의인화하는 예가 많으며 그 대상과 표현의 영역은 광범위하고 심볼 마크와 구별하여 사용한다. 애니메이션의 종류

1. 촬영 프레임수로 나눈 애니메이션의 종류 @ Full Animation

촬영 대상을 1초당 24매씩 촬영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Full Animation이라고 한다. 이 방 식은 미국 월드 디 니의 대표적 스타일이며 세계 대부분의 촬영 방식 중 하나이다. 기본적 초당 매수 적용을 24frame을 기본으로 하지만 고밀도 작업에선 120frame이상까지 도 적용하는 파격적인 디지탈 애니 이션이 등장하고 있다. Full Animation은 제작 기간과 제작비가 Limited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지만 화면상 움직임이 부드럽다는 특징을 갖 고 있으며 frame 수가 많은 만 화면 진행 속도가 느리다. 즈

@ Lited Animation

촬영 대상을 2매(2콤마) 또는 3매(3콤마) 이상씩 반복 촬영해 나감으로써 화면 진행 속도 를 빠르게 하는 것을 Limited Animation이라 한다. 이 방식은 일본의 대표적인 스타일이며 수가 적게 드는 것이 특징이다. 그 만 제작 기간과 제작비가 적고, 빠른 화면의 취약점을 살리기 위한 연출과 효과의 비중이 진다. Full Animation이 부드러운 을 추구한다면 Limited Animation은 딱딱하면서 절도와 스 피드를 추구한다. 2. 제작방식에 따른 종류 셀

@ 셀 애니메이션 (아기공룡 둘리, 슬램덩크, 뮬란등)

우리가

매일 TV에서

보는 애니메이션이다.

종이에 그린 그림(원화,

동화)을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35


(celluloid)에 옮기고, 그 뒷면에 채색한 후 배경 위 에 셀을 겹쳐 놓고 한 프레임씩 촬영해 나가는 것 으로 대표적인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이다. 이 기법은 분업이 가능하여 상업 애니메이션으로 발전했고요, 오늘날 가장 많이 쓰이는 기법이다. 느 낌이 따뜻하고 여러 가지 효과가 가능한 등 장점이 많아 가장 대중적으로 쓰이는 방식이다. @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크리스마스의 악몽, 윌레 스와 그로밋등)

여러 가지 재료로 만든 인형이나 모형을 약간씩 움직이면서 찍는 방식으로 굉장한 노력 과 기간이 필요한 방식이다. 필요한 장면 또는 화면 전체를 인형이나 모형, 흙, 모래 등으 로 조금씩 변화를 줘가며 촬영해 나가는 것으로 입체감을 뚜렷이 느낄 수 있다. 고전적인 SF영화의 특수효과(실제 촬영이 힘들거나 허구를 창조해낼 때 쓰입니다.)를 낼 때도 쓰며 특별히 찰흙으로 만든 것을 클레이메이션이라고 한다. 이 방법은 제작시에 시간이 굉장히 많이 걸리고 제작 방법상의 문제로 부드러운 움직임이나 격렬한 동작을 만들기 힘들다. @ 종이 애니메이션(Paper Animation)

이 기법은 셀 애니메이션과 같으나 단지 셀을 사용하지 않고 모든 컷의 내용을 종이에 그려 그것을 그대로 촬영한다는 것이 다르다. 종이 한 장에 배경과 캐릭터가 그려지고 캐 릭터의 움직임에 따라 또 다른 종이에 그 배경과 조금 변화된 캐릭터를 그린다. 셀 애니메 이션은 여러 장의 셀을 한 장의 배경 위에 놓고 촬영하지만 종이 애니메이션은 배경과 캐 릭터가 함께 그려진 종이를 계속해서 교체한다. 캐릭터와 배경의 선이 함께 변화하는 점은 환상적이기는 하지만 장편에 적합하지 못하다. 작가 혼자 모든 과정을 처리하기 때문에 오 랜 제작 기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장 개성적이고 회화적인 표현이 가능해 작품을 부각시키는데 쓰인다. @ 절지 애니메이션

대개 종이나 헝겊, 또는 나무 등으로 만든 그림을 잘라내어 배경 위에 겹쳐 놓고 는 것으로 질감의 특성을 부각시키고 단조로우나 깊이감을 줄 때 주로 쓰인다. @ 시네리카

애니메이션 (핸드 메이드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의 대상이 될 그림을 칼이나 송곳, 칼 같은 도구로 필름 그린 후 채색하거나 빛을 투과하여 효과를 얻는 기법을 말한다. 236

촬영하

표면을 긁어 그림을


이 기법은 작은 필름 위에 정교한 애니메이션을 줘야 하기 때문에 섬세하고 세심한 작업 이 요구된다. 흔히 영화에서 말하는 Rotoscoping작업이라 불리기도 하며 대표적인 것이 스타워즈의 광 선검 같은 것이다. @ 컴퓨터 애니메이션 (토이스토리, 개미, 벅스라이프 등)

요즘 들어 각광 받고 있는 새로운 방식의 애니메이션으로 예전 같이 셀 애니메이션에 특수한 CG를 넣은 것이 아닌 모든 것을 CG로 표현하는 애니메이션이다. 수작업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현실적이고 환 상적인 표현을 컴퓨터에 의해 사실적인 표현 은 물론 기대하지 못하는 그 이상의 것을 만 들어 낼 수 있고 수작업 애니메이션에서 오 는 환경 문제와 정확성, 깨끗한 화질, 전문성 등을 실현할 수 있다. 요즘에는 동화까지 셀 애니메이션으로 작업한 후 스캐닝에 의해 디지탈화하여 채색 이후 의 작업을 컴퓨터에서 하기도 한다. 이렇게 컴퓨터로 작업을 하면 제작비가 절감되는 장점 이 있다. @ 실루엣 애니메이션(Silhoutte Animation) (프린스 & 프린세스)

검은 종이를 접거나 오려서 릭터와 배 경의 형태를 만든 후 이것을 변화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해놓고 촬영하는 방법과 릭터와 배경을 두 운 종이로 오려 제작하 고 그 에서 조명을 비추어 그림자를 만 든 후 촬영하는 방법이 있다. 실루엣 애니 이션은 백의 강한 트라스트로 구성 된다. 형체도 전체 외곽선에 의한 윤곽만을 볼 수 있어 단조로우나 은 의미를 담아 낼 수 있다. 우리가 그림자 연극을 볼 때 노출되지 않은 것에 대하여 신비감과 흥미 이션도 마찬가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캐

느 듯 실루엣 애니

@ 추상

․실험 애니메이션(Abstraction Animation)

추상은 구상에 비해 그 표현의 세계가 무한하다. 추상 애니 이션 작가들은 정사각형과 직사각형, 점, 선의 여러 형태, 음악의 기호 등에서 그 소재를 다양하게 찾고 있다. 또한 그 래 컴퓨터의 발달로 보다 다양한 표현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메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37


8. 미디어제작 방법론 지금까지는 영상언어와 그 원리를 알아 보았다. 하지만 각 매체는 그 자체로 학을 가지고 있다. 영상제작의 기초와 원리가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매체의 학속에 푹 담겨졌다가 나오면서 자신도 모르는사이 영상제작을 하게 될 때 모든 모든

특성과 철 특성과 철

매체가 인간으로부터 나오는 것이구나! 매체는 하나였구나!

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왜냐하면 만화의 언어든 애니메이션의 언어든 그 공통점을 발견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진이 영상언어의 기초가 되었다면 그것이 연결되는 것이 영상언어 의 편집이 된다. 또한 만화의 언어에서 기호와 상징이 뮤직비디오와 애니메이션과 연관을 갖고, 사진의 한컷처럼 만화의 한컷이 가지는 힘과 마찬가지로 영화의 한 씬이 만화의 한 장면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매체가 궁극적으로 하나라는 것이다. 사람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이다. 지금부터의 작업은 실제 영화제작이나 뮤직비디오 제작에서 활용하는 방법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함께하는 작업에서 집단역동을 감지해 내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검 증된 것으로 권하는 방법론이다.

①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작업은 충분한 대화. 우리는 무엇을 영상언어로 만들어야 할지, 등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본다.

목적은 무엇인지,

역할은 어떻게 나눌것인지

② 주제를 선정 공동작업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주제를 선택할 것인가이다. 각자 다른 생각과 사상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동의 화제나 공동의 주제를 유도해 내는 일이란 쉽지 않 은 일이다. 하지만 모두가 원하는 무언가는 반드시 있다. 그리고 그것을 시각으로 표현해 낼 수 있다.

③ 시놉시스(synopsis) 시놉시스란 줄거리를 얘기하는 것이다. 영화를 보러가면 나누어주는 개와 같이 전체의 그림을 그려보는 것을 말한다. 238

팜 렛에 줄거리 소 플


주제가 줄거리에서 묻어나야하고 그 줄거리는 등장인물(혹은 그 이외의 것)의 입장에서 보여진다. 큰 줄거리와 등장인물의 성격등에서 얻어지는 아이템을 적절하게 주제에 흡수 해야 하는 것이다. - 주제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모으고 연구, 분석 - 주제에 대해 생각할 때는 줄거리와 등장 인물에서 시작 주제 행동(실제적, 감정적) 등장인물(인물의 필요성을 정의) - 등장 인물의 필요성을 규정 인물은 무엇을 통해서 주제를 보여줄 것인지를 규정 - 등장인물과 부딪치는 사건을 중시 사건을 일으키고 그것을 해결하는 과정으로 이야기는 항상 그 해결을 리고 그것을 통해 주제를 부각 시킨다. * 모든 줄거리에는 동등하면서도 상반되는 반작용이 있다.

향해서 나간다. 그

④ 형식(genre) 광고로 할 것인지, 단편영화인지, 뮤직비디오인지, 다큐멘터리로 할 것인지 등 주제와 시 놉시스를 가장 적절히 표현할 장르를 선택한다.

⑤ 시나리오 요즘 시나리오는 학교에서 배우는 것보다

* 다큐의 경우 제작계획서가 시나리오가 움직이게 된다.

훨씬

저 나오고

단순화 되어있다.

촬영과 함께 현장적응력을 가지고 탄력적으로

영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은 머리속으로 떠올리고 있는 것이나 이야기꺼리 혹은 글을 시 각화해나가는 과정이다. 시나리오는 그것을 글로 표현해 내는 것이다. 영상으로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므로 시각적인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을 체크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요즘의 영화 시나리오를 보면 전통적인 것과는 달리 매우 단순해지고 있다. 영화언 어에 익숙해 질수록 글로 표현되는 것이 줄어들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시나리오나 콘티 가 잘 짜여지면 그만큼 기초가 튼튼한 영상물이 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글로 표현 되는 것은 더욱 정교해지고 정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 이므로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시나리오를 쓰기전 사전단계로 제작계획서를 작성해 보면 이야기의 구성이 훨씬 쉬워질 수 있다. 가장 먼저 큰 줄거리를 잡는다. 이야기의 줄거리(시놉시스)를 만들고 나면 하나 하나 작업에 들어간다. 설정, 전개 그리고 결말을 구체적으로 만들어 본다. 대사나 나레이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39


션 등을 만들고.... 시나리오의 설정 - 설정은 이야기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설정에서 관객은 호감을 갖고 영화를 볼 것인지, 따분하게 볼 것인지를 짐작하게 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감독은 설정부분에서 거의 모든 이야기의 상징적인 복선을 주게된다. - 시작 부분의 마지막이 구성점(plot point)이다. : 이야기를 다른 방향으로 전환한다 시나리오의 전개(구체적인 사건의 시작,충돌,대립) - 시나리오에서 대립부분이라 불리우며 갈등이 나타나는

곳이다.

결말 - 영화의 성격에 따라 결말이 획기적으로 전환되는 경우도 있고 관객의 상상에 맡 기는 경우도 있다. - 가장 중요한 것은 관객과 어떻게 함께 호흡할 것인가를 결말에서 보여주어야 하 므로 설정과 전개와의 개연성과 적절한 클라이막스를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를 고 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나리오의 시작과 결말 시나리오를 시작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야기의 결말을 아는 것이다. 시지의 명확한 전달을 위해서 혹은 제작자와 수용자간의 적절한 니케이션을 위해서 풀어놓은 제작자 의 의도가 있어야 한다. 시나리오의 구조는 연결된 사건과 에피소드 상황들의 점진적인 발 전이 극적인 해결에 도달하게 된다. 시나리오를 기전 이야기의 결말을 미리 생각해 두는 것이 좋다. 메

커뮤

*

(SCENE) 씬이란 시나리오에서 가장 주요한 개별적 요소이다. 씬의 목적은 이야기를 앞으로 진행시 키는데 있다. 모든 씬에는 장소와 시간이라는 요소가 있습. (시간과 장소는 씬을 구성하기 전에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시간이나 장소를 바꾸면 새로운 씬이 된다) 이것은 씬의 일 반성이다. 그리고 또한 각 씬은 카메라 위치의 변화를 요구하고, 따라서 조명도 바뀌어야 한다. 이것은 씬의 특수성이라 할 수 있다. - 하나의 씬은 전체 시나리오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시작, 중간, 결말을 갖고 있다. - 일반적으로 액션씬과 대화씬의 두 종류로 나뉜다. - 어떻게 만들까? : 우선 배경을 창조하고 내용을 결정해야한다. : 무슨일, 씬의 목적, 씬의 위치 씬속으로 요소들과 내용물을 찾아야... (항상 보다 시각적인 것을 찾아내도록 한다.) 씬

240


: 씬을 쓸 때, 씬의 분위기에 거슬려서 극적으로 묘사하는 방법을 찾는다. : 갈등을 찾는다. 씬의 목적을 찾고, 그 씬을 적절한 시간과 장소 속에 위치시키며, 씬의 기능을 발 휘하게끔 하는 내용물, 요소들을 찾아야 한다. - 이야기가 발전되도록 씬들을 완전히 통제하는 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 씬의 어떤 부 분을 보여줄 것인지 선택해야만 한다.

⑥ 콘티작성 본격적으로 시각으로 옮기는 작업이다. 콘티가 잘 써져 있으면 시간도 절약할 수 있고 좋 은 화면을 얻을 수 있다. 콘티의 작성에서 지금까지의 내용들이 스치고 지나쳐야 한다. 만 화의 원리와 구성, 애니메이션, 사진뜨개질, 프레임의 원리등등. 일단 줄거리를 구상했으면 각 장면들을 종이 위에 그린 스토리 보드(콘티)를 만들어 세부 적으로 그 스토리를 완성한다. 이것은 아주 기초적인 일이지만 촬영전에 미리 스토리 보드를 만들어 두면 여러 가지 이 유에서 유용하다. 스토리 보드는 무엇을, 왜 촬영하는가를 생각하게 만들어 준다. 각 사건들에 대해서 자연 스러운 논리와 흐름을 만드는데 집중할 수 있으며 연결 장면들을 예상할 수 있게 한다. 동 작과 모습의 계속성을 미리 자세하게 계획하는데 도움이 된다. 편집을 할 때에는 이 스토 리 보드가 각 장면의 편집 순서를 정해주는 기본계획이 되는 것이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41


콘티의 예

242


제 작 계 획 서

둠 역 할

주 제

둠 감

스크 립터 장르 : (

카메라

음 향

미술,조명 )

줄 거 리: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43


모 제

씬/ 드로잉콘티 컷 drawing 앵 글 시간 넘 Continuity Camera Angle 버

244

둠: 목: 대사,지문 / 배경음악


스 토 리 보 드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45


246


★참고자료 : 영화용어 * FILM

- 가장 일반적이고 중립적인 용어 - 영화라고 하는 예술 또는 영화 작품 자체 - 영화를 제작하는 일. 영화의 촬영을 뜻함. - 예술 또는 진지한 형태로서의 예술을 뜻하는 시네마와는 데올로기 측면을 지칭

달리 영화작품 또는 정치 이

* MOVIE

- 영화의 속어로 영화가 상품성임을 의미. 소비성, 경제적 상품적 가치를 뜻함. - 대중적인 오락, 산업 상품으로서의 경제적 측면 강조 * Motion Picture - 영화. 영화사 초창기에 그 원리가 정사진의 연속 또는 회화적 영상이 움직이는 것과 같 다고 하여 불리워졌던 영화의 별칭 - 움직이는 그림. 제작상의 과정, 대형산업 따위를 대표

* CINEMA - 움직임을

하는 그리스어 키네시스(kinesis)에서 유래된 용어, 영화사 초창기에는 영화 카메라나 영사기를 뜻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또는 영어권에서는 영화관을 뜻 하기도 함. * Film규격 - 필름은 기다란 띠 모양으로 생겼는데 이 필름의 나비가 곧 필름의 규격이다. 8mm, 16mm, 35mm, 70mm등이 있는데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필름의 규격은 35mm이고, 규격 이 클수록 선명한 화면을 얻을 수 있다. * 영화에서의 단락 Shot - 영화 구조의 문법적 기본단위로서 한번의 중단이나 방해 없이 연속적으로 촬영 된 장면 또는 편집시 잘려진 필름의 각 부분들 Scene - 여러개의 샷이 모여서 이루어지는 영화의 한 장면 Seqence - 장소, 액션, 시간의 연속성을 통해 하나의 에피소드를 이루는 이야기가 시작 되고 끝나는 독립적 구성단위.

