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fgks.org   »   [go: up one dir, main page]

오디오 코딩 포맷: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참조 → 각주)
 
(사용자 9명의 중간 판 1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오디오 코딩 포맷'''(Audioaudio Formatcoding format)<ref>The term "audio coding" can be seen in e.g. the name [[Advanced Audio Coding]], and is analogous to the term [[video coding format|video coding]]</ref>은 [[소리]](음향)과 [[음악]]을 저장하는 매개체로서 물리적인 [[저장 매체]] (Recording Media)와 소리의 [[주파수]]를 기록하는 데에 쓰이는 형식을 통틀어 말하는 용어이다. 여기서 레코딩 포맷의 경우 [[컴퓨터 과학]]에선 [[오디오 파일 포맷]]이라 부르며, 예로서 [[MP3]], [[윈도윈도우 미디어 오디오|WMA]], [[웨이브|WAV]], [[고급 오디오 부호화|AAC]] 등이 있다.<ref>[[전자신문]] - 2010년 1월 기사 [http://www.ebuzz.co.kr/content/buzz_view.html?ps_ccid=83500 "코덱이란 무엇인가?"]{{깨진 링크|url=http://www.ebuzz.co.kr/content/buzz_view.html?ps_ccid=83500 }}</ref><ref>[[한국경제신문]] - 2010년 1월 기사 [http://www.kbizweek.com/cp/view.asp?vol_no=737&art_no=24&sec_cd=1659 "미디어 재생 ‘원리’ … 기능 ‘천차만별’ - 코덱(Codec) 따라잡기"]{{깨진 링크|url=http://www.kbizweek.com/cp/view.asp?vol_no=737&art_no=24&sec_cd=1659 }}</ref>
 
[[현대 (시대)현대사|현대 사회]]에서 음악은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되고, 보관되어 왔다. [[대중 음악]]은 이 오디오 포맷, 저장 매체를 판매하여 벌어들이는 돈으로 수익을 창출한다.<ref>전자신문 - 2009년 12월 기사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912020062 "CD의 종말"]</ref>
 
== 오디오 포맷 발전 연대표 ==
줄 26 ⟶ 27:
|-
! rowspan="2" | 1999
| [[SACD슈퍼 오디오 CD|수퍼 오디오 콤팩트 디스크]](SACD)
| Direct-Stream Digital(DSD)
|-
줄 139 ⟶ 140:
* [[코덱]]
 
== 참조각주 ==
{{주석각주}}
 
== 바깥외부 고리링크 ==
{{Commonscat위키공용분류|Audio storage media|소리 저장 매체}}
* [https://web.archive.org/web/20100822092341/http://www.recording-history.org/HTML/tech.php 레코딩 역사] {{언어링크|en}}
 
{{저장 매체}}
 
{{전거 통제}}
 
[[분류:소리 저장 매체| ]]
[[분류:기술기술사 연대표연표]]
[[분류:영어계 외래어]]
 
[[de:Audioformat]]
[[en:Audio format]]
[[ru:Звуковые носители]]
[[sv:Ljudmedier]]
[[th:รูปแบบการบันทึกเสียง]]
[[tr:Ses depolama ortamları]]
[[uk:Звукові носі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