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fgks.org   »   [go: up one dir, main page]

하주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의 지방행정구역.
목차
정의
신라시대의 지방행정구역.
내용

≪삼국사기≫ 지리지에 기재되어 있는 하주는 같은 책 직관지의 하주정(下州停)과 결부되어 매우 혼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그 연혁과 변천을 잘 알 수 없지만, 다만 하주가 555년(진흥왕 16)에 비사벌(比斯伐 : 지금의 창녕)에 처음 설치된 점과 그 명칭이 상주(尙州)를 상주(上州)라 한 데 대한 대칭으로서 붙여진 것만은 확실하다고 하겠다.

561년에 만들어진 창녕신라진흥왕순수비(昌寧新羅眞興王巡狩碑)에는 비자벌(比子伐) 군주(軍主)의 이름과 나란히 하주 행사대등(行使大等)의 명칭이 보이고 있다.

그 뒤 565년에 하주는 치소(治所)를 대야(大耶 : 지금의 합천)로 옮겼고, 다시 642년(선덕여왕 11)에는 압량(押梁 : 지금의 경산)으로 옮겼다.

신라가 백제를 멸망시킨 뒤 하주는 661년(태종무열왕 8)에 다시 본디의 대야로 옮겼는데, 665년(문무왕 5)삽량주(歃良州)가 신설되면서 그 영역의 절반 가량을 떼어주게 되었다. 삼국통일에 따른 지방제도 개편의 일환으로 685년(신문왕 5)에 완산주(完山州)와 청주(菁州)가 신설됨으로써 하주는 폐지된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新羅上州·下州考」(今西龍, 『新羅史硏究』, 近澤書店, 1933)
「新羅幢停考」(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東洋文庫, 195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