*

렌즈

어안렌즈 광각렌즈

표준

렌즈

망원렌즈

종류 - 피사체가 극도로 왜곡되어 보이는 로서 영상이 둥 게 나타난다. - 표준 보다 의 길이가 짧아 은 지역을 찍을 수 있는 - 인간의 시각에 가장 가깝도록 영상을 포착하는 - 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는 렌즈

렌즈

렌즈

렌즈

렌즈

* 촬영에서 카

렌즈

라의 이동에 따른 용어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47


(pan) -

왼쪽에서 오른쪽 혹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카 라를 이동시키는 촬영, 배경에 대한 은 시야를 제공하는 설정화면을 둘 수 있다. 틸트(tilt) - 아래에서 위로 혹은 위에서 아래로 처럼 카 라를 이동시키는 촬영이다. 팬

★참고자료 : 영화의 작법을 이해하자. 영화를 이해하자고 하면 영화를 갈기갈기 찢어서 분해 해보고 숨은 의미를 해석해 내는 작업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영화는 이해하기 위해 존재하지 않는다. 시인이 자기의 작품을 세인에게 발표하면서 모든 사람이 동일한 느낌과 이해의 정도를 요구하지 않는 것 과 같은 것이다. 문화행위를 포함한 많은 것과 마찬가지로 익숙해지거나 쉬워지면 빨리 인식할 수 있고 더욱 재미있어진다. 스타크래프트 등 컴퓨터게임도 사용할 수 있는 무기와 다양한 전술을 이해해야만 그것의 재미를 느낄 수 있듯이 영화도 그 작법을 이해하면 좀더 재미있게 감 상 할 수 있다. 영화는 편집으로 완성된다. 영화는 철저한 계산으로 (물론 작가에 따라 방식은 천차만별) 만들어 진다. 달리 표현하 면 영화는 작가의 주관적 개입의 정도에 따라 수용자들의 의도를 바꾸게 된다. 그 주된 요 인은 역시 편집의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흔히 ××영화제 수상작, 혹은 작가주 의 영화라는 영화는 지루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지루하다 라는 느낌은 무엇일까? 왕가위 영화는 영화의 전반적인 조명톤과 들고 찍는 카메라에 빠른 편집으로 도저히 지 루할 사이가 없다. 그 내용과 철학적 대사에 아랑곳 하지 않고 대중의 사랑을 받는 영화였 다. 왕가위 편집스타일로 대중적인 영화가 되었다. 편집을 하지 않은 상태, 달리말하면 한번의 샷을 그대로 보여주고 마치 연극의 무대를 혹 은 한편의 그림이나 사진을 보듯 영화를 감상하게 되면 그 안에 배우의 행위와 움직임 그 리고 배경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영화는 지극히 관객중심적이 되는 것이다. 이른바 롱테이크(long take: 한샷의 길이를 매우 길게 촬영하는 기법)로 촬영한 영화들은 어떻게 보면 매우 지루하게 볼 수 있지만 연출자의 의도와 수용자의 합일점에 영화를 놓 고 보면 매우 심도 깊은 의사소통이 될 수 있다. 반면 편집을 통해 여러개의 샷을 이어붙여 놓으면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것을 주로 화 면에서 보게 된다. 편집에 따라 작가중심의 영화와 관객중심의 영화로도 나누어 볼 수 도 있다.

248


★참고자료 : 편집의 기법 1) 연속편집 시간과 공간의 배열이 가장 실제적으로 이루어진다. 연속 편집은 시간이나 공간이 연속적 으로 이루어 진다. 더 편하게 관객에게 설명하기 위해 롱샷으로 보여지는 화면을 설정샷 (establishing shot)이라하고 연속적으로 다른 샷을 보여주다가 중간에 다시한번 공간의 활 기를 위해 롱샷이 다시 보이는 것을 재설정샷(restablishing shot)이라 한다. 이런 설정샷이 있어야 관객은 쉽게 공간감을 가진다. 연속 편집의 시간의 순차적 배열과 더불어 큰공간→ 작은공간(그 역순일 수도 있다)의 시점샷을 담아냄으로써 움직이는 인물의 느낌 혹은 이야 기의 진행과정을 효과적으로 담아내는 것이다. 2) 고전적 편집 연속편집의 발전된 편집방법이며 긴장감이나 관객의 집중을 이끌어 내기 위해 쓰여진다. 연속편집의 전형을 공간의 연속성에서 파괴하지만 시간적인 연속성은 고수해 내는 편집이 주를 이룬다. 주로 다양한 화각과 샷의 변화를 통해서 연출하는 편집이다. 3) 주제적 편집 시간, 공간의 연속성에 구애 받지 않고 주제에 따라 컷을 구성해 내는 편집이다. 그러므로 상징과 암시 복선 등의 컷이 병치되기도 하며 다양한 색감과 카메라 앵글의 변 화, 점프컷의 사용 등으로 주제를 부각시키는 편집방법이다.

편집은 분류하자면 이렇게 세가지 정도로 그 유형을 살펴볼수 있지만 그 어떤 정 도 가 지고 있지 않으며 작가의 표현방식에 따라 이 세가지 편집방법이 혼재되어 사용되면 의도 적으로 작가의 내면을 보여주기 위해 형식을 파 하기도 한다. 답

from : 영화잡지 'nega' 기획기사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49


□ 부록 : 도전! 오브제 애니메이션 제작73)

1) 활동개요 □ 활동목표 ▪ 주변에 있는 사물에 대한 관심과 다른 시각을 갖게 한다. ▪ 제작을 통하여 표현하고 싶었던 상상의 세계를 애니 이션에 담아본다. 메

□ 주요 프로그램 ▪ ‘나’를 나누어 주세요. ▪ 오브제 애니 이션 만들기 메

□ 활동과정 일반 ▪ 참가인원 : 30명 내외(6명이 한 모둠으로 총 5개모둠 구성) ▪ 지 도 자 : 전체진행자 1명 모둠 진행스탭 5명 ▪ 장 소 : 책상이 있는 강당 ▪ 소요시간 : 3시간 ▪ 준비사항 : 애니 이션용 카 라와 편집실을 갖춘 공간이어야 한다. 모둠별로 앉고 작업내용에 대한 숙지후 모둠별 작업대의 독립적인 확보가 메

▪준비물

필요하다. : 포스트잍(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는 촬영용 디지털카메라, 영상편집기

모지), 인형재료, 연필, 애니메이션

□ 유의사항 ▪ 애니 이션의 기술적인 접근 보다는 애니 이션으로 만들어지는 내용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주변환경이나 개인의 소품에 생명력을 불어넣게 되는 과정에서 ‘자아’를 생각해 볼 수 있고 만화와 애니 이션등의 미디어가 우리에게 어떤 느 을 주는 것인가를 깨닫는 것 메

이 중요하다. ▪ 제작당시는 애니메이션 소품이 움직이는 가운데 카메라나 소품의 분실 또는 움직임을 최소화 하여야 하므로 독립적인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 조명을 사용하여 주변 상황을 통제하는 것이 제작에서 최고의 관건이지만 조명기구가 없을때는 집에서 사용하는 스탠드 라이트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73) 이 원고는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수련거리 의뢰를 250

받고 작성한 원고입니다.


2) 활동내용 □ 과정 1. ‘나’를 나누어 주세요 (오브제 만들기)

☞ 준비물 : 인형만들기 재료(눈알), 연필, 포스트잍 ▪ 우리는 주변에서 아주 작은 소품을 만납니다. ▪ 주머니에 있는 것이나 필통에 있는 지우개 연필 등을 내 놓습니다. ▪ 지금 보고 있는 작은 물건들과 이 안에 있는 여러 사물들을 유심히 관찰해 보세요. ▪ 어떤것이든 좋습니다. 사람과 가장 아 보이는 것은 무엇이 있는지 찾아봅시다. ▪ 만약 자기가 생각하기에 사람으로 보이는 것이 있으면 다른 사람에게도 왜 그것이 사 람처럼 보이는 지 알려 주셔야 합니다. ▪ 교실내부에 있는 사람과 은 사물을 하나씩 찾아봅니다. ▪ 선풍기가 고개를 돌이고 있어도 사람얼 로 보이기도 하고 전기 ▪ 센트를 가만히 들여다 보아도 사람의 눈과 코처럼 보입니다. ▪ 나누어준 인형눈알이 있습니다. 인형의 눈알을 여보세요. 꺼

▪ 이것은 책상위에서 흔히 보는 컴퓨터 스피 이 들까요?

입니다. 하지만

눈알을

여보면 어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51


▪ 두명이 대화를 나누고 있는 것 같습니다. ▪ 눈만 그려놓거나 이면 시선이 느 지는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 봅시다. 붙

▪제 드 핸

에도

여볼까요?

▪ 눈과 입을 여 넣으면 생명이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그 사물이 지금까지와 전 다르게 느 집니다. ▪ 하지만 이것은 만든사람도 그렇지만 보는 사람에 따라서 전 다른 느 이 되는 것이 붙

니다.

☞ 유의사항 ▪ 눈은 크기별로 나누어 주되 이거나 뗄 수 있는 루(풀이나 양면테 )를 사용한다. ▪ 눈을 이고 난 에는 어느곳을 바라보고 있는지 또는 무 생각을 하고 있는지에 대 한 모둠별 대화를 나누어 보는 것이 좋다. ▪ 조금 큰 눈과 입, 또는 귀 등을 만들어 강당 주변에 있는 사물에도 생명력을 주는 작업 으로 진행하지만 적정한 섹터를 주는 것이 좋다. 붙

252


□ 과정 2. 도전 오브제 애니메이션

☞ 준비물 : 포스트잍( 였다 었다 할 수 있는 모지), 인형재료, 연필, 애니 이션촬영 용 디지털카 라, 영상편집기 ▪ 모둠별로 앉습니다. ▪ 만들어진 소품중에 주인공을 설정합니다. ▪ 어떤 이야기를 만들것인지 주인공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꾸며보는 시간입니다. ▪ 간단한 티를 만들고 티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완성합니다. ▪ 시놉시스의 예 - 제목 : 연필의 눈물 # 드 이 한가로이 있다. 편지지와 연필은 눈을 리며 더 이상 아이들이 사용하지 않는 않는 것을 덜거린다. 드 의 진동으로 편지지와 연필은 깜짝 놀라지만 드 은 자연스럽게 친구들과 대화를 나눈다. 오래된 편지를 발견한다. 친구와 운 화해를 청한 다시 사이가 좋았졌던 추억이 담긴 편지이다. 아이는 오래된 친구의 편지를 보며 감동 하고 깐의 통화보다 친구의 결이 살아있는 편지를 보며 드 을 두고 편지를 기 시작한다. . ▪ 시놉시스(줄거리)가 완성되면 어 게 표현할 것인지를 생각하며 티를 만듭니다. ▪ 준비된 애니 이션 카 라를 고정시킵니다. 조명이 있다면 조명도 고정시킵니다. ▪ 주변상황을 잘 통제해야 합니다. 조금이라도 움직이거나 장면이 바뀌면 처음부터 다시 촬영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 1초에 8장정도(캠코더를 사용할 경우는 1초에 5장)를 촬영한다고 생각하면서 조금씩 오 브제를 움직여 촬영합니다. ▪ 촬영된 원본을 편집기에 옮깁니다. ▪ 편집이 완료되면 음악과 내레이션을 넣고 감상합니다. 붙

찌푸

☞ 유의사항 ▪ 한컷 한컷을 움직일 때 참가한 청소년이 하나의 오브제를 맡아서 움직임을 줄 수 있도 록 해야 한다. ▪ 역할분담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완성도가 ▪ 총 분량은 3분이 넘지 않도록 한다.

떨어질 수 있으며 지루해 할 수 있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53


3) 활동자료 □ 자료 1.

가장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애니메이션 촬영용 카메라소개

▪ 현재 애니 이션촬영을 할 수 있는 캠코더가 많이 나와 있다. 애니 이션촬영이 가능한 소니캠코더는 TRV시리 와 V 시리 이다. 에 들어가서 Frame Rec를 설정해 놓고 한 장씩 찍으면 비디오테 에 1/5초로 프레임 촬영이 가능하다. ▪ 촬영에 들어가면 프레임별로 카 라가 자동 화 되므로 편집이 용이하며, 촬영된 원본 을 프리뷰 해보기 편리하고 현재 제작하고 있는 프레임을 모니터로 확인해 볼 수 있는 장 점이 있다. ▪ 일반 디지털 스틸 카 라로 찍어서 bmp나 jpg를 편집기에 옮겨 편집하는 방법도 있다. ▪ 프리미어상에서는 bmp를 지원하기 때문에 jpg파일일 경우는 bmp로 전환하여 작업하여 메

X

메뉴

야 한다. ▪ 최근에는 저가형 디지털 카메라가 다.

많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적용하기 적합하

□ 자료 2. 편집용 소프트 웨어

▪ 캠코더로 촬영된 애니 이션 원본은 편집용 소프트 어를 이용해 각종 효과와 내레이 션등을 첨가할 수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편집 은 어도비에서 나온 프리미어를 사용 한다. 저가형으로 교육세 에서 응용할때는 피너 사의 DC10Plus(49만원선)를 이용해도 쉽 게 편집할 수 있다. ▪ 캠코더로 촬영된 원본을 편집을 하기 위해서는 캡쳐할 수 있는 캡쳐 보드가 필요한데 50만원대에서부터 1,000만원대 까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하다. ▪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용으로는 저가형으로 120-170만원선에서 구입할 수 있다. ▪ 편집은 기술을 요하기 보다는 촬영 원본이 완성도가 있어야 하며 편집장비를 갖추어 놓고 간단한 이어 이기만 하더라도 작품을 만들 수 있다. ▪ 스틸카 라를 이용하여 작업할 때는 프리미어 상에서 bmp파일을 지원하는데 한 프레임 씩에 대한 간격을 1/8프레임으로 설정하여 편집하면 된다. ▪ 스틸카 라로 작업했을 경우는 캡쳐보드가 따로 필요하지 않으나 소스를 비디오테 으 로 전화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 스틸카 라를 원본으로 사용할 때는 만들어진 파일을 동영상파일인 avi로 저 인코딩 한 후 후반작업에 들어가는 것이 편리하다. 메

4) 활동자료 □ 동영상자료1.

www.neoseq.com <네오 시퀀스>

애니메이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오브제 애니메이션으로 ‘에그 에그‘라는 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실제 리얼타임 촬영으로 시작되는 인트로와 254

박현주 오브제


애니메이션으로 스쳐지나가기 제목 : Egg Egg 제작년도 : 1999년 제작 : 박현주 제작기법 : 오브제 □ 동영상자료2.

흔한 일상을 계란의 움직임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다.

www.digitalhemo.com <디지털 헤모>

미디어교육자료를 볼 수 있으며 자료실에 들어가 보면 오브제애니메이션 작품인 ‘나를 찾 아서’를 만날 수 있다. 1박2일동안 작업하여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으로 완성도가 많이 떨어 지지만 청소년과 함께 작업할때의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제목 : 나를 찾아서 제작년도 : 2000년 제작 : 미디어교육 프로젝트 팀 헤모의 애니워크샵 2모둠 ‘쿠키’ 제작기법 : 오브제

□ 참고문헌 리처드 테일러, 한창완 역(1999).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의 모든 것. 한울 함진/조은수(2001). 달콩이의 이상한 하루. 돌베개 김정탁(1998). 미디어와 인간. 서울:커뮤니케이션 북스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저․백욱인역(1996). 디지털이다. 서울:커뮤니케이션 북스 마샬 맥루한 저․박정규역(1997). 미디어의 이해. 서울:커뮤니케이션 북스 마샬 맥루한․꽹땡 피오르 공저․김진홍역(2001).미디어는 맛사지다. 서울:커뮤니케이션 마이클 래비거(1997). 다큐멘터리. 서울:지호 미지센터(2001). 청소년문화를 읽는 세 개의 스펙트럼. 교육자료집 스콧 맥클루드 저․고재경,이무열 역(1996). 만화의 이해. 서울:아름드리 스콧 맥클루드 저․김낙호 외 역(2001). 만화의 미래. 서울:시공사 아동편집부 편(1999). 김충원의 만화연습장1,2. 서울:진선출판사 유평근, 진형준 공저(2001). 이미지. 서울:살림 프로젝트 팀 헤모(2000). 미디어워크샵 자료집 한스 리허터 외․ 권중운역(1994). 뉴미디어 영상미학. 서울:민음사 한창완(2001). 애니마톨로지@애니메이션 이론의 이해와 적용. 서울:한울.

