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fgks.org   »   [go: up one dir, main page]

얀 후스

TjBot (토론 | 기여)님의 2013년 3월 7일 (목) 03:19 판 (r2.7.2) (로봇: jv:Jan Hus 추가)

얀 후스(Jan Hus, 1372년? ~ 1415년 7월 6일)는 체코신학자이자 종교개혁자이다. 그는 존 위클리프예정구원설을 기반으로 성서기독교 믿음의 유일한 권위로 인정할 것을 강조하는 복음주의적 입장을 보였으며, 교황로마 가톨릭 교회 지도자들의 부패를 비판하다가 1411년 대립 교황 요한 23세에 의해 교회로부터 파문당했으며, 콘스탄츠 공의회의 결정에 따라 1415년 화형에 처해졌다.

하지만 그가 화형당한 이후 그의 신학사상을 이어받은 사람들이 보헤미안 공동체라는 공동체를 만들고, 그의 주장은 마르틴 루터 등 알프스 이북의 종교개혁가들에게 영향을 끼치게 된다.

생애

얀 후스는 남 보헤미아의 후시네쯔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날은 1369년에서 1373년 사이로 생각되고 있다. 그가 성직수임을 받은 해를 기준으로 역산하면 1372년으로 추정된다. 그의 부모와 가족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얀 후스는 프라하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1393년 학사에 해당하는 학위를 받고 1396년 인문학 마스터(mistr svobodných umění) 학위를 받는다. 그 후 1400년부터 대학에서 교양 학부와 신학부의 교수로 일했으며, 로마 가톨릭 사제가 된다. 프라하의 성 미카엘 교회 (Kostel sv. Michala)에서 설교를 하기 시작한다. 1402년 3월 14일부터 베들레헴 성당(Betlémská kaple)에서 설교자로서 활동했다. 1401년에는 철학부의 학장을 맞고 일년 후에는 대학의 총장이 되어 체코인들이 독일의 힘에 맞서 싸울 것을 독려한다. 그는 프라하 대학의 지도적인 체코인 교수로서, 라틴어 뿐 아니라 체코어로도 저술 활동을 했고, 체코어를 개량하고 체코어 철자법을 개혁하여 지금까지 이어지게 하였으며, 체코어로 찬송가를 보급하였다. 그는 설교와 저술로서 교회가 타락을 청산하고 초기 기독교 정신으로 복귀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그의 주장은 프라하 대학 교수들과 왕실, 일부 귀족, 그리고 다수 대중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고위 성직자들과 프라하의 독일인들은 이에 반발하였고, 프라하 대학의 독일인 교수와 체코인 교수의 갈등이 시작되었다. 이 갈등은 1409년 바츨라프 4세의 크트나호라 칙령으로 1348년 카렐 4세가 국제주의적 원칙에 입각, 배분한 민족 구성이 재조정되어 대학의 주도권이 체코인 교수에게 돌아간 것이다. 독일인 교수들과 학생들은 이에 대한 항의로 학교를 더나 라이프치히에서 새로운 대학을 설립했다.

 
화형당하는 후스(예나 약전, 15세기 후반)

그에게 영향을 준 영국인 종교 개혁자 존 위클리프(John Wycliffe, ?~1384)와 달리 후스는 대중 앞에서 설교를 통해 가르침을 설파하고 이를 실행에 옮기라고 촉구했다. 또한 그는 교회의 재산권을 박탈해서 청빈한 교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하여 소귀족들과 도시 공민 등 대중의 지지를 받았다./ 1412년 후스가 교회의 면죄부 판매를 공개적으로 비난하자 교회는 이에 역시 대응하였으며, 바츨라프 4세는 교회 편을 들어서 결국 후스는 프라하에서 떠나 남부 체코의 코지흐라데크에서 소귀족들의 보호를 받으며 지냈다.

1414년 10월 스위스의 콘스탄츠에서 종교회의가 열렸는데,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바츨라프 4세의 동생인 지기스문트(Sigismund Luxcemburg)가 안전을 보장하면서 후스로 하여금 종교 회의에 참석할 것을 요구하자 후스는 교회의 고위 성직자들에게 자신의 주장을 이해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 동의하였는데, 그는 콘스탄츠에 오자마자 체포되어 감옥에 갇혔고 1415년 7월 6일 화형에 처해졌다. 약 1년 후 1416년 5월 30일 같은 곳에서 후스의 친구이자 동료였던 프라하의 예로님(Jerome of Prague)도 처형당했다.

그의 죽음이 끼친 영향

 
프라하에 있는 후스 동상

후스의 처형은 체코인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체코 땅에는 혁명의 기운이 감돌기 시작했다. 1415년 가을에는 여러 귀족들이 콘스탄츠 종교 회의의 결정을 거부한다는 결의문을 발표하고, 후스의 가르침에 따라 체코에서 하느님의 말씀을 끝까지 수호하겠다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도전과 봉기의 신호였으며, 프라하 대학교 교수들과 체코 대중들의 환영을 받았다. 이들은 성만찬때에 신약성서최후의 만찬이야기에 근거하여 포도주를 모두 나누었으며(그 전에는 성직자들에게만 포도주를 나누는 것이 허용되었는데, 후스가 살아 있을때 지지자들이 후스의 허락을 받아 이를 채택하기 시작했다), 포도주를 담은 성반은 후스주의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결국 후스주의와 로마 가톨릭 사이의 갈등은 깊어졌고 1419년 7월 30일 프라하의 노베메스토에서 얀 젤리프스키(Jan Zelivsky)가 주도하는 강경파 후스주의자들이 동료 후스주의자들의 석방을 요구하며 시 의회 의원들을 시청 창문 밖으로 던지는 제 1차 창문투척사건이 발생했으며, 며칠 뒤 바츨라프 4세가 죽자 후스주의자들은 보헤미아를 장악하게 된다.

참고자료

  • Jedin, Herbert [ed.]: Handbuch der Kirchengeschichte, III/2. Freiburg in Br. 1968, s. 572–588.
  • Kejř, Jiří: Husův proces. Vyšehrad, Praha 2000. ISBN 80-7021-387-6.

바깥 고리


틀:Link FA