북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55


< 따로활동2 -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 네트워크 사례1 >

지역청소년문화축제 만들기 년 네 번째 강북청소년문화축제 秋樂 1. 실시현황 : 2001

강북청소년문화축제 실시 배경

1) 지역사회 청소년운동 추진을 위한 준비 ① 강북구 지역사회 청소년운동 추진을 위한 기초모임 1998년 5월, 이전까지 서울 전역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사업에 주력하던 품에서는, 지역 사회 청소년운동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역사회 공동망구성과 청소년운동을 추진하기 위 하여 청소년운동 추진을 위한 예비모임을 구성하게 되었다. 내 1, 2차 모임 3차모임

참 가 자

* 강북구 청소년 운동을 위한 문제의식 공유 / 기초추진방향, 문제의식 등을 위한 세미너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지도자 / 한신대, 서울여대, 가톨릭대 사회복지학과 재학생

* 기초조사 및 준비를 위한 자원지도자 조직

② 기초조사 실시 3회의 기초모임 내용을 바탕으로 전담 지도자와 자원지도자를 초조사를 2개월간 실시하였다. 내

조직한 후, 강북구 내 기

참가자

* 강북구내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조사 4차모임

256

- 청소년현황, 문화환경, 교육환경 등에 대한 기초조사 - 시민단체, 민간단체, 종교단체, 복지관등 공동망 형성과 참여유도를 위한 방 문 및 전화 면담 - 강북구청 가정복지과 청소년 당담계장 및 직원과 추진방향에 대한 의견공유

품 소속 지도자 및 자원지도자


③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함께 나누는 이야기 마당” 지역사회 청소년운동에 공감하는 단체와 교사, 구청 정보 교환, 사업추진을 위한 1차 모임을 실시하였다. 일시 / 장소

담당자를 섭외하고 문제의식 공유와

* 일시 : 98년 9월 19일(토) * 장소 : 강북구청 3층 기획상황실 - 참가자 소개 및 참가 단체 소개

내 용

- 단체 및 개인별 활동내용 소개 및 문제의식 공유 -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성과 강북구 지역사회 청소년운동을 위한 토의 - 정리의 시간 * 단체 /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열린사회북부시민회, 번3단지종합사회복지관

참가한 사람

* 행정기관 / 강북구청 가정복지과 청소년담담 계원 * 학교 / 신일중학교 교사 * 기타 자원지도자 / 대학생 자원지도자

2) 지역단체 연합 청소년문화제 제안 1998년 열린사회 북부시민회(당시 북부열린시민회)에서 강북, 도봉지역에서 활동하고 있 던 품(당시 품 청소년놀이문화연구소)과 햇살청소년회에 청소년문화제 실시 제안을 하게 되었다. 시민회에서는 2회에 걸친 청소년문화제의 한계와 청소년에 집중하는 사업의 부재 로 인해 청소년 사업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지역 내 청소년단체와의 연 대사업을 추진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는데, 마침 품에서는 지역사회 청소년 운동 추진을 위한 준비를 시작하고 있었던 찰나였고, 노래패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햇살에서는 구체적인 지역 사업을 고민하고 있었던 시기였기 때문에, 이 제안은 풀리지 않는 목마름을 가지고 있던 세 단체에 무언가 해보자는 의지를 불러일으킬 수 있었으며, 여기에 전교조 강북지회가 함께 동참하기로 함으로써 강북청소년문화축제는 실질적인 사업으로 구상되기 시작했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57


2. 축제 진행 현황 

일시 및 장소

1) 1회 : 청소년거리축제 ∙ 일시 : 1998년 10월 31일 ( ) ∙ 장소 : 강북구청 앞마당 및 거리 토

2) 2회 : 강북구청소년거리축제 ‘밀레니엄, 우리가 만드는 축제’ ∙ 일시 : 1999년 10월 31일 (일) ∙ 장소 : 강북구청 앞마당 및 거리 3) 3회 : 강북청소년거리축제 ‘너․나․노니’ - 너를 위한, 나를 위한, 너가 원한, 내가 원한... ∙ 일시 : 2000년 10월 14일 ( ) ∙ 장소 : 강북구청 앞마당 및 거리 토

참가단체 회 종합 (3

참가단체 참가 단체

주관 청소년 거리축제 추진위원회 (

:

)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열린사회 북부시민회, 도봉사랑시민모임, 도봉푸른청년회, 햇살 청소년회, 전교조 북부지회. 번동2단지종합사회복지관, 구세군강북종합사회복지관, 청소년대표위원회 등 강북구청, 강북구요식업소협의회, 강북신문사, 보습분과 강북지구, 현대정밀공업(주), 새천년 민주당 강북구(을) 지구당, 북부지역 학원 총연합회, 한빛교회 및 각 종교단 체, 상가협회, 강북구 구의원, 미래케이블 등

주요 내용 회 종합

여는 마당 참여 마당 청소년 문화제 258

후원 단체

)

(3

)

길놀이, 건강한 우리들의 문화를 위한 소원문 낭독, 난장놀이 길거리 농구대회, 전래놀이마당(새끼꼬기, 제기차기, 긴줄넘기, 떡치기, 비석치기, 윷놀이 등), 만 화전시회, 사진동아리 작품전시, 탁본 전시, 청소년들이 직접 만들고 파는 먹거리 장터, 찰흙을 가지고 즉석작품만들기, 문화제 배경그림 함께 그리기 등 청소년들이 많이 모이는 유흥가 수유역 거리를 청소년의 거리로 선포하며 앞으로 건전한 문화를 스스로 만들어나갈 것을 다짐하는 선포식, 청소년 댄스 및 스쿨밴드 공연, 수화, 마임공연, 인디 밴드 축하공연 등


3. 사업의 목적 및 목표 

목적

1) 강북 지역사회 자원의 체계적인 조직을 통한 통합적이고 유기적인 복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강북지역의 청소년 문화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한다. (장기적) 2) 강북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들이 축제라는 하나의 매개로 연결될 수 있는 연결망을 구성한다. (단기적) 

2001

년 목표

① 강북지역의 다양한 자원이 지속적인 연결고리를 가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 축제 준비를 매개로 하여 추진위원회 조직이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 지역의 다양한 단체에 추진위원회 참가를 제안하고, 학교 동아리반 및 CA반들을 참 가시키면서 지역 내 단체, 학교들이 축제에 지속적으로 함께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 축제에 참가하는 청소년 동아리 및 학교 CA반들 간의 만남 및 축제 참가를 통해 지 역사회 청소년문화활동 집단간의 연결고리가 형성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② 청소년들의 주체적인 문화 형성의 기반을 마련한다. ∙ 청소년기획단이 직접 축제를 기획하고 진행하는 활동을 통해 주체적인 청소년문화기 획자로서의 역량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 기획단 외에도 강북지역의 청소년 자원봉사자들이 축제 진행과정에 참여하면서 주체 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한다. ③ 강북청소년문화축제의 인지도를 높힌다. ∙ 추진위원회에 직접적으로 참가하지 않으나 참가를 제안했던 다양한 단체와 후원단체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결을 통해 이후 추진위원회에 함께 할 수 있는 여지를 확대한다. ∙ 치밀한 홍보작업을 통해 강북지역의 청소년 및 학교, 단체 등에 강북청소년문화축제 를 알려내고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참가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59


4. 추진방향 및 구성도 

추진방향 강북청소년문화축제 추진위원회 지역사회내의 청소년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강북지역 청소년 문화환경의 변화를 유도하고, 강북지역 실정에 맞는 청소년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통합적인 서비스 제공

강북청소년문화축제 청소년기획단

청소년 동아리 및 CA반 지원

소비적인 문화향유자가 아닌 문화생산자로서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문화를 스스로 만들어 나가는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와 장 제공

축제를 만들어 가는 과정 또한 축제로 포괄하여 청소년 동아리와 학교CA반에 대한 지원과 지지를 통해 청소년 문화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 마련

참여와 나눔을 통한 청소년활동 활성화 지역성과 청소년 눈높이에 맞는 청소년문화축제의 형태로 발산

보고서 및 모델화 작업 타지역의 지역사회중심 청소년활동의 사례제시

260


구성도

관공서 서울시, 구청 등)

(

추진위원회

청소년 기획단 청소년 자원봉사자

참가동아리, CA반

5. 2001년 네 번째 강북청소년문화축제 진행과정 ■ 네 번째 강북청소년문화축제 ‘秋樂’ 진행일지 일시

구분

3.

기타

3.31

기타

4.11

추진위원회

4.46.30

기타

4.22 4.26

청소년기획단 추진위원회

프로그램

세부내용

강북, 도봉지역 자료조사, 분석 지역 내 청소년사업 관련 단체 조사 서울시 자치행정부 지역사회자원의 통합System을 통한 “Youth Welfare 사업계획서 제출 Nework" 모델제시 1차 회의 00년 축제 평가 및 01년 축제 틀거리 논의 지역 내 15개 단체 만남 및 추진위원회 제안, 방향성 공 지역 단체 만남 유 신입회원 1차 면접 신입회원 예정자 10명 참가 2차 회의 축제 접근방식 및 기본컨셉 논의 지역사회 자원조사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61


일시

구분

5.3

추진위원회

5.10

기타

5.13

청소년기획단

5.20 5.25 5.26 6.3 6.9. 6.10 6.17

청소년기획단 추진위원회 청소년기획단 참가동아리 청소년기획단 추진위원회 청소년기획단

6.21

기타

6.24

청소년기획단

6.-7.

기타

7.10 7.14 7.11 -19 7.17 7.19 7.24 7.29 -9.7

262

추진위원회 참가동아리

프로그램

3차 회의 서울시 자치행정부 지원 확정

축제 방향성 및 주제논의 / 지역 내 단체만남 논의 및 만남 역할분담

총 신청액의 1/4 가량 지원 확정 신입회원 예정자 11명 참가(총 21명 면접) 신입회원 2차 면접 기획단 내의 논의를 통해 총 15명 선발(기존 기획단 4명 포함) 1차 회의 노올자 전체 얼 보기 / 1년 활동계획 논의 4차 회의 축제 방향성 및 주제 논의 / 참가단체 논의 굴

명동축제 모니터 모집공문 발송 3차 모임 5차 모임 발대식 강북, 도봉지역 장소 답사 기획교육 전체 운영계획안 작 성 6차 모임 접수마감

청소년기획단 청소년기획단 청소년기획단

순회방문 5차 모임 6차 모임 7차 모임

청소년기획단

기획모임

참가동아리

세부내용

명동청소년거리축제 ‘미지축제’ 참가 강북, 도봉지역 46개 학교, 단체 1년 일정 논의 및 모니터활동 정리, 발대식 준비 축제 장소 논의 / 참가단체 확정 명동거리축제 활동 발표 / 인증서 수여

신일고, 강북구민운동장, 솔밭공원, 4.19 공원 등 ‘청소년문화축제’란 축제 전체 참가자 운영을 위한 계획안 작성 축제 일시, 장소 확정 / 추진위 역할분담 강북, 도봉지역 14개교 28개 동아리 신청 참가동아리 담당교사 만남 및 축제 방향성 공유 / 동아리 현황 및 지원사항 파악 축제 명칭 결정 : 秋樂 축제 장소 답사 기획단 역할분담 총 20여 차례 모임 진행. 축제 세부기획 및 준비 / 참가동아리 대표자․자원봉 사자 모임 등 진행, 준비


일시

구분

8.2

추진위원회

8.3

참가동아리

8.9

프로그램

세부내용

7차 모임

축제예산 논의 / 2차 역할분담 / 참가동아리 지원 논의

추진위원회

8차 회의

축제 마당별 진행상황 점검 및 아이디어 회의

8.11/ 8.15

참가동아리

대표자 1차 모임

8.16

기타

강북구청 지원

8.229.4

참가동아리

8.23

추진위원회

8.23

추진위원회

8.31

기타

북부경찰서 방문

9.1

참가동아리

대표자 2차 모임

9.1

정 순회촬영 9차 회의

기타

9.4

기타

9.5

추진위원회

축제 방향성 및 진행과정 공유 / 지원사항 공유

축제 소개 및 마당별 일정, 계획 공유 / 기획단 및 전 체소개 / 동아리별 참가내용, 지원내역 확인

확 강북청소년문화축제에 예산 지원 확정

기획단의 참가동아리 연습장면 촬영 및 인터뷰 축제 마당별 진행상황 점검 및 전체 일정 정리

참가단체 전체모 축제 의의 및 진행상황 공유 / 참가단체 역할 논의 임

청소년자원봉사자 1차 모임

9.3

9.7

교사 모임

서울시 교육청 산지원 확정 전체 점검회의 10차 회의

청소년자원봉사자 2차 모임

축제 장소 차량통제 요청 → 통제 불가, 질서유지 협조

준비상황 최종점검 / 축제 당일행사 내용 및 일정 공유 / 홍보 및 포스터 부착 요청 전체 일정 및 내용, 자원봉사자 역할 공유

예 예산 일부 지원 확정

기획단 및 대학생 자원봉사자 전체 점검회의 행사당일 진행안 검토 및 최종 점검

행사당일 역할분담 및 진행 계획 논의, 준비

네 번째 강북청소 오후 2시-9시. 미아역-신일고등학교 운동장 년문화축제 ‘秋樂’ 지역 청소년 및 주민 2,000여명 참가 진행

9.8

축제

9.16

청소년기획단

평가회

9.20

추진위원회

평가회

축제 전체 평가 및 향후 활동 계획 논의 축제 전체 평가 및 향후 계획 논의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63


강북청소년문화축제 추진위원회

1) 목적 지역 사회의 청소년문화활동 자원이 연결고리를 가질 수 있는 매개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② 추진위 참가단체를 확장하여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들이 공동의 마인드를 가질 수 있는 계기를 만든다. ①

2) 목표 추진위원회가 축제를 매개로 지속적인 연결과 의사소통 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지역 사회 내의 다양한 단체들이 추진위원회에 참가할 수 있도록 참가단체를 확대한다.

① ②

3) 추진위원회 구성을 위한 사전 준비작업 ∙ 지역 단체 방문 및 추진위원회 참가 제안 ⇒ 2001년 3월 ~ 6월까지 지역 내 총 15개 단체, 교사 만남 4) 추진위원회 체계구성 모임 : 매달 2회 모임 (격주 모임) / 8월 중 4회 모임 진행 ⇒ 평가회까지 총 11회 모임 진행.

역할분담

▶ 제반 준비사항 ∙ 품(중심단체) : 기획단 운영 / 참가동아리 지원․관리 / 청소년자원봉사자 관리 / 예

산 관리

∙ 번동 2단지 복지관 : 참가단체 관리 ∙ 북부시민회 : 섭외(후원단체 확대 및 관리) ∙ 구세군 복지관 : 홍보(홍보계획 수립 및 포스터 및 팜 렛, 홍보전단 등 제작, 배포) 플

264


▶ 프로그램 ∙ 품 : 문화제, 참여마당 ∙ 번동 2단지 복지관 : 전시마당 5) 추진위 운영 주관단체 ∙ 지속적인 연락체계 구성 ∙ 모든 추진위들이 주체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

참가단체 ∙ 전체 모임 진행 : 축제 의의 및 방향성 공유, 참가단체 참여방식

논의

후원단체 ∙ 소식지, 일 발송 등으로 지속적으로 진행상황을 알 수 있도록. ∙ 평가회 참가를 유도 ∙ 강북축제 보고서 및 영상자료(영상자료는 원하는 단체에 한해)를 발송

6) 세부 진행내용 진행내용

날짜

세부내용

1차 회의

4. 11.

00년 축제 평가 및 01년 축제 틀거리 논의

2차 회의

4. 26.

축제 접근방식 및 기본컨셉 논의

3차, 4차 회의

5. 3 / 25.

5차 모임

6. 10.

참가단체 확정

6차 모임

7. 10.

축제 일시, 장소 확정 / 추진위 역할분담

7차 모임

8. 2.

축제예산 논의 / 2차 역할분담 / 참가동아리 지원 논의

8차, 9차, 10차 회의

8. 9. / 23, 9. 5.

참가단체 전체모임

8. 23.

강북청소년문화축제

9. 8

평가회

9. 20.

축제 방향성 및 주제논의 / 참가단체 논의

축제 마당별 진행상황 점검 및 준비 축제 의의 및 진행상황 공유 / 참가단체 역할 논의 축제 진행 축제 전체 평가 및 향후 계획 논의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65


7) 추진위원회 참가단체 외 단체와의 관계 형성 단체

초기 목표

결과

강북구청

재정 지원 및 추진위원회 직접 참가

공동주최 형식으로 축제진행에 협조 재정 지원, 장소섭외 협조, 물품 지원, 당일 참가 등

도봉구청

재정 지원 및 추진위원회 직접 참가

예산지원은 이루어지지 못함. 도봉지역 학교 동아리들 추천 및 축제 참가 권유

신일고 정문 앞 도로 차량 통제 협조

차량통제는 불가능. 축제 당일 교통지도 및 질서 유지 협조, 축 제 참가자에게 화장실 개방 (동아파출소)

재정 지원

부분 지원

재정 지원

부분 지원

재정 지원

후원금

북부경찰서 / 동아파출소 서울시 자치행정부 서울시 교육청 강북구 요식업협의회

266


강북청소년문화축제 청소년기획단 노올자 ‘

1) 목적 청소년들이 자신들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청소년 문화를 스스로 분석해내고 직 접 만들어갈 수 있는 계기를 만든다. ② 지역 내의 청소년 문화활동을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게 주체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도 록 청소년들의 기획능력을 성장시킨다. ①

2) 목표 기획단원들이 축제 기획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청소년 문화에 대한 관심 및 시각의 폭을 넓히도록 유도한다. ② 기획교육을 통해 청소년 기획단의 실질적인 기획능력을 향상시키고, 기획동아리로서의 성격을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③ 교육을 진행하는 부분과 아이들끼리 논의될 수 있는 부분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기획 단의 자치성 및 자체체계를 최대한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①

3) 모임 ∙ 정기모임 : 매월 둘째, 넷째주 일요일 오후 3시.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사무실 및 기타 장소 ∙ 여름방학기간 : 매주 2, 3회 모임 4) 주요활동 강북청소년문화축제 기획 및 섭외, 진행, 평가 ∙ 당일 행사 전체 구성 및 진행 ∙ 지역 내 축제 홍보작업 ∙ 청소년 자원봉사자 배치 및 관리 ② 기획교육 및 기타 축제 모니터링 활동 ③ 기타 청소년 관련 프로그램 참가 및 자원봉사 ①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67


5) 세부 활동내용 진행내용

날짜

신입회원 면접 4. 22 / 5. 13 1차 회의 5. 20 명동축제모니터 5. 26 3차 모임 6. 9 발대식 6. 17 기획교육 6. 24 5차 모임 7. 17 참가동아리 순회촬영 8. 22-9. 4 6차 모임 7. 19 7차 모임 7. 24 기획모임 7. 29-9. 7 강북청소년문화축제 9. 8 평가회 9. 16

세부내용 신입회원 예정자 21명 참가. 총 15명 (기존 기획단 4명 포함) 노올자 전체 얼굴보기 / 1년 활동계획 논의 명동청소년거리축제 ‘미지축제’ 참가 1년 일정 논의 및 모니터활동 정리, 발대식 준비 명동거리축제 활동 발표 / 인증서 수여 ‘청소년문화축제’란 축제 명칭 결정 : 秋樂 참가동아리 연습장면 순회촬영 및 인터뷰, 영상으로 편집 축제 장소 답사 기획단 역할분담 총 20여 차례 모임 진행. 축제 세부기획 및 준비 / 참가동아리 대표자,자원봉사자 모임 진행, 준비 축제 진행 축제 전체 평가 및 향후 활동 계획 논의

6) 축제 진행 후 활동 ∙ 노올자 단합대회 : 북한산 백운대 산행 ∙ 행사 staff 활동 : 장애청소년연극축제, 서울시 청소년연극축제 등 행사 자원봉사 ∙ 2002년 축제 기획단원 모집

268


강북청소년문화축제 참가동아리

1) 목적 강북지역 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청소년 문화활동 집단에 대한 지원 및 발표의 기회 마련을 통해 지역 내 청소년 문화활성화의 기반을 마련한다. ② 강북지역 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청소년 문화활동 집단 간의 연결망을 마련한다. ①

2) 2001년 목표 축제에 참가하는 동아리 및 CA반에 대한 다양한 지원(장소, 물품, 지원금 등)을 통해 동아리 활동이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② 축제 참가 동아리, CA반들이 축제 참여를 통해 지역 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다른 청소 년 활동집단과의 연결고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③ 전체 참가자가 자신들의 발표시간 외의 축제 전 행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①

3) 참가동아리․CA반 모집 모집대상 ∙ 강북, 도봉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청소년 동아리 및 CA반 30여개 ② 모집방법 ∙ 강북, 도봉지역 중고등학교 및 청소년 활동집단을 포괄하고 있는 단체에 대한 공문발 송 및 전화연락 ∙ 신청서 및 동아리 소개서 작성 후 접수 ③ 모집기간 ∙ 2001년 6월 1일(금) ~ 7월 11일(토) ④ 선정기준 ∙ 참가신청 동아리가 포괄하기 힘들만큼 많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신청하는 동아리 및 CA반은 모두 참가할 수 있도록 하였음. ①

4) 주요 활동내용 ① ② ③

축제 당일 각 동아리별 활동내용 발표 축제 길놀이 참가 및 전체 행사 참여 메일 등을 통해 행사진행 내용을 알림과 동시에 축제에 대한 동아리들의 의견 수합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69


5) 세부 활동내용 ∙ 당일 행사참가 외 총 3회 모임(교사모임 1회, 동아리 대표자 모임 2회) 프로그램

모집공문 발송 접수마감 순회방문 교사 모임 대표자 1차 모임 순회촬영 대표자 2차 모임 강북청소년문화축제 평가 설문

날짜

6. 3 7. 14 7. 11-19 8. 3 8. 11 / 15 8. 22 - 9. 4 9. 1 9. 8 9. - 10.

세부내용 강북, 도봉지역 46개 학교, 단체 강북, 도봉지역 14개교 28개 동아리 신청 참가동아리 담당교사 만남 및 축제 방향성 공유 / 동아리 현황 및 지원사항 파악 축제 방향성 및 진행과정 공유 / 지원사항 공유 축제 소개 및 마당별 일정, 계획 공유 / 기획단 및 전체소개 / 동 아리별 참가내용, 지원내역 확인 기획단의 참가동아리 연습장면 촬영 및 인터뷰 준비상황 최종점검 / 축제 당일행사 내용 및 일정 공유 / 홍보 및 포스터 부착 요청 축제 참가 대표자 설문지를 통한 축제 평가

6) 동아리 지원 및 관리 지원내용 ∙ 본래 계획 : 지역사회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지원금과 장소, 기술, 교육 등을 혼 합하여 지원 ⇒ 지역 사회 내에서 추진위원회를 필두로 한 전체 자원의 네트워킹 작업이 충분히 이 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장소나 기술(강사섭외 등)지원 등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음. ∙ 총 23개의 참가동아리에게 동일하게 10만원씩의 지원금을 배정 ∙ 동아리의 특성, 상황, 열의 등을 고려해 7개의 동아리에 5만원에서 15만원 사이의 지 원금을 추가로 지원 ①

일 발송 : 동아리 대표자뿐만 아니라 참가 동아리 회원 모두의 연락처를 축제에 대한 내용을 전체에게 발송 ② 메

7) 축제 진행 후 후속작업 ① ② ③

270

축제 후 참가동아리 및 담당교사에게 강북축제 사진 및 편지 발송 열의가 있는 담당교사에게 강북청소년문화축제 보고서 발송 참가동아리 대표자 번개모임 진행 : 간단한 축제 평가 및 친목도모

확보하여


강북청소년문화축제 청소년 자원봉사자

1) 목적 축제 준비 및 진행과정에 최대한 많은 지역 내 청소년들이 참여하게 함으로써 지역 청소년들의 주체적인 축제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② 지역 내 청소년들 간에 청소년문화활동과 관련한 연결망을 구성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①

2) 목표 축제 준비 및 기획, 평가과정에 자원봉사자들이 일정 부분 참여하게 함으로써 당일 자 원봉사가 아닌 자신들의 축제로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② 기획단이 직접 자원봉사자들을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기획단의 역량을 성장시킴과 동 시에 지역 내 청소년들간에 청소년 문화, 자원봉사, 기타 활동 등에 관한 토론의 장이 이 루어지는 계기를 만들 수 있도록 유도한다. ①

3) 모집 ∙ 대상 : 강북, 도봉지역 청소년 (기획단, 참가동아리 친구들, 품 행사 참가자 등을 중심으로 모집) ⇒ 총 80여명의 청소년 자원봉사자 모집 4) 주요 활동내용 축제당일 행사진행 자원봉사 청소년문화 및 자원봉사활동 교육 실시

① ②

5) 자원봉사자 모임 진행 내용 구분

일시

장소

1차모임

9. 1 (토)

쌍문1동 사무소 강당

2차모임

9. 7 (금)

강북청소년수련관 소강당

내용 /지난 거리축제 영상 보기 /기획단 소개 및 전체 소개 /축제 소개 및 마당별 일정, 계획 안내 /원하는 역할 신청 /역할 분담 및 계획 공유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71


네 번째 강북청소년문화축제 진행

1) 개요 일시 및 장소 ∙ 일시 : 2001년 9월 8일 오후 2시 ~ 9시 ∙ 장소 : 신일 고등학교 운동장 ~ 미아역 2번

출구

참가자 ∙ 총 참가인원 : 약 2,000여명

구분

인원

세부내용

강북청소년 문화축제 추진위원회

8개 단체

/주관단체 :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열린사회 북부시민회, 구세군 복지관, 번동 2단지 복지관 /참가단체 : 녹색삶을 위한 여성들의 모임, 돌산아동청소년센터 ‘판’, 사이버 상담실 청소년세계, 강북청소년수련관

청소년기획단 ‘노올자’

10명

/강북지역(강북, 도봉, 노원, 성북지역 포함)에 거주, 혹은 재학중 인 중3~고2 청소년

참가 동아리

27개팀 300여명

/정식 참가동아리 : 23개 /초청팀 : 4개

청소년 자원봉사자

80여명

/강북지역(강북, 도봉, 노원, 성북지역 포함)에 거주, 혹은 재학중 인 청소년

대학생 자원봉사자

20여명

/사회복지, 청소년 관련학과 및 기타 전문영역학과 학생(영상학 과, 레크레이션 학과 등)

강북지역 청소년 및 지역주민

272

1,000여명 /축제 당일 참가자


2) 주요 프로그램 ■ 1부 문화제 ․ 축제 개막 및 미아역 간이무대 낮공연. 7개 참가동아리 공연. ・ 담당 : 청소년기획단 김동혁, 정현석, 노서영, 열린사회 북부시민회 김진숙 ・ 사회 : 품 이미선 ․ 진행시간 및 장소 : 14:00 ~ 16:50 / 미아역 2번 출구 옆 주차장 간이무대 프로그램 길놀이

개막선포 축사

내용

공연

참가 풍물동아리

미아역 일대 길놀이

: 선덕고, 성암여중, 수유중, 영훈고

개막선언문 배달 및 개막 선언문 낭독 청소년기획단 ‘노올자’ (청소년기획단장 김동혁) 축하의 말씀

번동 2단지 복지관장 서정임

댄스

재즈댄스(성인식, 라틴댄스)

노곡중 재즈댄스반 ‘노곡Jazz’

댄스

딱이야, 잘가

백운중 여성힙합댄스 ‘SIA'

코스프레 패션쇼

코스프레팀(연합-한성여고, 정의여고 외)

호남좌도 필봉굿 창작선반

성암여중 풍물반

가시고기

강북중 IYF

풍물

앉은반 영남 사물놀이

영훈고 풍물반

풍물

각 지역 혼합 선반 풍물

선덕 풍물반

코스프레 참가동아리

참가자

풍물 인형극

■ 전시마당 ․ 5개 참가동아리 작품 전시 및 코스프레 ・ 담당 : 청소년기획단 최은영, 김경화, 번동2단지 복지관 주순임 ․ 진행시간 및 장소 : 14:00 ~ 17:30 / 신일고 정문 진입로 참가동아리

내용

정의여중 미술반

풍속화 작품 전시

성암여중 사진반

사진 작품 전시

정의여고 만화동아리 ‘예감’

만화 일러스트 작품 전시, 코스프레

정의여고 사진동아리 ‘청강’

사진 작품 전시

한성여고 만화동아리 ‘마나미’

만화 일러스트 작품 전시, 코스프레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73


■ 참여마당 ․ 축제 참가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즐길 수 있는 12개 코너 운영 ・ 담당 : 청소년기획단 권미경, 김인용, 품 임유정, 홍경숙, 최경화 ․ 진행시간 및 장소 : 14:00 ~ 17:30 / 미아역 2번 출구 옆 주차장 수

프로그램

1

너, 풍선맞아?

2

너만 던지니?

3

내용 풍선 작품 만들기, 행사장 참가자들에게 풍선 나누어주기 참가자들이 다트에 화살을 2번 던져서 점수를 더하여 점수에 해당되는 상품을 증정

진행자

대학생 자원봉사자

‘추락’ 자원봉사자

청소년/문화/강북지역/축제의 내용으로 사람들 너 생각 내 생각

에게 묻고 싶은 이야기를 객관식으로 제작, 스

‘추락’ 자원봉사자

티커 붙이기

4

그림 좀 그리자고

5

니 얼굴에 그게 뭐지?

6

그때를 아십니까?

7

내 소망을 여기에

8

내 한마디

9

도자기 공예

10

DIY

11 12

274

2부 문화제 배경으로 걸릴 걸게그림에 축제 참 가자들이 색칠하기

정의여중 미술반, ‘추락’ 자원봉사자

얼굴에 그림 그려주기

정의여고 만화반, ‘추락’ 자원봉사자

어린시절 불량식품 판매

‘추락’ 자원봉사자

‘추락’이란 모양으로 포스트잇이 붙여진 게시판 에 자기 소원 적어보기 말풍선이 그려진 만화 그림에 축제에 대해 하고 싶은 이야기 쓰기 물레로 도자기 빚기 체험

구슬로 목걸이, 팔찌 만들기

‘추락’ 자원봉사자

‘추락’ 자원봉사자

강북청소년수련관 구세군 복지관 밴드동아리

코스프레사진찍기

패션쇼를 진행한 코스프레팀과 즉석사진 찍기

정의여고 사진반

단체별 홍보부스

강북청소년문화축제 참가단체의 홍보부스 운영

축제 참가단체


■ 2부 문화제 ․ 축제 본공연. 13개 참가동아리와 4개 초청팀의 공연 및 영상물 상영. ・ 담당 : 청소년기획단 김동혁, 정현석, 노서영 ・ 사회 : 혜화여고 1학년 조초희 (2000년 청소년기획단) ․ 진행시간 및 장소 : 16:40 ~ 21:00 / 신일고등학교 운동장 본무대 프로그램

내용

참가자

1,2부를 풍물공연 및 대동놀이 잇는 길놀이

수유중 풍물패 ‘터’

2부 문화제 선포

사회자

2부 문화제 개막 선포 댄스

브레이크댄스

백운중 ‘제로포인트’

들장미, 어메이징 그레이스

강북중 푸른메아리

브로큰, 트리플

수유여중 NSG

X-Japan 외

서울외고 Blast Beat

댄스스포츠(자이브 외)

백운중 ‘댄스천하’

세계로 가는 기차, 다죽자

정의여고 ‘람’

인형, 아름다운 세상

성암여중 수화반

Take a look around, 너를 보내고

수유중 빨래골밴드 3기

I will follow him, 반달, 만화주제가, One Summer Night

혜화여고 ‘한울’

브레이킹 더 로, 일렉트릭 아이즈

초청팀 : 용문고 샤워밴드

댄스

모든 것을 너에게, wild eyes

정의여고 'Dr. Beat'

영상

직접 제작한 단편영화 ‘비디오맨이야’

초청팀 : 영훈고 영화만들기반

영상

직접 제작한 사진 슬라이드 공포영화

정의여고 청강사진반

댄스

힙합 퍼포먼스

창일중 ‘B-boy'

bascket case, 밤이 깊었네

초청팀 : 연합 빨래골밴드 2기

축제 준비과정 ‘우리가 만든 축제 秋樂’

청소년기획단 ‘노올자’

팬플룻 댄스 락밴드 댄스 락밴드 수화 락밴드 참가동아리 공연

중창 락밴드

락밴드 영상

폐회선언

Lie Rock

락밴드

초청팀 : 동성고 ‘도로시’

문화제 폐회

사회자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75


보고서 작성

1) 목적 지역사회 중심의 강북청소년문화축제 준비․진행과정의 사례를 모델화하여 다른 지역 의 청소년활동집단에서도 적용 및 보편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①

2) 목표 강북청소년문화축제의 준비, 진행과정 전반을 정리하여 보고서로 작성한다. 청소년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단체 및 학교, 공공기관 등에 배포한다.

① ②

3) 진행일시 보고서 작성 ∙ 2001년 10월 ~ 12월

보고서 배포 ∙ 2001년 12월 ~ 2002년 2월

4) 주요내용 지역사회 네트워크 작업 및 지역 청소년축제의 이론적 배경 ② 강북청소년문화축제 추진위원회 및 청소년기획단 조직 및 운영과정 ③ 강북청소년문화축제 준비, 진행과정 및 당일 프로그램, 평가 등 전체 진행과정 ④ 전체 평가 및 제언 ⑤ 학교CA지원사업 개괄 ⑥ 부록 : 축제 세부기획안, 기획단 운영 지침서, 성북 ‘난리굿’ 기획서, 참가자 명단 등 ①

276


6. 2001년 네 번째 강북청소년문화축제 결과 및 제언 

결과

1) 성과지점 지역 사회 자원의 발굴 및 활동 공유 후원단체 범위의 확장 가능성 형성 청소년기획단의 주체적인 기획능력 향상 지역 청소년 연결망 형성의 기반 마련 지역 내의 축제 인지도 상승

① ② ③ ④ ⑤

2) 한계지점 실질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지 못함 전반적인 사업 흐름 조정의 실패

① ②

3) 결론 ∙ 2001년 강북청소년문화축제 : 강북, 도봉 지역 사회의 자원 연결 시스 을 만들기 위 한 중요한 바탕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단계로서의 역할 수행 템

제언

- 2002

년 다섯 번째 강북청소년문화축제를 중심으로

1) 추진위원회 정비를 통한 네트워크 기능 강화 2) 지역축제로의 확장 시도 3) 청소년기획단 운영 정비 및 기획교육 강화 4) 지역 청소년 동아리들 간에 연결망이 구성될 수 있도록 유도 5) 포괄적이고 특징적인 주제 설정 및 참신한 축제 형식의 개발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77


< 따로활동2 -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 네트워크 사례2 >

사례 학교 지원사업 년 신경여자실업고등학교 대중음악반 2.

CA

: 2000

1. 학교CA 지원사업 개괄 

목표

1) 학교내에서의 공동체 경험과 새로운 것의 습득에 대한 지적호기심의 충족 및 새로운 인간관계의 긍정적 경험과 더불어 개개인의 관심과 소질에 맞는 청소년 문화활동으로서의 학교 CA운영을 청소년활동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청소년전문단체가 직접 개입하여 운영을 지원하게 됨으로써 그 동안 형식적으로 실시되어 온 학교 CA에서 탈피할 수 있게 되는 계기가 되도록 한다. 2) 지역내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 CA반을 운영함으로써 청소년들의 다양한 문 화적인 욕구충족과 더불어, 지역사회내의 인적・물적자원의 연계를 통한 건강한 청소년 문 화가 지역사회에 정착될 수 있도록 한다. 3) 이후 결과물을 보고서 및 영상물로 제작하여 전국 중・고등학교 및 청소년 단체, 학 회, 교육부 및 각 지방 교육청 등에 배포함으로써 지역사회네트워크 중심의 학교 CA 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본진행방향

1) 학교선정 월 1회 전일제 학교 CA를 실시하는 학교 ② 학교 CA 활동에 대한 학교차원의 적극적인 지원 가능한 학교 : 각 외부활동에 대한 허가와 CA 활동을 위한 학교 시설이용이 가능한 학교 ①

278

CA 성격에 따라


CA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CA담당선생님이 함께 하는 학교 각 CA 반별로 20~25명 내외 인원제한이 가능한 학교 중복지원시 위의 사항에 합의하는 학교 우선 선정 확정공문 발송 및 개별통보 학교

③ ④ ⑤ ⑥

2) 자원지도자 조직 및 교육 각 팀별 조직 및 자체교육 전문지도자가 각 CA 반 운영 및 관리 중심사항에 대한 사업담당자의 개입

① ② ③

3) 프로그램 체험중심의 현장경험 활동 지역사회자원 연결 또는 다양한 자원개발 및 활용

① ②

4) 연구보고서화 전문기관의 자문 사전사후 설문조사 작업실시 각종 이론서 및 자료조사작업

① ② ③

5) CA축제 ①

지역사회연결을 통한 청소년 축제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79


■ 학교CA 기본진행방향 CA지원학교선정

오리엔테이션

1학기 학교CA지원사업

학교 CA 프로그램 활용 교육

중간평가

학교 CA보고서 제작

방중활동

2학기 학교CA지원사업

청소년이 주축이 된 지역축제자리 지속적인 사업으로 발전시켜 청소년 문화로 정착화 분위기 조성 CA활성화를 위한 자극

학교 CA Festival

학교 CA의 활성화 지역사회 청소년 문화정착 학교사회사업의 새로운 모델제시 280

강북구청, 강북구내 사회복지관, 시민단체, 청소년단체, 청소년수련관 초, 중, 고, 대학생 참여


지원현황

년도

CA반명

주요프로그램

1998

전래놀이반

대문놀이, 산가지 놀이, 긴줄넘기, 땅뺏기, 꼬리따기, 얼음땡, 다 방구, 제기차기 등 우리놀이 놀이신문제작, 전래놀이한마당 운영

놀이연구반

당신의 이웃을 사랑하십니까? 여럿이 함께, 벌꿀놀이, 원시인 만 들기, 고무줄 화살놀이, 색깔찾기, 고양이와 쥐, 의자릴레이, 다 리줄이기, 마술놀이

1999

2000

2001

지역탐사반 전통예술연구반 정보문화연구반

유해환경탐사, 하천탐사, 동네릴레이 탈춤・민요・장구배우기, 소리극 연출하기, 난타, 전래놀이 자연 속 정보찾기, 자기소개 웹페이지, 홈페이지 제작 실습, 홈 페이지 시연

문학반

형용사 게임, 비교토론, 조각 맞추기, 문학지도 만들기, 패러디 문학회, 문학장터, 문학CD롬, 벼룩시장 운영, 문학 토크쇼

영상제작반

셀프카메라, 이미지파일, 영상작품 주제・표현방법 정하기, 대본 완성, 캐스팅 및 스텝구성, 촬영일정 계획, 방중활동, 영상촬영, 편집, 시사회

놀이연구반 대중음악반 스타연구반

음악책 만들기, 인디밴드・재즈클럽방문, 뮤직비디오 제작, 음반 만들기

연극놀이반

즉흥극 연출하기, 대본선정, 캐스팅 및 스텝구성, 등장인물 분 석, 동선만들기, 스텝 진행하기, 작품분석과 연극읽기, 조화만들 기

영화만들기반

단편영화 보기, 영화장르 알기, 영화제작과정 역할극, 시놉시스․콘티 만들기, 단편영화 제작, 제작영화 상영, 기성영화 모니터하기

지역탐사반

초상화그리기, 우리학교 OL, 영화테마열차, 여의도공원 문화지도, 북한산 수목탐사, 서울 애니메이션 센터 탐방, 공동체 놀이

자원활동반

자원봉사 가치경매, 자원봉사동아리 ‘나누리’와 대담, 북한산 지킴 이 인터뷰, 장애아동시설・독거노인 자택 자원봉사

테마가 있는 놀이, 탐방활동, 놀이타임캡슐 만들기

스타 발표회, 스타 굴렁쇠, 매니저 체험, 스타 이력서 만들기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81


CA

축제

학교 CA활동 지원사업을 하나로 모아내고 청소년이 주축이 된 지역 청소년문화를 정착 시켜보고자 하는 일환으로 99년 학교 CA 축제 ‘넓은 학교! 넓은 세상! 우리들 세상!’을 진 행하였다. 지역 내 학교 CA반과 동아리, 단체들이 연합하여 진행한 학교 CA 축제는 강북 청소년문화축제와는 별도로 진행되었으나 학교 CA 지원사업과 지역 청소년축제가 어떻게 결합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 일시 및 장소 : 1999년 11월 7일 (일) / 덕성여자대학교 대강당 ∙ 세부 진행내용 구분

282

내용

전시마당

* 품 지원 ca 반 1. 영상반 : 셀프카메라 2. 놀이연구반 : 긴줄넘기, 림보, 제기차기, 산가지 놀이 3. 정보문화연구반 : 인터넷까페운영 4. 지역탐사반 : 활동내용 전시 5. 문학반 : 시화전, 벼룩장터 6. 전통예술연구반 : 전통놀이 ○×퀴즈

공연마당

* 품 ca 지원학교 발표마당 1. 연극반 : 연극공연 2. 지역탐사반 : 슬라이드 발표회 3. 영상제작반 : 뮤직비디오 시사회 4. 정보문화연구반 : 홈페이지 시연 5. 문학반 : 문학 토크쇼 6. 놀이연구반 : 꽁트, 긴줄넘기 7. 전통예술연구반 : 난타

축하마당

* 그 외 청소년 축하공연 1. 공연을 시작하는 길놀이 및 신명나는 판굿공연 2. 두 학교 연합 동아리 수화공연 3. 학교 CA 반 응원단 치어댄스, 힙합댄스 4. 청소년 락밴드 공연 5. 수유역 주변에서 춤추는 댄스팀 공연 6. 영상동아리 자체제작한 단편영화 상영

참여마당

* 지역학교 만화 / 종이접기 / 사진 등 전시회 1. 서울북부지역 사진동아리 연합 사진 전시회 2. 만화 그리기 CA반 만화 전사회 3. 환경사랑 CA반 무공해 비누 전시회

정보마당

* 학교 CA에 대한 정보공개 및 참여방법 소개 CA정보마당․활동마당․자유마당 운영


2. 2000년 신경여자실업고등학교 ‘대중음악반’ 

대중음악으로 접근한 의도

과거와 달리 현재는 대중문화의 생산과 소비의 주체로 청소년들이 우뚝 서고 있다. 과 연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소비할 수 있는 문화가 무엇일까? TV와 라디오를 통해 쉽게 접 할 수 있고 또한 늘 익숙해진 것이 바로 대중음악이 아닌가? 이러한 대중음악의 가사나 리듬, 멜로디는 10대들을 겨냥하여 생산된 것들이므로 청소년들이 쉽게 이해하고 빠질(?) 수 있다고 본다. 취향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때와 장소를 가지지 않고 홀로 즐겨도 절대 부끄럽지 않다. 이러한 대중음악에 대한 눈길은 항상 곱지만은 않다. 특히 수동적으로 음악실천을 하는 것보다 (듣기만 하는 음악) 적극적으로 음악실천을 하는 (음악을 하고자하는) 청소년들에 게는 일반 기성세대들은 우려와 조롱과 걱정의 눈빛으로 ‘미쳤어’ 라고 찍힌다. 자신이 좋 아하는 가수의 스타일을 따라함으로써 얻는 대리만족도 무시 못한다. 모방과 동일시에 대 한 욕구가 강한 청소년들에게는 음악이 더없이 좋은 수단이된다. 같은 또래집단에 대한 선 호성이 강한 청소년든 GOD팬, HOT팬...좋아하는 아이들끼리 모여 동질감과 친근감을 나 누며 심리적인 안정감을 갖는데 큰 공헌을 한다. 청소년들을 한데 묶을 수 있는 거대한 힘 들을 종종 목격하게 되는데 기성세대에 대한 의도적인 우월감도 내재되어 있다고... 그러나 어떻게 대중음악을 바라보던, 대중음악과 청소년은 뗄래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이다. 청소년의 의사소통과 표현방법인 대중음악을 통한 아이들과의 대화 시도가 바로 대중음악반이다. 

운영내용

1) 목적 음악을 통한 재미있는 학교 CA반 만들기 -> 음악 CA Boom 이해와 공감으로 대중음악문화 이해 및 바른 시각 키우기

① ②

2) 목표 ① ② ③

역동적인 음악 CA 만들기 청소년들과 함께 듣고, 보고, 춤추고, 이야기하기 음악문화에 대한 다양한 정보 및 취향 나누기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83


다양한

음악문화에 대한 접근방법으로 주체적인 문화 수용의 결정권 갖게 하기

3) 구성

인원 : 신경여자실업고등학교 1년생 20명 자격 : 춤, 노래, 음악을 좋아하고 다른 음악문화를 지도교사 : 지도자 3명, 담당교사 1명

① ② ③

접해보고 싶은 고1년생

4) 전체 활동 계획 회차

1

프로그램명

왜 왔니?

목표

비고

- 관계형성 - 분위기 형성 (음악잡지만들기) - 연간 활동 안내

2

가보자!

3

music start!

4

change think!

5 6

284

-현장체험 - 실제 간접 경험을 통한 욕구 생성 - 다양한 음악 경험하기

- 영상

- 간접 경험을 통한 이해 높이기

- 현장체험

- 사고의 변화 및 공동작업의 흥미 높이기

- 사진작업

- 개별적 성향 및 취향파악

- 영상

- 직접 뮤직비디오를 제작해 봄으로써 생산자적

우리가 해보자!

역할 수행 및 흥미 높이기 - 직접제작 - 발산 욕구 충족 - 새로운 경험을 통한 새로운 시각 키우기

7 8

- 음악CA반의 호기심 높이기

아쉽지만..

- 평가회 하기

- 평가설문


5) 세부 활동 내용 ① 1차 활동 가. 목표 자기 표현은 통해 첫 만남의 시간이 주는 활동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한다.

허물고

지도교사와의 관계형성으로

CA

나. 활동내용 소요시간

프로그램

5분

판 뒤집기

20분

소개시간

40분

준비물

- 스킨쉽을 통한 관계형성 놀이

엽서, 색깔판

- 각자 자기 소개하기

캠코더, 사진기, 명찰,

- 지도자 소개

옷핀, 필름, 테잎

사진표현

- 사진을 통한 자기 표현

사진

60분

모둠작업

- 음악책 만들기

10분

느낌 나누기

10분

다음 과제 내주기 및 정리

A4용지, 풀, 칼라펜, 크레파스, 사인펜

- 모둠별 활동 결과 소개 및 전체 적인 느낌 나누기 - 과제주기(명함 만들어 오기) - 다음활동 안내

인디밴드 비디오

② 2차활동 목표 음반제작자와의 만남을 통해 음반제작과정과 대중음악시장의 현실을 는 음악 장르를 직접 경험해 보아 새로운 장르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가.

이해하고 ‘인디’라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85


나. 활동 내용 소요시간

프로그램

15분

친해지기 음반제작 과정 점심시간 이동 인디들과 함께 이동 마무리

100분 60분 80분 120분 40분 40분

준비물

- 관계형성 놀이 (당신은 젝키를 사랑하십니까?) - 음반제작과정과 대중음악 시장의 현실에 대하여 이야기 듣기 - 녹음실 설명(비디오를 보면서)

명찰, 의자 비디오, 비디오 테 이프, TV 음반제작과 정에 필요한 프린트

- 밥 나눠먹기 -홍대 공연장까지 이동(스팽글) - 인디밴드 공연 관람(펄럭펄럭) - 인디 밴드 뮤직비디오 보기 - 인디밴드와의 대화 -홍대 ‘스팽글’에서 수유역으로 - 공연의 느낀 점, ca활동에 대하여 아이들과 이야기

③ 3차 활동 가. 목표 쉽게 접해보지 다.

않은 장르의 음악을 직접 경험해 보아 새로운 장르에 대한 이해를 돕는

나. 활동내용 소요시간 30분 30분

90분

10분

286

프로그램

친해지기 연상화그리기 재즈연주자들과 함께 재즈에대한 마무리 설명

- 당신은 누구십니까 - 재즈음악을 듣고 연상되는 그림그리기 - 재즈역사와 기본이론강의 - 재즈음악감상 - 재즈공연보기, 질문하기 - 재즈에 대한 정리로 간단하게 이야기하기

준비물 프로그램용지, 펜, 명찰 a4용지, 크레파 스, 사인펜 사진기 캠코더


④ 4차 활동 가. 목표 모둠활동을 통해

창의적인 생각들을 이

어내고 공동작업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나. 활동내용 소요시간 40분 20분

프로그램

친해지기 놀이 (모둠대항) 모둠별 활동 안내

준비물

- 맞춰봐요 : 동작으로 표현하는 단어 맞추기

낱말카드

- 그림놀이 : 귓속말로 그림 제목 맞추기

A4용지

- 모둠별 활동안내 - 사진작업 : 각자가 가져온 사진에 대한 설명 후

모둠별 활동

80분

모둠별로 사진을 모두 모아 모둠별 공동의 이야기

사진,

만들어 보기

A4용지

- 역할나누기

정리하기

60분

- 다음활동 안내 및 과제

⑤ 5차 활동 가. 목표 모둠작업을 통해 아이들의 감각을 이끌어

다.

나. 활동내용 소요시간 40분 20분 80분 40분 30분

프로그램

친해지기 놀이 모둠별 활동 안내 모둠별 활동 정리하기 평가하기

내 용 - 친해지기 프로그램 : 방학중

준비물

기억에 남는 일을 친구 팔이나 얼굴에 그림으로 그려주기 - 모둠별 활동 안내 - 뮤직비디오 콘티작성하기 - 다음 활동 안내 및 과제 - 지도교사와 평가

캠코더, 콘티양식, 필기도 구, 카세트, 테잎 모둠별 시간, 장소 정하기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87


⑥ 6․7차 활동 가. 목표 직접 뮤직비디오를 제작해

봄으로써 문화 생산자적인 역할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나. 활동내용 ∙ 모둠별 뮤직비디오 촬영 및 편집하기 ∙ 장소 : 대학로, 학교 외 기타 장소

⑦ 8차 활동 가. 목표 시간적, 형식적 수업시간을 탈피하여 마지막 평가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먹거리 장터를 열어 자유스러운 분위기를 만든다.

나. 활동내용 소요시간

프로그램

20분

준비물 배분

70분 30분 30분 60분

288

음식 준비 품평회 평가회 뒷 정리

준비물

- 모둠별 준비물 셋팅

조미료, 부르스타, 후라이팬,

- 조미료 배분

부식 등등

- 모둠별 시작 - 품평회하고 나눠먹기 - 년간 활동 평가회

평가자료

- 설거지 및 교실청소

수세미, 퐁퐁


평가

1) 긍정적인 부분 참가대상자가 여고생이라면 대중음악에 대한 막연한 동경도 있지만 매니아 성향을 갖 기도 한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지도자들은 음악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한 다. ② 프로그램을 잘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제반 여건들(장소, 출석체크, 회비, 장비 등)에 대한 준비가 중요하며 이에 대한 역할은 학교에 상주하고 있는 담당교사가 해주었 다. ③ 교실 안에서의 활동보다는 현장체험에 중심을 두어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도나 효과가 또한 높았다. 주요 활동 외에 부수적인 부분(예를 들어 2차활동은 인디밴드 공연관 람 이 주활동이였으나 인디밴드 구성원과의 만남시 자신의 명함을 만들어와서 소개와 인 터뷰를 통하여 음악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해 볼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 것 등)은 음악을 이해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았다. ①

2) 보완되어야할 부분 사전 합의와 허술한 연락망으로 방중활동이 무산되면서 전체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약간의 차질이 있었다. 방중활동에 대한 보다더 치밀한 사전계획인 필요하다. ② 담당교사가 관심을 가지고 활동참여가 부족한 수동적 모습은 참가하는 학생들에게 있 어서 좋지 않게 작용할 수 있다. 능동적인 교사참여가 아쉽다. ①

3) 총평 지도자 자신이 활동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주었던 것이 참여하는 아이들과 학교 담당 교사에게 신뢰를 주었고 활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더욱 높힐 수 있다. ② 현장견학과 체험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점은 자원활용도 면에서나 참가자가 활동을 통 해 느낄 수 있었던 부분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방중활동에 대한 적절한 대응부족과 담 당교사의 프로그램에 대한 수동적인 자세는 활동계획시 서로 논의하고 합의하여 진행토록 해야하겠다. ①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89


< 따로활동2 - 지역사회 청소년문화복지 네트워크 사례3 >

1. 기 획 의 도 ▶ 청소년참여

1998년도에 문화관광부 에서는 청소년육성5개년계획을 발표 시행하고 있다. 이는 청소년들이 새로운 세기를 맞는 시기에 즈음하여 지(知)의 습득 이외에 건강한 지식 과 육체의 발달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과정속에 핵심을 두고 있는 사항은 ‘청소년 참여’에 있다. 기존 청소년활동 프로그 램들이 기획단계부터 많은 실수를 범한 부분으로써 청소년들의 수동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데 있었다. 청소년들의 능동적인 참여 즉 그들이 고민하고 그들이 평가하는 프로그램이 청 소년들의 건강한 성장과 보다 나은 미래를 약속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전체적인 기획부터 진행까지 동아리 회원들이 직접적으로 참여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진행할 예정 이다. ▶ 지역사회의 역할

청소년들의 모임에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역시 지역사회안에서 찾을 수 있다. 지역사회내의 지방자치단체와 청소년단체, 학교, 종교단체 등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청 소년들과의 만남이 청소년활동의 중요한 핵심으로 자리를 잡아야 한다. 이러한 핵심사항에 맞추어 인천지역내의 18개교 방송반 활동을 연계하여 그들이 함께 고민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줌으로써 보다 나은 문화공간 정착에 기여하고자 한다. 290


현재 ​​ 울터 모임은 정기적으로 모임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 야외 공원이나 카페에서 모임을 하고 있고 또한 다른 기관에서 모임의 지원이 있었으나 결국 실패로 돌아가고 말 았다. 이를 해결하는 것은 결국 지역사회내의 청소년관련 기관의 몫이며 방송제의 진행과 정을 거쳐 동아리의 소속감과 책임감을 부여하려 한다. ▶ 미디어문화 익히기

21세기를 바라보고 있는 현재 청소년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 고도로 발달되어 가는 미디어문화 현상들이다. 이렇게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미디어 매체의 다양한 문화현상은 자칫 청소년들을 감각적, 충동적, 비사고적 성향으로 변화시키고 쉽다. 다양한 장르(드라마, CF, 뮤직비디오,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등)를 접하고 제작해 볼 수 있는 동아리 회원들에게 미디어에 대한 교육과 영상 제작활동을 통해 미디어문화의 주체 자임을 확립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소그룹 활동 진행으로 인한 또래간의 의사 소통과 협동심을 형성 할 수 있도록한다. 또한 제작활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모든 미디어에 대해서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도록 하며 문화적 감수성을 스스로 개발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한다.

2. 사 업 목 적

▶ 지역사회내의 학교 방송반을 연계함으로써 함께 할 수 있는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 18개교 방송반(한울터) 청소년들의 교류를 통한 또래집단간의 동질감 형성과 자기와 다른 경험을 통한 체험학습을 키워주는 목적을 갖는다. ▶ 프로그램을 준비하는 동안 생겨날 수 있는 집단 역동을 통해 사회성 발달을 돕고 현 청소년들의 가치관의 하나인 개인중심의 탈피를 돕는다. ▶ 미디어를 매개로 도움을 준다.

만나는 청소년집단에 기존 모방문화를

벗어나 창조적

문화형성에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91


3. 행사 개요 및 조직도 행사 장소는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으로 하여 한 모둠당 3~4 학교가 묶여 하나의 프로 그램을 만드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전체진행은 청소년들이 직접 진행하며(사회, 엔지니어 등의 전체과정) 재)인천가톨릭청소년회와 한울터 선배모임은 보조역할로 지원을 하는 방식 으로 진행된다. 재)인천가톨릭청소년회 한 울 터 선배모임

학익고 학익여고 인명여고

사 업 팀

연수고 석정고 청학고 부평여공고

동산고 인화고 인일여고 계산고

4. 사 업 개 요

▶일시 ▷ 방송축제 : 2000년 1월 23일(일) 14:00~17:00 ▷ 무대세 : 2000년 1월 22일( ) 13:00~17:00 ▷ 1차 리허설 : 2000년 1월 22일( ) 18:00~21:00 ▷ 2차 리허설 : 2000년 1월 23일(일) 09:00~12:00 팅

▶장소 ▶주최 292

▷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재) 인천가톨릭청소년회

광성고 중앙여상 예화여상

박문여고 송도고 가정고 백석고 부평여공고


5. 준비일정 및 내용 방 송 축제 1차 준 비모 임

◇ 일 시 : 1999년 11월 13일 ◇ 장 소 : 가톨릭회관 ◇ 내 용 : 방송축제 형식에 대한 회의

◇ 일 시 : 1999년 11월 21일 ◇ 장 소 : 가톨릭회관 ◇ 내 용 : 방송축제 형식에 대한 결론 및 세부내용 정하기

◇ 일 시 : 1999년 12월 12일 ◇ 장 소 : 가톨릭회관 ◇ 내 용 : 모둠별 작업 - 제작계획서 및 티완성 - 모둠별 제작작업 시작 (대본 및 영상)

방 송 축제 2차 준 비모 임 

방 송 축제 3차 준 비모 임

방 송 축제 4차 준 비모 임

방 송 축제 5차 준 비모 임

◇ 일 시 : 2000년 1월 16일 ◇ 장 소 : 가톨릭회관 ◇ 내 용 : 각 모둠별 작업완성 및 최종 마무리

◇ 일 시 : 2000년 1월 22일 ◇ 장 소 :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 내 용 : 무대세 및 1차 리허설 팅

2차리허실 및 MAIN행사

및 지원

무대세 팅 및 1차 리 허 설

K

◇ 일 시 : 2000년 1월 9일 ◇ 장 소 : 가톨릭회관 ◇ 내 용 : 모둠별 마무리 작업 및 보충작업회의 및 보충작업 회의

방 송 축제 6차 준 비모 임

◇ 일 시 : 1999년 12월 18일 ◇ 장 소 : 가톨릭회관 ◇ 내 용 : 모둠별 진행사항 CHEC

◇ 일 시 : 2000년 1월 23일 ◇ 장 소 : 가톨릭회관 ◇ 내 용 : 2차 리허설 및 본 행사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93


6. 방송축제 세부공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순 서 openning 시작인사 사무국장 인사 intro 뉴스 드라마 Ⅰ 영상축전Ⅰ music video

비 고

▶ 한울터 소개 및 행사소개 ▶ 재) 인천가톨릭청소년회 사무국장 ▶ 피카 (중앙여상) ▶ 비빔밥 (부평여공고, 가정고, 박문여고, 송도고, 백 고) ▶ 티스 (학익고, 학익여고, 인명여고) ▶ SBS, i-TV 영상축전 ▶ 비빔밥 (부평여공고, 가정고, 박문여고, 송도고, 백 고) ▶ 비빔밥 CF (부평여공고, 가정고, 박문여고, 송도고, 백 고) ▶반 항 드라마 Ⅱ ( 정여고, 계산고, 청학공고, 연수고, 부평여공고) 축하공연 ▶ 댄스팀 (송도고) 영상축전Ⅱ ▶ 선생님, 학부모 인터뷰 영상 앙케이트 ▶ 물음표 (동산고, 인일여고, 인화여고) outro 및 ending ▶ 권순봉, 조윤주 및 한울터 전체 츄

7. 운영방안 개요

▶전체진행 ▷ 전체적인 기획 진행은 청소년들이 직접 진행하며 재)인천가톨릭청소년회와 선배모임은 지원역할은 한다. ▷ 사회 및 축하공연도 청소년들이 직접 꾸민다. 294


▶행사장비 ▷ 기본장비는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의 여건을 충분히 활용한다. ▷ 기본장비외의 음향시스 및 약간의 조명은 임차하여 사용한다. ▷ 무대세 에 관한 것은 직접 청소년들과 제작하여 진행한다. 템

▶홍보 ▷ 랭카드와 팜 렛, 포스터를 이용한 홍보를 실시한다. (한울터 홍보팀 직접 제작) - 랭카드 : 인천지역 4 곳 - 포스터 : 2회에 걸쳐 인천지역 중, 고등학교와 청소년들이 많이 찾는 곳을 선정하여 부착한다(주요 서점, 백화점 등). - 초대권 : 2회에 걸쳐 동아리 회원들을 통한 홍보, 서점 및 문구점등에 비치하여 플

▷ ▷

초대한다. 지역사회내의 언론매체를 통한 홍보를 실시한다. (i-TV, 중앙, 지역일간지, 지역정보지 등) 참가 청소년들의 부모님, 학교 관련 선생님들을 모셔 아이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8. 자원지도자 활용현황

○ ○ ○ ○ ○ ○ ○

이 름

○ ○ ○ ○ ○ ○ ○

○ ○ ○ ○ ○ ○ ○

학 교

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 4 청주대학교 사회복지 4 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 4 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 4 강남대학교 사회복지 3 상지대학교 사회복지 3 서울신대 사회복지 3

비 고

모둠 모둠 당일 당일 당일 당일 당일

지도교사 지도교사 행사보조 행사보조 행사보조 행사보조 행사보조

▶ 모둠지도교사는 청소년들의 기획회의 단계부터 참여하여 문제발생시 개입하는 정도로 역할을 제한한다. 즉 지도교사에 의해 각 모둠 작업이 진행되는 것을 제한한다. ▶ 당일 행사보조 자원지도자는 2차례에 걸쳐 자원지도자 교육을 실시한다. 자원지도자의 역할과 위치, 동선을 숙지하는 과정으로 진행한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95


296


1. 무대설치

플 랑 카 드

린 A N N

사회자

플 랑 카 드 엔 지 니 어

PD 액정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97


2. 역할분담

역 할

내 용 전체진행 -행사 준비 및 리허설. 방송제에 관한 전체적인 진행를 한다. 사 회 -대본을 완성하고 행사 당일 진행을 한다. E.N -A팀은 openning부터 CF 까지 (음향) -B팀은 드라마 Ⅱ 부터 ending까지 촬 영 -고정촬영과 이동촬영으로 나누어 촬영한다. 조명

-기본조명,

지도자 이승민 김태황 박지현 김태황 김미현

권순봉 조윤주 이범영 김광훈 곽효원

​​ 울터 최승엽 최승엽 이규진 A팀 : 비 빔 밥 B팀 : 앙케이트

롱핀, 특수조명을 관리한다. -전체문 1곳 ⇒ 여 : 2 ( 정-이은정, 부여공-민경화) -입장문 4곳 ⇒ 남 : 4, 여 : 4 (청학-이영훈, 송도-심우길, 연수-한성영, 계산-최동조) 김수진 안 내 (학익-변수영, 인명-류예리, 학익-이재연, 박문-이규영) (액정관리) -자리안내 ⇒ 여 : 1 남 : 1 ( 정-조현영, 연수-조민철) ※ 학부모, 선생님에 대한 안내를 우선으로 한다. (좋은 자리를 비워놓는다.) F.D -무대 에서 출연자 관리와 조명, 음향, 무대를 관리 감독한다. 조안 경 환라 무대설치 및 -무대에 관련된 물품 제작 및 사진을 촬영한다. 최인성 사진촬영 석

3. 세부일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298

openning 시작인사 사무국장 인사 intro 뉴스 드라마 Ⅰ 영상축전Ⅰ music video

CF 드라마 Ⅱ

축하공연 영상축전Ⅱ 앙케이트 outro 및 ending

한울터 소개 및 행사소개 재) 인천가톨릭청소년회 사무국장 피카츄 (중앙여상) 비빔밥 (부평여공고, 가정고, 박문여고, 송도고, 백석고) 메티스 (학익고, 학익여고, 인명여고) SBS, i-TV 인터뷰 영상 비빔밥 (부평여공고, 가정고, 박문여고, 송도고, 백석고) 비빔밥 (부평여공고, 가정고, 박문여고, 송도고, 백석고) 반 항 (석정여고, 계산고, 청학공고, 연수고, 부평여공고) 댄스팀 (송도고) 선생님, 학부모 인터뷰 영상 물음표 (동산고, 인일여고, 인화여고) 권순봉, 조윤주 및 한울터 전체


4. 세부진행계획

총소요예상시간 : 148분 진행순서

공연내용

시간 음향 및 영상

▶ 암전상태, 막내려져있음 ⇒ 음악 르고 막 올라감( 크와 특수 조명) ⇒ 각 학교 대표 입장 ⇒ 음악 END ⇒ 발자국 소리⇒ 승엽등장 ⇒ 멘트 ⇒ 징소리 ⇒ 랭카드 펼쳐지고 함께 퇴장 ⇒ 암전 OPENNING 인사와 (송도-손정민, 정-이아름, 인화-강진화, 중앙-유은경, 동산-정민호, 연수-한성영, 가정-이보람, 계산-최동조, 백 -이연진, 인일-정미향, 박문-이규영, 인명-김수현, 학익여-정고운, 청학-이영훈, 부여공-신미선, 학익-이태근) 흐

조명

4

-AMBER LIGHT -발자국 소리 -현란하게 -징소리 -롱핀 -무대마이크

시작인사 ▶ 사회자의 시작인사(규진) 사무국장 ▶ 재) 인천가톨릭청소년회 인사 사회자멘트 -INTRO 소개 (승엽, 규진)

INTRO --제피카목 : 우리의 시작... 츄

F.D

사무국장

★액정관리 -엔지니어 : 비빔밥팀 -카메라, 마이크 설치 -막 올리고 내림 -퍼그

1 -사회자마이크 2

-사회자 조명 -카메라, 마이크 제거 -stage 조명 1

3 -무선마이크 2

-무대중앙조명 -무선마이크 -stage 조명 2

1 -사회자마이크 1, 2

-사회자 조명 -stage 조명 1

8 -영상 PLAY

-암전

-뉴스팀 아나운서, -PD대기 및 준비 -탁자 1, 의자 2 마이크 2 -탁상용마이크스탠드 : 2 -라이브 뉴스 준비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299


진행순서

공연내용

인터뷰 (승엽) 사회자멘트 --피카스(비빔밥 ) 소개 (규진) 츄

뉴스

-비빔밥 -제목 : 밀레니엄 & ​​ 울터

빔밥 인터뷰 (규진) 사회자멘트 -비 -드라마 Ⅰ( 티스) 소개 (승엽) 메

드라마 Ⅰ

-메티스 -제목 : 상 처

시 간 3

음향 및 영상 -무선마이크 1, 2 -사회자미이크 2

조명

F.D

-사회자 조명 -무선마이크 -stage 조명 1, 2

-뉴스팀 대본 15 -무선마이크 2 -아나운서마이크

-아나운서 -객석취재시 객석 조명 -stage 조명 -영상 (암전)

-무선마이크 -캠코더 준비 (LIVE)

-무선마이크 1, 2 -사회자마이크 1

-사회자 조명 -stage 조명

-무선마이크 -뉴스팀 철수

3

20 -영상 PLAY

-암 전

드라마 Ⅰ( 티스) 인터뷰 (승엽) 사회자멘트 --영상축전 소개 (규진)

3

-무선마이크 1, 2 -사회자미이크 2

-사회자 조명 -무선마이크 -stage 조명 1, 2

영상축전 Ⅰ -옌예인 (SBS, i-TV)

7

-영상 PLAY

-암전

설명 (승엽, 규진) 사회자멘트 -영상축전 -MUSIC VIDEO 소개

1

-사회자미이크 1, 2

-사회자 조명 -stage 조명 1

6

-영상 PLAY

-암 전

MUSIC VIDEO 300

-비빔밥 -제목 : Black & White


진행 순서

CF

사회자멘트

공연내용

-비빔밥 -MUSIC VIDEO, CF (비빔밥) 인터뷰 (승엽) -드라마Ⅱ(반항) 소개 (규진)

드라마 Ⅱ --제반목항: WIN

G

사회자멘트

-드라마 (Revolt) 인터뷰 (규진) -축하공연 소개 (규진-무대중앙에서)

시간 5 3

음향 및 영상 조명 -영상 PLAY -암 전 -무선마이크1, 2 -사회자 조명 -사회자미이크 2 -stage 조명 1, 2

20 -영상 PLAY

-암 전

3 -무선마이크 1, 2

-사회자 조명 -stage 조명 1, 2

7 -TAPE PLAY 1 -사회자마이크 1, 2

-사회자 조명 -stage 조명 1

영상축전 Ⅱ

3 -영상 PLAY

-암 전

1 -사회자마이크 1, 2

-사회자 조명 -stage 조명 1

-아나운서마이크 20 무선마이크 2

-대본보고 CHECK -아나운서, PD, stage 조명 1, 2 영상(암전)

설명 (승엽, 규진) 사회자멘트 -영상축전 -앙케이트팀 소개

앙케이트

-물음표 -제목 : 우리가 바라는 세상은

-앙케이트팀 으로 엔지니어 교체 -축하공연팀 대기 ( 송 도고:최승엽, 손정 민,이우종) -무선마이크 -규진 중앙무대에서 댄스팀 소개하고 빠

-멋진조명

-인터뷰끝나자 조명 마자 영상 Play -사회자 -stage 조명 1, 2 -사회자마이크 1, 2

이트 (물음표) 인터뷰 (승엽) 사회자멘트 --앙케 OUTRO 소개

3

OUTRO ENDING

-암 전 -영상 PLAY 5 -사회자 -서태지 : 시대유감 은은한 조명

-영상에 맞는 사회자 멘트 한울터 4.5기 모두 무대위로

-무선마이크

축하공연 -댄스팀 (송도고) 설명 (규진) 사회자멘트 -축하공연 -영상축전 소개 (규진) -학부모, 선생님

F.D

-승엽 사회자석으로

-무선마이크 -​​ 울터 4.5기 모두 무대위로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01


물품확인서 음 향 영 상 물품명 비 고 물품명 비 고 믹서 32CH 캠코더 2SET VTR 2 액정 1 (기획국) 3 (LON ) CD 2 영상 잭 그외 다수 DEC 2 인터뷰마이크 1 마이크 8 인터뷰 잭 1 무선마이크 3 모둠발표 TAPE 모둠별 준비 마이크스탠드 1자:3, 탁상:4 기타 TAPE OUTRO.축전 대기용 CD 2 액정탁자 1 LI HT, 오프 CD AMBER 발자국소리 엔딩 CD 시대유감 모둠발표 CD 각 모둠별 준비 G

K

G

무 물품명 랭카드 플

사회자석

엔지니어

아나운서석

PD

학교이니셜 오프닝 물품 캠코더 스탠드

302

2 판자, 코디1SET 탁자1, 의자4 코티 1SET 탁자1, 의자 4 코디 1SET 코디 1SET 16 16SET 1SET 4

기 물품명 무전기 포스터

팜 렛 플

문구류(매직)

빵, 우유 청 TAPE 스카치 TAPE 징 좌 권 자.봉교육자료 석

고 4SET 50 600

다수 50개씩 5 5 1 524 20부 제작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03


청소년복지관련 실무자 및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을 위한

청소년 문화복지 아카데미

부 록

304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05


청소년문화복지 아카데미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해서.. 청소년복지가 사회복지의 전문적 영역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지금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하며, 복지대상자들인 청소년과 사회의 요구에 맞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 를 위해서 청소년문화복지 아카데미는 청소년문화복지의 이론정립과 실천체계의 확립을 위해서 반드시 실시되어야 한다. 실천학문이라 할 수 있는 사회복지의 발전은 이론과 현장 의 충분한 교류와 합의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하며, 청소년문화복지 아카데미는 현장과 학 계의 원활한 의사소통 아래 청소년복지의 새로운 실천방법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 미래를 위한 투자를 위해 현재 청소년복지를 희망하는 사회복지 전공자들에게도 구체 적인 방안과 비젼을 제시해야 한다. 여기서 청소년문화복지와 아카데미를 준비하며, 2000 년 품 청소년문화공동체가 전국 사회복지 대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문화복지 전문 워크 숍’에 대한 설문결과를 살펴보기로 하자.

필요성

반드시

필요

인원

189

111

필요

그저 별로 아무 그렇다 필요없다 필요없다 1

계 301

< 청소년 전문 워크샵의 필요성에 대하여 > 위에서 보듯이 그 필요성을 인식하는 경우 는 반드시 필요 ( 189),필요 ( 111)로서, 300명에 이르고 거의 99.9%의 학생들이 필요하다 라고 생각하고 있다.

306


< 전문연수 필요성의 이유 > ① ②

범위가 적기 때문에 (3명) 청소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를 토대로 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

청소년복지

하여 (87명)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 ⑪

청소년복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비해 현장은 아직 생소하기 때문에 (18명) 청소년복지의 전문성을 기르고 복지의 향상을 도모 (99명) 각론이외엔 실질적인 강의가 많이 부족하다 (21명) 청소년복지는 미래와 직결되어 있어서(9명) 청소년복지를 알리기 위해서 (6명) 청소년문화에 대한 객관적 접근이 필요(6명) 좀 더 다양한 분야를 접하고 싶어서(3명) 청소년복지 체계 이해(3명) 개개인의 지식들이 모여서 하나의 큰 힘을 발휘할 수 있게 하려고(3명)

연수 필요성에 대한 질의에서는 위와 같이, 청소년복지에의 전문성 함양 에 대한 욕구가 38%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청소년에게 보다 필요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하는 욕구는 33% 로 , 청소년 이해를 토대로 한 전문성 있 는 복지서비스 제공이 거의 70%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겠다. 소수의 응답 중에서는 인식 이 높아져 있으나 이를 따르지 못하는 현장에서의 생소함과 학내에서의 각론에 그치는 교 육에 대한 것이 각각 7%, 8%의 통계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학내에서의 각론에 그치는 교육과정과 연관있는 데이터를 보면,

교과 없다 인원 33

아동․청소 학교 청소년상담 기타 계 년복지 사회사업 (심리학 포함) 141

45

33

114 366

<학교 교과과정에서 청소년복지관련 이수 교과>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07


기타의 내용으로는 청소년의 이해(6명), 청소년문화(3명), 자원봉사론(15명),현대사회와 청소년(3명), 모른다 (9명),무응답 (78명)이 있다. 응답 223명을 기준으로 이수 교과 현황을 보면, 아동․청소년복지론 이 63% 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뒤이어서는 근래 들어 관심 이 고조되고 있는 학교사회사업 관련이 2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담 관련이 15%, 교 과가 없는 경우도 15%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모르거나 무응답자의 경우는 주 로 1~2학년 학생의 분포였다.( 중복응답 가능 )

교과 인원

전문분야별 현장실습 외부전문강사의 다양한 커리큘럼으로의 무응답 계 워크샵 강화 특별강좌 교과변화 171

216

51

120

15

573

< 필요시 여기는 교과과정 > 중복응답으로 1,2순위를 보면 현장실습강화 가 무응답 15 명을 제외한 전체 응답 286명 에서 216명으로 76%를 나타내고, 뒤이어 전문분야별 워크샵 60%, 다양한 커리큘럼으로의 교과 변화 42%를 나타내고 있다. 학내의 커리큘럼을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고 보면, 그 대처 방안으로 전문성과 다양성을 접할 수 있는 워크샵의 기회가 더 확대되어져야 할 것이다. (중복응답) 위에서 보면 현장 실습강화에 대한 년관련 복지서비스를 보면

308

욕구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 현장에서의 청소


서비스 인원

청소년보호선 학교사회 상담 동아리 자원봉사 도활동 사업 69 111 27 48 60

독서실운영

수련

무응답

42

39

150

852

< 실습기관에서의 청소년 관련한 서비스 > 실습현장은 크게 쉼터, 복지관, 수련관, 등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실습기관의 성격과 부 합하는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비록 실습은 하지 않은 경우라도 알고 있는 청소년서비스에 대한 것을 표현하였다. 위에서 보면, 앞의 청소년활동 현장에서의 복 지서비스에서 언급했듯이 상담 서비스 가 응답의 74%를 차지하고, 뒤이어 보호선도활동 이 46%, 학교에서 자원봉사 점수이수 시행으로 최근에 많이 관심을 가지는 청소년 자원봉사 서비스가 40%로 그 뒤를 잇고 있다. 보호선도활동, 상담, 학교사회사업 등은 청소년의 문 제를 인식, 치료 우선적인 접근이고, 또한 자원봉사는 학교에서의 성과점수에 편승되어 활 발히 진행되고 있는 서비스가 주가 되며, 독서실 운영과 같은 장소 제공 등의 소극적인 서 비스에 많이 치중되어 있다. 실습교육 과정에서도 보면, 약물, 흡연 등을 다루는 청소년문 제론과 어울마당, 캠프와 관련되는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다. 청소 년에 대한 보다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이해가 뒷받침되어 문제를 접근하고 그러한 이해들 이 수련, 캠프활동 속에서 응용될 수 있어야 하겠다.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09


위에서 언급되었듯이 청소년을 보다 잘 이해하여 현장에서의 적응력을 키우고, 전문성 을 지닌 지도자로의 욕구를 펼쳐 내는 기회의 장이 될 전문연수 참여에의 의지를 보면,

참여여부 무조건 참여 인원

49

여건되면 참여의사가 고려해본다 참여 없다 225 12

계 286

< 연수 /워크샵 기회에 참여여부 > 무조건 참여 17%, 여건이 되면 참여 79% 로써 참여의 의지가 있는 이른다.

참가시기 1~2 7~8 인원

99

< 참여시기 > 310

105

6

11

12

18

24

75

경우가 94%에

기타 계 45

366


기타 응답으로는 언제든 좋다(3명), 9월(9명), 5월(9명), 10월(3명), 무응답(21명)이다. 대상자들은 주로 방학을 이용한 참여를 희망 하고 있으며, 12월 참여의지를 반영하면 하 계방학(7~8월) 보다는 동계방학(1~2월) 을 이용한 연수를 희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중복 응답)

또한 연수과정에서 요하는 희망 강좌의 성격을 보면,

강좌 인원

정책과 법 24

청소년 문제 39

청소년 청소년교 청소년 지역사회와 프로그램 활동 육 문화 청소년 기획과 운영 72 60 90 21 51

무응답

39

357

< 우선 요청 강좌 > 청소년문화에 대한 강좌 요청이 34%, 청소년교육이 23%, 청소년활동 27%, 청소년문 제 15%,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 19%, 그리고 소수 응 인 정책과 법은 9%, 지역사회와 청소년은 8%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청소년과 관련한 전반적인 분야에 대한 욕구를 가 지고 있음 을 우선 알 수 있고, 학교에서 다루어지는 정책과 관련한 욕구는 낮게 나타나는 반면에 학교에서나 외부에서 접할 기회가 비교적 낮은 문화에 대한 욕구가 강하게 나타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많이 언급되고 있는 청소년문제에 대한 보다 적 극적인 인식의 욕구가 있으며,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에서처럼 보다 실질적이고 현장성을 는 강좌에 대한 욕구도 많음을 보여준다. 반면에, 지역사회에 대한 의미가 으로써 그 지역사회 내에서 청소년복지와의 연관성을 고려하는 지역사회와 청소년에 대한 시각은 아직 미흡함을 보이고 있다. (중복응 ) 답

커짐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11


으로 이러한 강좌가 있는 연수를 통하여 기대하는 것을

알아보면,

< 전문 연수/ 워크샵을 통해 기대하는 것 > 청소년 전문지도자로서의 전문성 강화 (198명) 지역사회 네트워 을 통한 자원활용 및 정보교류 증대 (144명) 청소년에 대한 다양한 시각의 심화확대를 통한 현장에서의 적응력 강화 (219명) 사회복지와 주변 환경간의 이해 증대 (63명) 사회복지 정책 운동에 대한 필요성 증대 (33명) 청소년 전문지도인으로서 역할과 현황, 비젼에 대한 제시 (162명) 졸업 후 진로와의 연결성 (84명) ⑧ 기타 ( 청소년복지에 지속적인 관심 유지 ..) ① ②

③ ④ ⑤ ⑥ ⑦

으로써, 복수 응답의 분포상에서 다수가 3~4가지의 항목을 선택하였다. 그 중, 3번째 문 항인 청소년에 대한 다양한 시각의 심화확대를 통한 현장에서의 적응력 강화, 첫 항목인 청소년 전문지도자로서의 전문성 강화, 여섯 째 항목인 청소년 전문지도인으로서 역할과 현황, 비젼에 대한 제시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의 필요성에서도 나타났 듯이, 청소년을 보다 잘 이해하고 그들을 바라보는 시각의 확대를 통하여 현장에서 적응력 을 키우고, 이는 곧 전문인으로서 자질을 강화하고 앞으로의 현장에서의 역할과 비젼에 대해 관심이 많은 것으로 연계되어 이어지는 것이다. 또한, 전문적인 세미나를 통하여 유 사 관심분야의 지역별 활동을 전개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활발한 정보교류의 통로를 만들 고자 하는 욕구도 강함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에서처럼 청소년복지와 함께 청소년문화에 대한 관심은 단순한 가설이 아닌 현실이다. 이는 [ 각론과 상담, 보호와 치료라는 일차원적 복지개념에 대한 교육으로 그치 는 대학교육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청소년복지 현장에서 제공되는 청소년복지 서비스의 전 문화와 다양화를 마련하고, 청소년문화복지의 실천을 위한 전문 지도자의 양성을 통한 청 소년복지 서비스의 질적 향상의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 결국 청소년복지 아카데미의 실천은 사회적 요구이며, 사회복지의 발전이며, 청소년복지 의 새로운 도전이 될 것이다.

312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13


청소년복지관련 실무자 및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을 위한

청소년 문화복지 아카데미

단체소개 주최․네트워크․후원

314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15


■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네트워크단체(가나다순) 주최1.

서울청소년문화교류센터‘미지’

◦ 서울청소년문화교류센터‘미지(mizy)’는? 서울청소년문화교류센터는 서울시의 위탁으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가 운영하는 젊은이 들의 전용 문화공간으로 2000년 5월 27일 개관했다. 미지(mizy)는 Myongdong Info Zone of Youth의 약칭으로 미지(未知)의 세계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은 서울청소년문화교류센 터의 별칭이기도 하다. ◦ 미지의 방향 - 젊은이들의 공간 으로서의 미지 9세부터 24세까지의 청소년들에게만 허용되는 청소년 전용공간이다. - 경험 의 장으로서의 미지 문화적 감수성과 창조적 상상력으로 다양한 일에 도전하고 경험하게 하면서 스스로 자 신들의 문화와 네트워크를 만들어 나가는 곳이다. - 교류 의 장으로서의 미지 다양한 문화를 접해보고, 많은 사람, 네트워크를 만들고, 다양한 교류를 통하여 세계 시 민으로 조화를 이루며 성장해 갈 수 있는 교류의 장을 지향한다. 미지카페 인터넷카페는 단순히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공간이 아니다. 청소년과 디지털 미디 어는 이제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멀티미디어와 인터넷이 제공되는 청소년문화공간이 바로 미 지카페이다. 각종 소모임과 작은 규모의 공연, 영화감상등을 할 수 있는 청소년전용 카페이다.

컨소시엄 프로젝트

‘미지센터'와 사업을 함께 하고픈 청소년과 청소년단체가 컨소시엄형태로 일정기간 사업성과를 일구어 내는 프로젝트이다. (국제교류 프로젝트, 열린사람들 프로젝트, 청소년 문화기획 프로젝트, 청소년 인권 프로젝트)

MIZY 콜로키엄 2002 하는 대한

미지 콜로키엄은 청소년관련 이슈와 주제를 놓고 대담 형식으로 진행 론과 학습을 위한 자리이며 참가자가 가지고 있는 개별전문 분야에서 주제를 발표하고 이에 토론으로 이루어 진다. 토

문화감수성 프로그램 이미지 다시보기, 교육연극 청소년 국제교류 프로그램 MICC (MIZY International Culture Club), 외국청소년의 한국 배우 기, 미지 인터내셔널

파티 MIZY International Party

서울시 중구 명동 유네스코 회관 2층 www.mizy.net

Tel. 755-1024 Fax. 755-7057 개관시간 : 316

오후 1시 - 9시(화요일-일요일) / 휴

관:

매월 월요일


주최2.

재단법인 인천가톨릭청소년회는!!!

재단법인 인천가톨릭청소년회 는 21C 주역인 청소년들에게 를 발산할 수 있는 건전한 문화공간을 만들어 주고, 성숙한 인격체로서 성장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1996년에 만들어졌습니다. 현재 학교와 연계된 사업으로 C.A 및 특기적성 프로그램 지원사업, 임원단수련회, 소풍, 축제 도와주기 등의 프로그램 청소년지도자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대학생 실습교육, Media Workshop. 자원지도 자 연구모임인 D.O.S 인천지역 청소년단체협의회 사무국 운영 등의 프로그램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지역사회 청소년들의 문화공간인 른광장, 인천 18 개학교 방송반 연합동아리 ‘​​ 울터’ 운영, 전산반 연합동아리 ‘자​​ 아이’, 캠프, 청 소년을 위한 포럼, 영상동아리 1년 지원사업인 ‘청소년을 위한 영상 FESTIVAL' 청소년문화교실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강화에 10만평 규모의 청소년수련장을 운영하며 지역사회내의 야외활동의 끼

공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디어와 관련된 사업을 특화사업으로 지정하여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면 일련의 사업으로 '청소년지도자를 위한 Media workshop', ‘미디어와 관련 된 CA활동 및 특기적성교육’, 미디어센터 운영, 미디어캠프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인천지역의 청소년 삶의 공간에 함께 하고픈 분들의 많은 관심을 기다리며 확실 한 자리매김을 할 수 있는 인천가톨릭청소년회 가 되도록 열심히 뛰겠습니다.

인천가톨릭청소년회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 산 29-6 Tel. (032)833-2010-2 Fax.(032)833-2013 www.yism.net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17


주최3.

품을 소개합니다 www.pumdongi.org

품은 청소년 복지의 게릴라입니다.

품이 실현하는 청소년 복지는 남보다 먼저가 아닌 남과 다른 그리고 남과 함께 할 수 있는 공동체 사회를 지향하는 것이며 그 실천의 끈은 열린교육입니다. 이 땅의 아이들이 좀더 다양하고 창의적인 에너지를 나눌 수 있고 그 힘이 세상에 뿌려질 수 있는 열린교육을 실천합니다. 품이 실천하는 열린교육의 매개는 『문화』 입니다. 건강한 아이들의 문화를 함께 만들어 가는 곳! 그곳이 바로 ‘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입니다.

청소년 캠프, 청소년 어울마당, 청소년전통예 술한마당, 청소년연극제 등을 포함한 청소년문화예술활동사업 청소년활동에 관심 있는 대학생자원지도자들과 현장 실무자들을 교육시키고 전공대학생들의 실습을 담당하는 교육사업 보다 나은 청소년활동을 위한 청소년활동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사업 청소년활동연구, 조사, 프로그램개발과 관련된 연구자료 출판사업 또한 본 단체에 소속된 회원들을 중심으로 서 비스되는 회원사업 “따뜻한 가슴과 소중한 땀” 품에서는 다음과 같은 일을 합니다.“

지역사회 청소년들을 만나기 위한 학교 CA지원 사업, 지역거리축제, CA축제를 포함하고 있는 지역사회사업

우리단체는 청소년을 사랑하며, 그들을 위해 열심히 땀흘리고 있습니다.

서울시 도봉구 쌍문1동 495-77 송곡빌라 지층 Tel: 999-9887 / Fax: 999-0860 / www.pumdongi.org 318


주최4.

시민과 함께 복지공동체를 꿈꾸는 한국복지교육원

1, 설립 취지 (설립일자: 2000년 1월 1일)

『한국복지교육원』은 시민을 위한 복지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새 천 년 첫날,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사 회복지사”를 양성하고자 설립을 했습니다. 이제 이땅의 사회복지사는 디지털 시대를 열어 가는 복지운동가, 새 로운 복지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문제를 예방하거나 해결하는 능력있는 벤처 사회복지사가 되어야 합니다. 또한, 모든 사회현상을 사회복지사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복지평론가’가 되어야 합니다. 한국복지교육원의 사람들은 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을 가르치고, 가상공간을 통해서 학생과 시민과 함께 강력한 ‘사회복지학 학습 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해서 다양한 사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사업

1) off-line 과 on-line의 연결로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사회복지사” 양성 2) 디지털시대를 열어 가는 젊은 ‘복지운동가’ 양성 3) 복지교육기금을 통하여 사회복지사의 활동영역을 개척하는 벤처사회복지사 양성 4) 한국에서 복지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여 메일진 「복지공동체」 발간 5) 사회복지분야의 중요한 쟁점에 대하여 「집중토론」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보건복지부 등 관련 기관에 제공 하여 정책결정에 참여 6) 배워서 남 주는 사회복지사상을 정립하기 위하여 ‘시민을 위한 복지상담’전개 7) “복지는 생활이다”란 모토를 가지고, 사회복지사의 눈으로 모든 뉴스를 점검하여 복지평론이란 새로운 직업 의 창출 8)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학도가 전문적 소양을 갖추거나 폭넓은 교양을 쌓는데 도움이 되는 책과 영화 소개 9) 사회복지학과 청소년학이 만나는 ‘청소년복지학’의 전문자료실 구축 10) 함께 공부하고 연구한 결과를 책으로 출판 앞으로 한국복지교육원은 연구원의 노력과 이용자들의 참여를 통해서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사회복지사의 산실”로서의 소임을 다하고자 한다. 배워서 남 주는 사회복지사, 디지털 시대를 열어 가는 복지운동가, 다양한 역할을 창조하는 벤처사회복지사를 끊임없이 키워가고자 한다. □ 원 장: 이용교(복지평론가, 광주대학교 교수) / ewelfare@hanmail.net □ 연구원: 선임연구원 정민기 iltal@simmani.com 연구원 한형수 hyungsoo8@hanmail.net / 연구원 윤성희 heeyayun@hanmail.net □ 주 소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 삼익세라믹 302-1403 우편번호 503-330 □ 전화번호: 062-670-2458, 062-676-1032 □ 홈페이지: http://www.okwelfare.net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19


■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네트워크단체(가나다순)

네트워크1.

사회사업가 표경흠 사무소 우리 나라 최초의 사회복지 Generalist 개인사무소로 청주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변 화와 사회복지대학생들의 준비된 사회사업가로서의 성장을 위한 프로그램을 하고 있다. 대 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아마레앙상블 순회공연, 복지와 학습여행, 벤처아카데미, 가상복지 관운영, 보호관찰소 개입프로그램, 민방위복지, 사회복지실습 등이 있으며, 비영리 임의단체 로 무보수 자비량으로 운영되며, 비정규직 인턴사원(학생)들과 함께 하고 있다.

네트워크2.

서울시사회복지협의회 www.s-win.or.kr 우리 협의회는 서울시 사회복지에 대한 시민참여를 촉진시킴으로써 지역사회의 복지증 진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서울복지정보망 (s-win)은 21세기 정보화시대에 대비하 고, 시민복지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편의를 제공 하고자 마련되었습니다. 사회복지 욕구의 상담은 물론 복지관련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더불어 함께하는 건강한 사회를 창출하고자 합니다. 서울복지정보망은 one-stop의 통합 민원창구 역할을 담당함으 로써 복지 서비스 수요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즉시 제공하고, 복지서비스 제공자 상호간의 정보 공유와, 자원봉사, 후원, 결연, 치매 상담등 복지활동 전반에 대하여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하여 우리 협의회는 복지서울의 면모를 새롭게 하며, 복지서울건설의 최일 선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주요사업내용 : 정책지원사업(협의조정사업, 조사연구사업), 교육지원사업, 자원봉사 정보 안내센터(협의조정사업, 교육지원사업, 봉사자 조직/운영(봉사은행), 정보지원사업(출판사업, 홍보사업), S-WIN구축사업(S-WIN 구축, 연수사업), 사회복지도우미 사업 100-250] 서울시 중구

[

320

예장동 8-20 3층 대표전화:713-3362 T:771-3460~5 / F:771-3357


네트워크3.

청주시사회복지협의회 청주시사회복지협의회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도서 출판 및 교육 등 청소년 복지 사업과 장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시민사회복지대학운영 등 지역복지사업과 자원봉사진흥사 업, 기초푸드뱅크사업, 노인복지사업 등을 실행하는 청주시민의 지역복지증진뿐만아니라 지역주민과 사회복지가관 및 시민단체가 함게 참여하고 의사를 결정하는 대표적 민간복지 기관입니다.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1365 B1 www.cjsw.or.kr Tel. (043)267-0866 Fax. (042)264-0866 네트워크4.

프로젝트 팀 헤모(HEMO) - 헤모는 프로젝트 팀의 순 우리말인 [헤쳐모여]의 준말이다. - 온라인 헤모는 [digitalhemo]라 하며 오프라인 헤모는 [헤모]이다. - 헤모는 미디어로 청소년을 만나려는 트레이너의 집단이며 각 트레이너는 전문분야를 가 지고 있다. 일정한 프로젝트가 시작되면 헤쳐 모여서 공동작업을 하는 프로젝트 팀이다. - 헤모는 98년 시작해 미디어워크샵(의정부 한마음수련원)과 청소년미디어캠프(EBS주최 헤모주관), 미디어집단상담(학교 및 의뢰집단), 및 학교연계사업(클럽활동), 영상제작(다 큐멘터리)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 주된 프로젝트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영상언어교육과 미디어제작활동 및 미디어집 단상담 프로그램이다. - 전국에 23명의 트레이너가 있으며 2001년 12월부터 4개의 섹터로 구분하여 활동하고 있 다. 헤모의 트레이너는 교육워크샵 수료 후 미디어프로그램을 실시한 프로젝트의 결과물 을 제출하면 심의 후 전문트레이너로 활동할 수 있다. - 홈페이지는 www.digitalhemo.com 네트워크5.

HS Research Center는.. Help & Support Social Welfare Research Center의 의미입니다. HS센터는 사회복지를 실현하기 위한 제반 활동 중 조사, 통계영역을 중심으로 각 사회복지영역을 전문적으로 지원, 교육, 훈련하는 사회복지 전문조사 컨설팅 기관입니다. HS센터는 각 기관, 개인이 실시하는 조사계획, 사회조사, 통계분석, 보고서 작성에 도움이 되어드립니다.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 2동 244-204/B02호 //Tel 02-307-7684, Fax 02-307-7684 http://www.hscenter.net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21


네트워크6.

okYouth가 뭐지!

- okYouth! 광주지역에서 청소년운동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사람들의 모임 - okYouth! 청소년이 OK할 때까지 청소년들을 위해 일하겠다는 뜻을 담아 만든 이름 - okYouth! 2002년 1월 활동 시작 - okYouth! 월 1회 정기모임을 통해 청소년운동에 대해 함께 공부하고 실천하며 정을 나누는 휴먼네트워크 - okYouth! on-line 공간은 http://cafe.daum.net/OKYouth - 청소년이라는 단어 안에 언제나 열려있는 모임 okYouth! 네트워크 7.

복지방송(http://welfare.tv)은 사회복지 전문 인터넷방송국으로써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현 장 실무자, 봉사자, 후원자, 클라이언트를 대변하고, 그들이 살아가는 모습 그대로를 가감없 이 보여주고, 사회복지의 각종 행사, 학술세미나, 정책 등을 집중분석 보도하는 방송입니다. 복지방송은 사회복지현장의 주요 행사나 소식을 전하는 “복지뉴스”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 언트들의 진솔하고 따뜻한 이야기를 전하는 “기획테마”, 사회복지의 유익한 정보를 전하는 정보채널, 그리고 사회복지 VJ들이 전하는 현장의 VJ 소식들을 방영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영상매체시대를 맞이하여 사회복지현장의 이야기를 영상으로 표현하고 싶었던 분, 기존 사회복지방송물에 대한 모니터링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5가 526 대우재단빌딩 15층 Tel:02-6366-0645-9 Fax : 02-6366-0633

322


■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후원단체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정부가 하던 연말연시 이웃돕기모금사업을 이양받아 법으로 설립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법률 제5960호-에 의해 1998년 11월 출범)된 사회복지기관으로서 ' 사랑의 열매'를 캠페인 상징물로 하여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홍보, 모금, 그리고 이를 전국 사회복지사업에 지원하는 일을 합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가장 큰 특성은 특정 기관이나 특정 종교에 제한되는 이웃돕기활 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전국의 모든 사회복지기관과 시민단체들을 지원한다는 포괄성과 공정성입니다.

공동모금회의 역할

* 전국 사회복지기관 및 소외된 사회복지분야 발 * 시민들에게 공동체 의식과 나 문화 홍보 * 기부문화 선진화 및 생활화 캠페인 추진 * 선진 모금프로그램 개발 * 배분의 명성, 전문성 확보에 진력

및 지원

<공동모금이란? : 사회복지사업의 지원에 필요한 재원을 기부금을 모집하는 것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제2조)>

조성하기 위하여 전국 또는 지역을 단위로

공동모금회는 바로 자원부족이라는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전국의 사회복지기관들을 대 신하여 자원을 동원하는 조직으로 공동모금제도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공동모금제도는 미 국, 영국, 일본 등 전세계 34개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선진적인 사회복지 시스템입니다. 공동모금은 기부자가 수많은 사회복지기관으로부터의 기부요청에 의사결정의 어려움을 겪는 부담을 줄이고, 기관입장에서는 모금경쟁 활동에 따른 자원낭비를 피할 수 있어서 효 율적입니다. 120-705, 서울시 서대문구 미근동 267 (임광빌딩 3층) 전화 : 02-360-5990~6, 0505-700-3651, 팩스 : 02-360-5997 http://www.chest.or.kr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23


청소년복지관련 실무자 및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을 위한

청소년 문화복지 아카데미

아카데미사람들 *가나다순

324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25


김 민 1966년생. 연세대, 연세대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박사과정(교육사회학/문화 연구 전공)을 수료. 빈곤에서 풍요의 기점으로 이행하는 청소년문화기의 완벽한 낀 세대.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유네스코 청년원 간사를 하다가 현재 주성대학 청소년문화 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 *저서 및 연구물: 자발적 학업중도탈락현상 발생요인에 대한 분석연구(2001). 한국청소년개발원 청소년수련관 운영활성화 방안 연구(2001). 문화관광부. 서울시 청소년프로그램 민간위탁 시행사업 평가연구(공동연구, 2001). 서울시청. 학교실패현상에 대한 문화론적 연구(2000). 한국청소년개발원. 청소년지도학(1999). 공저. 학지사. 이외 다수.

김춘아 86년 보라매 청소년회관의 설립당시 창립멤버 청소년회관의 미디어교육을 뿌리내림 Crec-Avex 국제커뮤니케이션센터 교육수료하였으며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졸업(사회복지학석사) 한국감마모델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 프로젝트 팀 헤모 수퍼바이저 현 보라매청소년수련관 상담팀장

김태황 83년 어린이바이엘 하권 정복 86년 교내 불법 영화써클 CC 창단(1년후 해체) 87년 락밴드 NoParking Keyboardist & trot Vocalist 87년 Nikon FM2 구입기념 첫 출사 88년 처녀작인 자전적 다큐영화 [상/像]제작(필름분실) 89년 [Dragon Ball] 독파 90년이후 YouthWorker로 활동 하며 직장을 전전 98년 프로젝트 팀 헤모 코디네이터로 전격발탁 01년~ 미지센터 프로그램팀장(현) 326


심한기 * 이력 및 경력 1990년 / 강남대학교 졸업 1992년 / 품 청소년놀이문화연구소 개소 2001년 / 현)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대표

지역사회 통합 시스템을 통한 청소년문화복지 모델제시 “ 강북 청소년 거리축제 “ ( 1998년, 99년, 2000년, 2001년 ) 청소년지도 및 청소년복지학과 전공 실습지도 ( 1991년 ~ 2001년 ) 청소년보호위원회 / 지역사회분과 위원 ( 2001년 현재 ) 서울시 시정개발 연구원 [ 서울시 중장기 청소년정책연구 ] 자문위원 (2000년) 서울청소년수련관 운영위원 ( 2001년 현재 ) 서울시 청소년과 전문 실무위원 ( 2000년 ~ 현재 ) 구세군복지관 운영위원 ( 2001년 현재)

우수명 - 70. 5. 8 전) (재)청소년폭력예방재단 및 서울YMCA 녹번종합사회복지관 근무. 현) 성공회대․국립보건원․사이버복지교육원 등 강사, 경기도사회복지협의회 전문위원 등 저서) TP사회복지조사(2002), 마우스로 잡는 SPSS(2000) 외 다수

이승민 *근무지 : 서울청소년수련관, 보라매청소년수련관, 노원청소년수련관 현재 재)인천가톨릭청소년회, 연수구청소년수련관 사업팀장 겸직 *자격증 : 사회복지사 1급. 청소년지도사 2급, MBTI 중급수료, STRON 진로탐색검사 수료 G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327


이용교는 한국복지정책연구소와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연구위원으로 일한 바 있고, 현재 광 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청소년복지의 현 실과 대안(1993), 한국청소년정책론(1995), 청소년인권 보고서(1997), 복지는 생활 이다(2001), 디지털 사회복지학(2002) 등이 있고, 복지대통령 만들기(1997), 복지공동체 만들기 (2000), 복지시장 만들기(2002) 등을 기획하였다.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위원, 광주광역시청소년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 는데, 연락처는 한국복지교육원 www.welfare.pe.kr 전화 062-670-2458 이다.

표경흠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88학번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사회복지학과 97학번 사회복지정보원 근무 1998년 - 현재 상지대아카데미복지관 사무국장 2000.3. - 2002. 2. 사회복지대학생정보화연합 지도간사 1998년 - 현재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정책 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 자문위원 2001.2. - 10. 사회복지사 표경흠사무소 운영 2001.7. - 현재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사회복지위원 2002.1. - 현재 평택대학교 겸임교수 2002.3. - 현재 가상복지관의 모형에 관한 연구(2000년, 석사논문) 민간보육시설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1998년) 저소득층노인의 여가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1999년) 사회복지정보화와 가상복지관(2001년)

328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www.withyouth.net

인 쇄 : 2002년 3월 28일 발 행 : 2002년 4월 1일 발행처 : 청소년문화복지아카데미 사무국 전 화 :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02)999-9887

한국복지교육원 (062)670-2458 주성대학교 청소년문화학과 (043)210-8362 서울청소년문화교류센터 ‘미지’ (02)755-1024

사전승인없이 보고서 내용의 무단복제를 금함. 구독문의 : (02)999-9887 (품 청소년문화공동체)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